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확장과 원도심 쇠퇴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제주시 동(洞) 지역을 중심으로

A Space Syntactic Study on Urban Expansion and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Focusing on Jeju City

  • 투고 : 2021.11.08
  • 심사 : 2021.12.10
  • 발행 : 2021.12.30

초록

본 연구는 도시확장이 원도심 쇠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그 가능성을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방법론으로 검토하고자 제주읍성 일대의 원도심을 대상으로 도시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종단적 분석의 시점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 사이에 1914년, 1972년, 1982년, 1996년, 그리고 2021년 현재의 5개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은 공간구문론의 ASA(Angular Segment Analysis)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시 동지역의 도시구조는 1914년에서 2021년 사이에 큰 변화를 겪어왔다. 도심은 단일핵 구조에서 다핵 구조로 변화하였으며, 원도심이 위치한 구제주 지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접하여, 도시확장이 한라산 자락의 남측으로 편중되어 도시중심부의 위치도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제주시 원도심은 도시공간구조의 역동성에 의하여 도시중심부의 중심지에서 주변지역의 하나로 전락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확장에 의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과정에서 원도심의 도시중심부 이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원도심 쇠퇴의 한 요인으로서 도시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urban expansion can act as a cause of the decline of the original city center through the Space Syntax methodology.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the downtown area of Jeju-eupseong. The time points for longitudinal analysis were set at five points between 1914 and 2021 inclu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cadastral map was drawn up in Jeju City,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as analyzed and compared for each time point. ASA (Angular Segment Analysis) was used as a technique for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urban expansion is a cause of the decline of the original downtown. The original city center has moved away from the center as the urban structural change due to the urban expansion. The urban structure of the eastern part of Jeju City has undergone a major transformation between 1914 and 2021. As the old Jeju area where the original city center was located is geographically in contact with the sea, urban sprawl has been made toward Halla Mountain and further to the south of Jeju. Accordingly, the city center has transformed from a monocentric to a polycentric structure. Due to the dynamics of the urban sprawl, the old downtown of Jeju became one of the peripheral neighbourhoods in the Greater Metropolitan of Jeju.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학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참고문헌

  1. 강효정.최재필(2007), "공간분석이론을 활용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 후 광주 구도심의 공간구조 변화 예측",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6): 229-236.
  2. 건설부(1974), 「제주시 1차 도시계획 재정비」, 서울
  3. 건설부(1982), 「제주시 1차 도시기본계획」, 서울
  4. 건설교통부(2001), 「2021년 제주도시기본계획」, 서울
  5. 공은미.김영욱.신행우(2009), "도시성장에 따른 도시 공간구조 및 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3): 19-32.
  6. 김민아.이태호.반영운(201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서울과 평양의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 분석", 「도시행정학보」, 25(1): 161-179.
  7. 김봉애.이정림(2005), "1955년 이후 50년간의 제주시 주거지와 주택 변화", 「탐라문화」, 26: 1-15.
  8. 김상훈.김영욱.지봉근(2021),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의 건축물 용도변화 양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9): 11-19. https://doi.org/10.5659/JAIK.2021.37.9.11
  9. 김성훈.최내영(2020),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관광객 동선의 이질성 분석", 「LHI Journal」, 11(3): 39-48.
  10. 김종형.이미영(2016), "도시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한 공간구문론과 Logit 모형의 통합방안", 「한국 ITS 학회 논문지」, 15(5): 62-70.
  11. 신행우(2002),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시 수원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12. 오충원(2004), "GIS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 공간 구조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38(4): 573-583.
  13. 양상호(2011), "구한말 제주읍성의 도로체계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0(6): 169-184.
  14. 연경환(2007),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청주시 가로망 형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5. 이우형.김영욱 (2001), "서울의 도시공간구조와 기능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3(1): 41-57.
  16. 장동국(2004), "도시공간구조와 공간이용", 「국토계획」, 39(2): 35-46.
  17. 정영환(2007), "대규모 개발에 따른 도시공간의 구조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18. 차호철.박철민(2010), "제주시 구도심 상권의 쇠퇴 원인에 관한 연구 -토지이용 및 건축물 등의 물리적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1): 25-32.
  19. Hall, P. and D. Hay (1980), Growth Centres in the European Urban System,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Hillier, B. and J.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Hillier, B. (1999), "Computers and Culture-the Theory of the City as Object",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43(11): 17-19.
  22. Suarez-Villa, L. (1988), "Metropolitan Evolution, Sectoral Economic Change, and the City Size Distribution", Urban Studies, 25: 1-20. https://doi.org/10.1080/00420988820080011
  23. van den Berg, L., R. Drewett, L. H. Klaassen, A. Rossi and C. Vijverberg (1982), A Study of Growth and Decline: Urban Europe, Oxford: Pergam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