EFFECT OF THE SOCIAL SKILL TRAINING IN ADHD CHILDREN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 Park, Soon-Young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Naju National Mental Hospital) ;
  • Kwack, Young-Sook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
  • Kim, Mi-Koung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 박순영 (국립나주정신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분과) ;
  • 곽영숙 (국립서울정신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분과) ;
  • 김미경 (국립서울정신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분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Medication is widely accepted as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the problem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impulsivity, resistance and violence of ADHD children. However, it does not provide us with the solution on the conflicting routinized behavioral patterns to gain a high level of self-control and acceptable behavior. As a way of replacing medication, this study applies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measures the level of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and the change of the behavioral patterns.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on 16 children ranged from 6 to 13 years of age for 10 weeks. The patie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a pure ADHD group, an ADHD group with conduct disorder, an ADHD group with mental retardation and other symptoms. The change of symptoms and the change of social skills are measured by the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the ADD-H Comprehensive Teacher’s Rating Scale(ACTeRS) and the Social Skills Rating Scale(SSRS), and finally Mas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for Youth(MESSY). Wilcoxon signed ranks test i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eatment, and Kruskal-Wallis test is also used to measure the change after the treatment in each of the three groups. In the ADHD group with conduct disorder,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treatment shows a significant reduction of violence in the area of behavior(p<.05),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ctivity and social skills in the area of social competent(p<.001). In the ADHD group with mental retardation and other symptoms, a significant rise of social skills is found in the area of social skills evaluation (p<.05).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ffect by the treatment among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the current examination shows that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does not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ocial skills of the ADHD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helps some children, when it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accompanying symptoms of the children:it reduces the level of violence in the ADHD group with conduct disorder, and it raises the social skills in the ADHD group with mental retardation. In other words,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will reduce the conduct disorder and helps peer relation for ADHD children.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DHD)아동에서 약물치료가 주의력결핍이나 과잉운동성, 충동성과 비순응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나 여러 가지 습관화된 충동적인 행동패턴이나 문제해결 방식을 변화시키고 바람직한 행동과 자기조절능력을 학습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제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을 위해 고안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후 사회기술 및 증상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 외래 및 입원환자중 주 진단을 ADHD로 받은 $6{\sim}13$세 연령의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순수한 ADHD 아동군, 품행장애가 동반된 ADHD 아동군, 지능저하 등 다른 질환군이 동반된 ADHD 아동군으로 동반증상에 따라 3집단으로 나누어 10주간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증상의 변화 및 사회기술의 변화를 보기위해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포괄적 교사평정척도(The ADD-H Comprehensive Teacher's Rating Scale:ACTeRS), 사회기술 평가척도(Social Skills Rating Scale:SSRS), Matson의 아동 사회기술 평가척도(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for Youth:MESSY)를 치료전후에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서 치료전후의 효과에 대한 비교는 비모수검증인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검증하였고, 치료전후의 변화의 정도에 대한 각 집단사이의 비교는 Kruskal-Wallis test로 검증하였다. 각 집단에서 치료전후의 효과에 대해 비교했을 때 품행장애가 공존된 집단에서 치료전에 비해서 아동행동조사표의 문제행동목록 중 공격성 요인에서 유의한 감소(p<.05)가 보였으며, 사회적 능력 항목중 활동성과 사회성에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지능저하등 다른질환군이 동반된 군에서는 사회기술 평가 척도의 사회기술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세 집단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위 결과로 보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치료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만한 사회기술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품행장애가 동반된 군에서 공격적 행동의 감소를 가져오고 인지능력이 떨어진 군에서 사회기술 호전을 보이는 등 아동의 특성 및 동반증상에 따라 사회기술의 호전 및 증상의 변화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