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em Level

검색결과 1,286건 처리시간 0.032초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광주지역 민방위비상급수용 지하수 수질 오염도 분석 및 시각화 연구 (Visualization and contamination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of CDEWSF in Gwangju area using statistical method)

  • 장서은;이대행;김종민;김하람;정숙경;배석진;조영관
    • 분석과학
    • /
    • 제31권3호
    • /
    • pp.122-1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민방위비상급수시설 101 개소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1년 동안 측정한 지하수 수질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시설별로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횟수와 평균농도 분석 및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4 개의 오염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현황별로 각 항목의 지하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민방위 비상급수 15 개 항목에 대한 수질기준초과횟수, 평균농도분석, 경향성분석의 세가지 오염지시인자를 분석하여 합산한 결과 Turbidity (51.5 %) > Color (32.7 %) > Nitrate nitrogen (28.7 %) > Hardness (25.7 %) 순으로 오염 지시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오염등급 분석결과 안전(0)부터 오염심각(3)까지 오염등급이 다양하게 분포한 Turbidity, Color, Nitrate nitrogen의 3 개 항목을 제외하면 12 개 항목의 수질 오염등급은 전체의 25 %는 '오염가능한 등급(1)'으로, 75%는 '안전한 등급(0)'으로 평가되었다. QGIS를 이용하여 오염 지시율이 높게 평가된 4 개 항목(Turbidity, Color, Nitrate nitrogen, Hardness)은 오염지도에 작성하여 오염등급을 시각화하였다.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 및 문제해결 능력 (Young Children's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Preventing Climate Change)

  • 정현심;안재현;성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34-3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 및 문제해결 능력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및 6세 유아 12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환경보존 지식 검사도구를 수정해 10문항을 사용하였고, 기후변화 대응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안전문제해결능력 검사 문항을 기후변화 대응능력과 관련된 내용으로 수정하여 5가지 문제해결 상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 6세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과 기후변화 대응 문제해결 능력은 만 5세 유아에 비해 더 높았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기후변화 대응 문제해결 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간 관련성을 확인시켜주었으며, 기후변화 대응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유아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Change,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s)

  • 김용익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1-130
    • /
    • 2011
  • 이 연구는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변인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카이자승, 근사치 오차평균제곱근(RMSEA), 적합지수(GFI), 조정적합지수(AGFI), 표준적합지수(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기술교육 혁신요구는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과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은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교사들이 변화에 몰입하여 기술교육이 더욱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술교사들 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기술교사들이 기술교육의 현황을 분명하게 인식함으로써 기술교육 혁신의 필요성에 공감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교사들의 기술교육혁신 요구, 변화몰입, 커뮤니케이션, 자기효능감 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이 연구는 기술교육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것으로 추후에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적인 변인 도출, 기술교육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한 방안 등의 연구가 요구된다.

여성결혼이민자 취업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에 관한 델파이분석 (A Study on Supportive Measures to Improve the Job Training and Employment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by Delphi Survey)

