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ntion education cent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발명 교육 센터에 대한 사회적 인식 (Social Perception of the Invention Education Center as seen in Big Data)

  • 이은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71-80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발명 교육 센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TEXTOM 사이트를 이용하여 네이버와 다음 사이트의 블로그, 카페, 뉴스 채널에서 '발명+교육+센터'를 검색 키워드로 2014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TEXTOM 사이트에서 정제하였으며, 텍스트 마이닝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위해 TEXTOM 사이트, Ucinet 6, Net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와 2차의 정제 과정을 거쳐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주요 키워드 6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요 키워드는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학생', '운영',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등이 의미 있는 키워드임을 확인하였다. 의미 연결망 분석 결과 발명 교육 센터와 관련된 '교육 운영', '발명 대회', '교육 과정 및 진행', '사업 모집 및 지원', '주관 및 선정 기관' 등 5개의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명 교육 센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나 정책 입안자의 학술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Suggestions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 박기문;이규녀;이병욱;나영민;이경표;손다미;이상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확대 발전하기 위하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명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발명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 소속의 발명영재 교원과 발명영재 관련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M=3.0)이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육 자료', '교원대상 연수프로그램', '지원기관의 인 물적 지원체제' 분야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영재교육의 발전과 효율성을 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의 연구 전문기관을 지정 또는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발명영재교육 전문 연구기관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특히 전문 연구기관의 중점 요구분야는 '영재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 개발', '교원 연수 자료의 연구 개발 및 연수 실시'이다. 셋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은 현재 발명영재교육을 수혜하는 학생들이 9개의 발명영재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하여 발명 지식과 사고 영역의 '발명 지식'과 발명 태도 영역의 '기업가 정신' 은 다소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명영재 선발 모형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낮게 나타난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기술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the experi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of pre-technology teacher with Invent touring activity)

  • 최유현;임윤진;이은상;이동원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6-175
    • /
    • 2013
  • 이 연구는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 기술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은 발명교육의 중요 활동인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기부활동 평가를 포함한다. 이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C대학교 기술교육과의 전공 및 부전공 학생 20명이다. 교육기부활동은 D아동지역센터, K대안학교, D초등학교, D중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교육기부활동과 교수효능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검사도구는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를 예비기술교사에게 맞게 수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3명이 참여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는 .840, 사후검사는 .746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도구는 SPSS 19.0 이다. 연구 결과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예비기술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질적인 고찰을 실시한 결과 교육활동을 통해 인성이 긍정적으로 변화였고, 무엇보다 기술교과지도를 위한 교수역량개발의 기회가 되었다고 답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기술교사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전략으로 교육기부활동의 체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A Study of Teaching-Learning Practices in Education Center for the Talented in Invention)

  • 박광렬;최호성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281-300
    • /
    • 2011
  • 최근 영재교육의 영역이 다양화되는 추세 속에서 발명영재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2010년부터 지역교육청에서는 기존의 16개 '발명교실' 시스템을 영재교육원의 '발명 영재학급'으로 전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렇지만 발명영재교육의 실천 역사가 일천한 탓에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체계적 분석 시도가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도교육청 산하 발명 영재교육원의 교수-학습 사태를 분석하여 영재아의 특성에 부합하는 발명영재교육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VanTassel-Baska의 수업관찰 분석(COS-R)기법을 활용하여 발명영재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행위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수 행위의 특징'은 교육과정 계획과 실행, 문제 해결력, 창의적 사고력 등이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연구방법, 비판적 사고력, 개인별 수준 고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교수 행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정도'는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이 같은 비율로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창의적 사고력, 일반적 수업 활동, 연구 방법, 개인별 수준 고려 순이었다. 두 영역 모두 개인별 수준 고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발명 영재교육원의 발명 교수 학습 행위는 개인별 수준 고려와 발명 영재 탐구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교수 학습 환경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트리즈(TRIZ)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Korea's TRIZ)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3-1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s TRIZ research trend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setting a direction for future TRIZ research by analyzing TRIZ-related research over the past 15 years, or from 1998 to 2013.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6 published studies, including 149 studies in academic journals, 97 master theses, and 10 doctorate theses.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cademic journals were the most frequent form of publication of TRIZ-related studies, followed by master's degree theses, and doctorate theses. Second, two or more TRIZ tools were used to solve problem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was technical contradiction as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for TRIZ research topics. This signified that it was easier to solve problems when various TRIZ tools were used, rather than applying a single TRIZ tool while technical contradiction was considered to be actively used as it allowed the relatively easy understanding of TRIZ. Third, the use of TRIZ research topics had increased and diversified each year. This could be interpreted to be based on th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RIZ. Fourth, case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in TRIZ-related research. This was because various TRIZ tools were applied on problem solving situations, which were directly proposed as the research result. Fifth, the use of TRIZ was increasing in the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it was noted that TRIZ was used in creativity education with the use of 40 invention principl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트리즈로 분석한 코로나19 대응 선별진료소의 진화 (The Evolution of Screening Center for COVID-19 Analyzed by TRIZ)

