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Music Education Program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보육교사의 음악-수학 통합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Integrating Music-Mathematics Activities)

  • 권수현;최정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3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01 childcare teachers from Seoul and surrounding areas. Surveys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on their background, implementation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ed. Additionally, a tool was also developed and utilized to measure the actual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activities, they seldom implement them due to challenges related to resources and comprehension of concep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were found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workplace type, age group of children under their care,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long with support in educational materials for childcare teachers. These efforts are crucial to facilitat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통합적 유아음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ntegrated Music Education Programs - focused on Amadeus program -)

  • 서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40
    • /
    • 2009
  • 본 연구는 통합적 음악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2곳, 만 5세 아동 각 6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 Amadaus프로그램을 교육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볼 내용은 Amadaus 실제 교육내용과 방법을 분석하고, Amadaus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도구는 각 개인의 향상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PMMA (The Peimary of music Audation) 를사용하여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madaus프로그램에 대한 내용과 교육방법을 분석하였다. 둘째, Amadaus프로그램 실시 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음악성 하위요인 - 음감, 리듬감 -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 Amadaus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with AI Literacy

  • Jihye Kim;Sun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81-288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AI 리터러시 영역별 목표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음악, 체육과의 목표 연구, 통합예술교육의 목표와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개의 주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학생에게 수업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AI 리터러시 사전/사후 검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수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3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AI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예술치료교육의 개념 정립과 정의 (Delineating and Defining School-Based Arts Therapy)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
    • /
    • 2008
  •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의 하위개념으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개념화 되고 있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중심의 예술치료교육의 대상, 목표, 예술매체의 치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개념 정립과 정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예술치료교육은 음악, 미술, 그리고 운동/동작 등의 예술매체를 사용하여 아동의 심리 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를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교육적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전반적 성장을 돕는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접근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와 학교라는 현장성, 학교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따른 치료 목표도 타 임상 현장과는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방과 후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따라 예술치료교육 전문성 강화 방안과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PDF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Involving Children's Song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 김성미;김현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9-260
    • /
    • 2015
  •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H지역에 소재한 J유치원 만 4세 유아 4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12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24회 활동을 진행하였다. 한 회기 마다 동요를 배우고, 부르는 활동을 시작으로 이야기 나누기, 음악활동, 과학활동, 조형활동, 동작활동, 문학활동, 요리활동 등의 통합적으로 구성된 인성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과 인성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들 간 정서지능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과 인성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들 간 공감능력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앞으로 인성 교육활동을 위해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부를 수 있는 동요에 대한 창작과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가능성 탐구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nts in the elderl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 양수경;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95-500
    • /
    • 2020
  • 우리나라 노인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건강에 대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치매 발병률이 증가되고 있음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치매는 발병 후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한 만큼 노인의 치매 예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양수경, 고보숙, 박정환(2019)의 연구에서 2000년~2018년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에서 분석한 통합프로그램 11편을 기반으로 유아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 문헌연구를 살펴보았다. 활동유형별로 음악, 언어, 신체활동이 각각 4개(40.0%)로 나타났고, 게임, 미술, 작업이 각각 3개(30.0%)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 문학, 전통놀이, 레크레이션이 2개(20.0%)로 나타났고, 요가와 생활은 각각 1개(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노인에게 있어 놀이는 유아 뿐만 아니라 노인들에게 신체 운동능력과 긍정적인 정서, 정서적 특성 등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을 위한 유아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치매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집단활동의 경험과 정신건강을 유지하면서 여가시간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 현황과 방향 제언 - 교육 과정 분석 및 교사의 문화유산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ocused on curriculum analysis and teacher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iences)

  • 한건수;김다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32-151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 문화유산이 학교에서 어떻게 교육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는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개 교과서를 살펴보고 문화유산 교육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유산 교육의 목표를 시민성 함양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유산 교육에서 무엇을 교육 내용에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학생 환경, 지역 사회 환경, 교과 내용 등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유산 교육은 문화유산이 현재 세대에서 미래 세대로 이어질 수 있게 지속 가능 발전 개념과 연계되어야 한다. 문화유산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지역별 정체성, 문명 간 대화와 이해, 창의성의 원천 등 특성을 갖고 있어서 지속 가능 발전의 토대가 된다. 넷째,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단계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성패는 교사 연수에 달려 있다. 다섯째, 문화유산 교육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정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향유하고 보호하고 지속 가능 발전 사회와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