  • 이오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97-20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높은 취업욕구를 전제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취업에 필요한 조건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 관련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3년 12월 20일부터 2014년 6월 5일까지 3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조사도구의 내적 신뢰도 검사를 위해 Kendall's W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 본인, 자녀, 시부모나 남편, 기관, 그리고 정부 등 5가지 차원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그리고 정책적 내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프로그램의 중요도는 수준별 한국어교육의 체계화가 가장 높게 나왔고 취업교육 중 탁아서비스, 시부모와 남편의 배려, 자녀 양육보조 서비스, 기관의 프로그램 개발, 정부 부처 간 연계 및 통합시스템 등이 중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델파이 조사결과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켄달의 W검증을 한 결과, 중요항목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이 통계적으로 일치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취업욕구와 연계된 다양한 수준의 한국어교육 체계 구축, 가족의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서비스 마련, 한국의 직장문화에 대한 소양교육, 정책적 재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산모와 배우자의 태교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elivered Woman and Her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 문희수;최의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83-59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the fetal education effectively for the delivered woman and her husban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99 delivered women and their 171 husbands at sev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rom February 28 to March 26, 2002.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included the purposes, the cognition and the practice of fetal education. The SAS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character of subject was analyzed by the percent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fetal education was analyzed by t-test, ANOVA, Wilcoxon rank sum test. The factor analysis affected on the practice of fetal education was adopt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purpose of fetal education, the well- balanced emotion showed the highest mark. The cognition of fetal education(woman:$4.39{\pm}0.52$, husband:$3.88{\pm}0.70$) and the practice (woman:$3.88{\pm}0.60$, husband:$3.83{\pm}0.70$) showed the relatively high mark, but the score of cognition showed higher than that of practice. 2. In the comparison of the cognition between the delivered woman and the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the item of the mental or health state would affect unborn baby, which occupied the highest mark in both woman and the husband(woman:$4.81{\pm}0.44$, husband:$4.81{\pm}0.50$). But they were prohibited to eat the deformed food, which showed the lowest mark(woman:$3.19{\pm}1.12$, husband:$3.21{\pm}1.29$). 3. In the comparison of the practice for the fetal education between the delivered woman and the husband, the practice for the healthy baby showed the highest mark in woman ($4.51{\pm}0.71$), whic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25), compared with that of the husband($4.13{\pm}0.99$). 4. I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and practice for the fetal education, the general character was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marriage, the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the support of husband on pregnancy. The mark was associated with the age of woman,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first birth. 5.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actice for the fetal education were connected with the cognition of fetal education, age, satisfaction with marriage, the support of husband on pregnancy, the type of family, the experience of delivery and the state of health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etc. In conclusion, it is indicated to make effort for transform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fet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fetal educa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fetal education might be recognized by all members of family, and the importance of husband's role for the fetal education should be informed as well as that of woman's.

  • PDF

재가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고령자의 생활기능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SEP on elderly Women's Life Function Fitness and Health-related QOL)

  • 김윤식;신상근;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81-3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70세 이상의 여성고령자들에게 재가운동 프로그램(home support exercise program)을 16주간 주3회씩 실시하여 생활기능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SF-36)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총17명, 평균나이:79.4)과 통제군(총17명, 평균나이:80.7)은 부산시 연제구에 거주하며 신체적 외상이나 거동에 불편함이 없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성 고령자로 구성하였다. SAS 9.2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집단간 기술통계와 동일성 검증 및 사전측정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덤벨 들기, 일어섰다 앉기, 2.24m 왕복달리기, 2분간 제자리 걷기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성을 측정하는 등 뒤 손잡기 항목에서는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점은 재가운동프로그램에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항목을 추가하여 보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셋째, SF-36을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는 8개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실험군과 통제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다만 통증과 활력 하위요인에서 운동을 처방받은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p<.10 수준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를 미세하게 시사하였다.

복합구조 모형을 토대로 한 대학생 자기주도학습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Complex Structure Model)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82-392
    • /
    • 2016
  • 본 연구는 복합적 구조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들을 위한 복합적 구조의 자기주도학습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 및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서 동기와 학습실행 행동(학습목표 설정, 학습 계획 수립, 학습 활동, 학습결과 평가 행동)과 학습관리 행동(자기관찰, 자기검토, 자기수정)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19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고, 114개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다. 먼저 예비 척도를 개발하여 수도권의 D대학 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하위 요인의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제외된 문항 없이 본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의 D대학 학생 674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는 목표행동 (.834), 목표관찰(.809), 목표검토(.839), 목표수정(.773), 계획행동(.765), 계획관찰(.861), 계획검토(.890), 계획수정(.810), 학습전략(.784), 학습관리(.775), 학습유지(.809), 자원획득(.828), 학습관찰(.846), 학습검토(.827), 학습수정(.830), 평가행동(.892), 평가관찰(.866), 평가검토(.891), 평가수정(.868)로서 모든 하위 요인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초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모형 수정지수를 고려하여 1차 수정한 결과 ${\chi}^2$(563.254), CFI=.963, NFI=.951, RMSEA=.064로 나타나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V) -연삭(硏削)·마찰(磨擦)의 조합식(組合式) 정백작용(精白作用)이 정백성능(精白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 (IV) -Rice Whitening Performance of the Combined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 김삼도;정창주;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72-85
    • /
    • 1983
  • Rice whitening is performed by basically two different whitening actions known as abrasive and frictional. The former adopted in the emery stone abrasive type whiteners and the latter in the jet-air friction type. Comparative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ies between the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whiteners only and the system consisting of both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s have not yet been rigorously defined.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bined operations of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 rice whiteners on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ies. The small capacity commercial units of the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The combinations of whitening treatments were: 1) Once in the abrasive type and then two to three times in the friction type, 2) twice in the abrasive and then two to three times in the friction type and 3) three to five times in friction type. In these tests, counter pressures for the friction type whiteners were established differently as required to get about the same degree of whitening at the end of predetermined numbers of the repeated operations. The speed of emery stone and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were also the factors varied in the abrasive type whitener. Sheukwang rice variety having 13.05% M.C. was used in the tes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milled- and head-rice recoverie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in the whitening systems consisting of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slot angle of the screen, the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y. In general, the increase of the emery stone roller speed from 690 to 950 rpm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milling yield, and one-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had higher milling yields than two-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2. It was apparent that if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and the speed of emery stone roller are modified and set at an optimum level, the combination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is better than the pure frictional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in terms of milling yields and efficiencies. 3. In the rice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 whiteners, the best whitening performance was obtained when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were $45^{\circ}$ and 950rpm, respectively, for the one-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However, for the two-pass abrasive mi11ing combinations, the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ith $75^{\circ}$ of slot angle and 950 rpm of the emery stone roller speed. 4. As compared with pure frictional whitening systems, the combination systems produced more milled rice by 0.8-1.0% point and more head rice by 0.5-1.5% point, and consumed less electricity by 0.15-0.20 KwH per 100kg of milled rice when the abrasive whiteners were operated in the modified conditions as described in item 3 above.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find out optimum operational and design conditions of abrasive type whiterners.

