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city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3초

제주시제 실시이후 50년간의 주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Housing of Jeju City for the past Fifty Years)

  • 이정림;김봉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3-287
    • /
    • 2004
  • Jeju City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variously by influenc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Jeju City was erected into a city on September 1st of 195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information and data for establishing housing policy and urban planning for being considered the change of housing in Jeju City for the past fifty years. The method of the study is an analysis of documentary records and data and an inquiry of literatur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population of Jeju City has increased six times ever before. 2) The ratio of housing supply is 95.3% and the ratio of renting houses has increased than before in terms of the type of occupation of housing. 3) The ratio of collective house is higher than detached dwelling's in term of the type of housing units.

  • PDF

증강현실을 활용한 원도심 상권 활성화방안 (A Method of Commerce Activation of the Old City-Center of Jeju Cit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이봉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7
    • /
    • 2019
  • 제주시는 원도심의 거주인구와 유동인구 모두가 줄어드는 원도심쇠퇴 현상이 나타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제주시 원도심 쇠퇴는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원도심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심관광 활성화 방법과 산업경제 영역 정비를 하여 원도심 상권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시 원도심 공영관광지인 제주목관아에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하여 원도심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문객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주목관아를 소재로 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스마트폰기반으로 구현하고 시범운영을 하면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한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한 홍보를 통하여 제주목관아를 찾은 관람객 57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수행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방법이 유동인구를 증가시킴으로써 원도심 상권 활성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Observational Study of Surface Ozone in Jeju Island

  • Hu Chul-Goo;Lee Ki-H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103-1112
    • /
    • 2005
  • Ozone measurements made from 4 sites in Jeju Island have been analyzed, including those from two urban and two rural locales.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easonal and diurnal trends. It should be clear that the surface ozone levels in Jeju area would be relatively sensitive to the external ozone supply originated from the region of Northeast Asia. It seems to be that due to the reactions of ozone with $NO_{x}$ and CO, the average ozone level in Jeju City appears lower than that in Seogwipo City although Jeju City is the largest city in Jeju Island.

제주시 도심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조성 특성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 허철구;이기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97-610
    • /
    • 2018
  • This study observed particulate matter ($PM_{2.5}$ and $PM_{10}$)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rticulat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water-soluble ionic species contained in the particles. The mass fraction of the ionic species in the sampled $PM_{10}$ and $PM_{2.5}$ was 44.3% and 42.2%, respectively. In contrast, in Daegu City and Suwon City, the mass fraction of the ionic species in $PM_{2.5}$ was higher than that in $PM_{10}$. The chloride depletion percentage of $PM_{10}$ and $PM_{2.5}$ in Jeju City was higher than 61% and 66%,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sea-salt to the mass of $PM_{10}$ (5.9%) and $PM_{2.5}$ (2.6%) in Jeju City was similar to that in several coastal regions of South Korea. The mass ratio of $Cl^-$ to $Na^+$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was comparable to that in some coastal regions, such as the Gosan Area of Jeju Island, Deokjeok Island, and Taean City. The mass fraction of sea-salt in $PM_{10}$ and $PM_{2.5}$ was very low, and the concentration of sodium and chloride ions in $PM_{10}$ was not correlated with those in $PM_{2.5}$ ($R^2$ < 0.2),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sea-salt on the form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Jeju City might be in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NH_4{^+}$ and several anions such as $SO_4{^{2-}}$, $NO_3{^-}$, and $Cl^-$,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ammonium ion concentration, suggested that sea-salts may not react with $H_2SO_4$, and $(NH_4)_2SO_4$ may be a major secondary inorganic aerosol component of $PM_{2.5}$ and $PM_{10}$ in Jeju City.

서귀포는 겨울철에 왜 따뜻할까? 제귀지풍과 귀제지풍 (Why is Seogwipo Warm in Winter? The wind from Jeju City to Seogwipo-The Wind from Seogwipo to Jeju City)

  • 이성국;이문호;김정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21-125
    • /
    • 2023
  • 겨울철에는 제주의 서귀포와 중문 등지는 제주시 지역에 비해 기온이 2~3℃가 따뜻하다. 이유는 한라산을 넘은 북풍이 한라산 백록담을 넘고 해발 1600m의 돈내코의 세로 300m 가로 260m 수직 암벽면을 지나면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로 변하는 단열압축으로 그 온기가 돈내코를 타서 서귀포와 중문으로 날아가기 때문이다. 반대로 여름철에 서귀포 바다를 오른 남풍은 한라산을 넘고 아흔(99)골을 지나면 후덥지근한 습도를 머금은 기온으로 변해 제주시는 무덥다. 즉, 제귀지풍과 귀제지풍 때문이다.