  • 송창룡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39-149
    • /
    • 2022
  • Korea's Corona 19(COVID-19) quarantine, referred to as 'K-Quarantine', is a globally recognized quarantine system that has achieved both conflicting goals: health and economy. The quarantine system represented by 3T(Test-Trace-Treat) is not a method of blocking an area, but a method of screening and treating infected and non-infected persons. The screening center,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is screening treatment system, has evolved to suit the timing and situation of COVID-19, and has succeeded in initial response by conducting large-scale tests quickly and safely. By analyzing the evolution of screening centers that produced such significant results from a problem-solving point of view, it proved its meaning as a practical success case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 addition, the usefulness of TRIZ (Russian abbreviation of Theory of Solving Inventive Problem), a creative problem-solving theory, was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actual verified cases of COVID-19 response. TRIZ is a problem-solving theory created by analyzing the regularity of invention patents, and is widely used not only in the technical field but also in the non-technical fields such as design, management,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meaning and practical examples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system analysis and TRIZ application from a problem-solving perspective.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for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 in Invention and Patent field)

  • 임윤진;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 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 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 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 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TEC's In-Service Teacher Training)

  • 문대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7-104
    • /
    • 2015
  •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현직교사 대상의 발명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1년 후 시점에서 이수자가 인식하는 학습 파지도, 연수 유용도, 연수 내용의 교육 활용도, 발명교육 능력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3년 동남권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현직교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 후기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60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30명, 연수 후기 작성에 참여한 인원은 12명이다. 동남권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2013년에 추진한 현직교원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 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0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연수 이수 1년 후 이수자가 인식하는 현업적용도의 하위 항목은 교육능력 향상도 4.39점, 연수 유용도 4.11점, 교육 활용도 3.94점, 학습 파지도 3.82점의 순이다. 현업적용도의 전체 평균 4.07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교육능력 향상도와 연수 유용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교육 활용도와 학습 파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다. 연수 이수자의 현업적용도에 대한 질적 분석 자료로 확보한 12편의 연수 후기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 파지도, 연수 유용도, 교육 활용도, 교육 능력 향상도를 직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사례를 도출하였다.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An fMRI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Emotional Susceptibility)

  • 조선희;이민주;최유용;김희백;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03-5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nalysis of Distribution Channel of Korea New Sports: Focusing on Two Two Ball

  • KIM, Chang Won;KIM, Hae Yu;SEO, Won Jae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1-16
    • /
    • 2019
  • Purpose: New sports is a modified physical activity which is developed for participants to easily learn and play. This study is to analyze distribution channels and related strategies of Korea new sports and to discuss strategies for promoting Korea new sports, especially for two-two bal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s including documents of Dae-Han two-two-ball association and new sports related research articles. Results: First, Dae-Han two-two-ball association has introduced two two ball to consumers via educ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and youth education sectors. Second, Dae-Han two-two-ball association has introducted two two ball to school teachers by teacher training sessions. Third, Dae-Han two-two-ball association has educated future instructors and provided certificates to them. Fourth, Dae-Han two two ball association has applied governmental projects and sought to promote domestic new sports. Finally, Dae-Han two two ball association has hosted national events every year for facilitating Korea new sports across nat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Korea new sports shoud be spread out by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Two-two ball association needs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al and managerial process for training instructors. Finally, Two-two ball association needs to make opportunities of teacher training sessions.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