  • PDF

농약사용 지표설정을 위한 수도용 농약사용량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in Paddy Rice for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 권오경;홍수명;최달순;성기석;임양빈;강충길;송병훈;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39
    • /
    • 2000
  • 국내 농업환경 중 농약지표 설정을 위해 16개 지대 29지역 100농가를 대상으로 수도 재배용 농약 실제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농약별 실제 사용량에 따른 잔류 경향을 알아보고자, 조사농가에서 재배된 벼의 현미 및 볏짚 중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수도재배시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은 살충제 43%, 제초제 29%, 살균제 27%를 나타냈으며, 살충제 중 주요 사용농약은 carbofuran, BPMC, cartap 등이었다. 제초제는 혼합제인 molinate+pyrazosulfuran-ethyl과 butachlor, 살균제의 경우 IBP와 혼합제 isoprothiolan+tricyclazol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었다. 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입제농약 위주의 사용경향을 나타냈으며 GR>DP>WP>EC>FG>SP 순이었다. 수도재배 단위면적당(a.i./ha) 농약사용량은 7.13 kg이었으며, 전국 총 사용량을 추산한 결과 8,387 M/T로 추정되었다.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과 출하량과의 일치도는 살충제 84.3%, 제초제 77.8%, 살균제 94.7%로 나타났고 총 실물량 일치도는 97%이었다. 농약 실제 사용량에 따른 농약잔류성은 살균, 살충제로서 사용 빈도가 높은 농약인 BPMC와 IBP가 $57.7{\sim}94.9%$의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냈으며, 이들 농약의 잔류수준은 허용기준 미만이었다.

  • PDF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 노영희;한유정;양경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7-199
    • /
    • 2002
  • This descriptive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quality of life score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agnostic related characteristics, physical symptom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s on attempt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them attain better qualify of lif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4 out-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t C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from June, 1998 to July, 2000. The data were obtain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technique. The tool of this study was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Ro Yoo J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fo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GL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average score for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was 137.22 and the range was from 38 to 227, item mean score(range 1-5) was 3.15. For each factor in qualify of life of life score, the mean scores(range 1-5) were as follows; family relationship 3.69, relationship with neighbors factor 3.40, self esteem 3.10, physical state and function 2.95, economic life 2.91, emotional fate 2.88. 2. The incidence of physical symptoms was seen fatigue($82.4\%$), skin change($43.2\%$), alopecia($41.9\%$), pain($41.9\%$), anorexia($39.2\%$), anemia($39.2\%$), and headache($31.1\%$) in that order. 3.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scores and demogaphic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F=3.44, p=0.013), educational level(F=3.84, p=0.007), duration of marriage((F=5.06, p=0.003) and monthly income(F=4.72, p=0.005).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life scores and diagnostic related characteristics was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cidence durations(F=5.02, p=0.003). 5. The correlation of emotional state, economic life, self esteem, physical sate & function, relationship with neighbors, relationship with family in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