항만수변도시 재생계획의 스마트 성장원칙 활용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제주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Smart Growth Principles for the Port Waterfront city Regeneration Planning - Focused on the Jeju Port Center -)

  • 이생기;최용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9-161
    • /
    • 2018
  • 항만수변도시 재생계획에 스마트 성장원칙을 적용하기 위해 도시계획요소와 성장원칙에 대한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성 분석에서 도출된 스마트 성장원칙을 제주시 탑동 재생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 요소는 ⯈ 걷기에 적합한 커뮤니티 조성, ⯈ 확실한 장소성을 가진 차별화되고 매력적인 커뮤니티 조성, ⯈ 오픈스페이스, 바닷가, 아름다운 자연경관,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보존, ⯈ 기존커뮤니티를 위한 개발 강화와 유도, ⯈ 교통수단선택의 다양성 제공 등이다. 이를 기반으로 제주항 재개발계획에는 ⯈ 복합적 토지 이용 ⯈ 고밀설계방식의 이점활용, ⯈ 다양한 주거기회와 선택권 제공 등을 실시 설계 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통합적인 항만수변도시 재생계획 시 스마트 성장원칙을 적용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주시 미세먼지(PM2.5)에 함유된 원소의 조성특성 및 오염원 (Elemental Composi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PM2.5 in Jeju City)

  • 이기호;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43-554
    • /
    • 2018
  • From November 2013 to December 2016,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PM_{2.5}$) was sampled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South Korea, which has seen rapid urbanization.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elements were measured in the $PM_{2.5}$ samples. This study focused on Cd, Cr, Cu, Mn, Ni, Pb, As, Sb, Sn, V, and Zn. The concentrations of Al, Na, K, Fe, Ca, Mg, Sr, and La were also obtained for refere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ntributions of these elements to $PM_{2.5}$ concentrations in downtown Jeju City, and to investigate the inter-element relationships and the elemental sources by using enrichment factors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A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19 elements constituted 6.65 % of the $PM_{2.5}$ mass, and Na, K, Al, Fe, Ca, Mg, and Zn constituted 98 % of the total ion mass. Seasonal trend analysis for the sampling period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he elements increased from November to April. However, no substantial seasonal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elements. The composition ratios of some elements (Cu/Zn, Cu/Cd, Cu/Pb, V/Ni, and V/La) were found to be out of range when compared to the literature from other urban areas. The ratios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PCA results showed that local contaminant sources in Jeju City rarely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PM_{2.5}$. This suggests that the major sources of $PM_{2.5}$ in Jeju City may include long-range transport of fine particulate matter produced in other areas.

도시확장과 원도심 쇠퇴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제주시 동(洞) 지역을 중심으로 (A Space Syntactic Study on Urban Expansion and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Focusing on Jeju City)

  • 김성훈;오병삼;최내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확장이 원도심 쇠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그 가능성을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방법론으로 검토하고자 제주읍성 일대의 원도심을 대상으로 도시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종단적 분석의 시점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 사이에 1914년, 1972년, 1982년, 1996년, 그리고 2021년 현재의 5개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은 공간구문론의 ASA(Angular Segment Analysis)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시 동지역의 도시구조는 1914년에서 2021년 사이에 큰 변화를 겪어왔다. 도심은 단일핵 구조에서 다핵 구조로 변화하였으며, 원도심이 위치한 구제주 지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접하여, 도시확장이 한라산 자락의 남측으로 편중되어 도시중심부의 위치도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제주시 원도심은 도시공간구조의 역동성에 의하여 도시중심부의 중심지에서 주변지역의 하나로 전락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확장에 의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과정에서 원도심의 도시중심부 이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원도심 쇠퇴의 한 요인으로서 도시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도산 소라의 산지별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PSHELL IN THE JEJU COASTAL WATERS)

  • 이정열;이정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13-219
    • /
    • 1980
  • 1978년 4월부터 1979년 10월까지 제주도의 제주시, 성산포, 모슬포, 서귀포연안에서 채집한 소라를 대상으로 성장 및 바만상태를 형태측정학적으로 산지별 비교 고찰하였다. 1. 각장크기는 모슬포산이 가장 컸고 제주시산이 가장 작았다. 2. 패각상의 제1열 극수는 제주시산이 가장 적었고 모슬포산이 비교적 많은편이었다. 3. 암수간의 성비는 4개지역 모두 1:1로 나타났다. 4. 각장에 대한 각폭의 상대성장관계는 회귀직선으로 표시되는데, 성산포산의 경과값이 가장 작았고 모슬포, 제주시, 서귀포산 순으로 커졌다. 5. 각장에 대한 전중량의 상대성장관계는 지수식으로 표시되며 서귀포, 성산포, 제주시 및 모슬포산순으로 상대성장계수값이 커졌다. 6. 전중량에 대한 육중량의 관계는 회귀직선으로 표시되며 경과값이 가장 작은 것을 제주시산이었고 가장 큰 값은 모슬포산이었다. 7. 소라의 비만상태가 가장 좋은 것을 모슬포산이었고 제주시산이 가장 나빴다. 8. 4개지역에 대한 소라의 성장관계를 유의성검정한 결과 전중량에 대한 육중량의 관계에서 제주시산과 다른 3개지역간에 유의의 차가 있었다.

  • PDF

VESTAP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불 취약성 평가 연구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est Fire in Jeju to Climate Change using the VESTAP)

  • 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가장 최근에 배포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인 VESTAP을 활용하여 RCP 8.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000년대에서 2040년대까지 제주시 및 서귀포시에 대한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취약성 지수는 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종합한 제주도 전체 읍면동의 산불 취약성 평가에 활용하였는데, 취약성이 높은 상위 10개 읍면동으로 제주시는 도서지역인 추자면과 우도면 그리고 2개의 동지역이, 서귀포시는 대정읍과 5개의 동지역이 산불에 대한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