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Integrating Music-Mathematics Activities

보육교사의 음악-수학 통합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 권수현 (명지전문대학 유아교육과) ;
  • 최정아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4.03.05
  • Accepted : 2024.04.22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01 childcare teachers from Seoul and surrounding areas. Surveys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on their background, implementation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ed. Additionally, a tool was also developed and utilized to measure the actual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activities, they seldom implement them due to challenges related to resources and comprehension of concep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were found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workplace type, age group of children under their care,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long with support in educational materials for childcare teachers. These efforts are crucial to facilitat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영 (2007).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의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수현, 박선미 (2013).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 인식 및 이해수준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의 차이, 육아지원연구, 8(2), 131-154. https://doi.org/10.16978/ECEC.2013.8.2.007
  3. 권혜리, 김지연 (2020).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개인특성 및 근무여건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169-188.
  4. 김나연, 박은혜 (2017).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과 수학에 대한 태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439-463. https://doi.org/10.24211/tjkte.2017.34.2.439
  5. 김난실, 권수현, 이승연 (2013). 보육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의 관계및 변인별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281-304. https://doi.org/10.24211/tjkte.2013.30.1.281
  6. 김남연, 김명정 (2013).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107-130.
  7. 김동환, 지성애 (2019).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0(4), 67-92. https://doi.org/10.15409/riece.2019.20.4.4
  8. 김말숙, 백지혜 (2019). 동작을 활용한 음악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 및 수학개념에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1(1), 113-134.
  9. 김미영, 성연정, 홍혜경 (2009).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음악적성에 미치는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393-413
  10. 김민정 (2022). 동시대 미술감상 기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정서창의성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 549-565.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2.549
  11. 김성윤, 김권일, 김영옥 (2015).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453-485. https://www-dbpia-co-kr-ssl.access.ewha.ac.kr/pdf/pdfView.do?nodeId=NODE07006484
  12. 김은정, 이정욱 (2005). 유아수학과 음악의 통합 교육을 위한 이론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201-220.
  13. 김지숙, 이경화 (2018). 측정놀이가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291-310. https://doi.org/10.22155/JFECE.25.2.291.310
  14. 김찬미 (2020).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및 전문성 지원방안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및 요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종희, 김은정 (2019).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과학적태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4(6), 315-345. https://doi.org/10.20437/KOAECE24-6-12
  16. 단은미, 조유나 (2009). 동화를 활용한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4), 333-354.
  17. 마송희 (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227-247.
  18. 박영희, 채영란 (2010). 음악을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 음악능력에 미치는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28(1), 123-145.
  19. 박주연, 이민정 (2015).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 차이. 유아교육연구, 35(5), 213-227.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5.010
  20. 박진성, 신현정 (2009). 수학-음악 통합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음악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3), 97-116.
  21. 박형신, 김정주 (2012). 음악요소 중심의 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2), 289-310.
  22. 백지혜 (2014). 음악개념중심의 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수학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3), 313-331.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3.015
  23. 백지혜, 김선영 (2011). 과학활동을 통합한 음악 소리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6), 455-478. https://doi.org/10.18023/KJECE.2011.31.6.020
  24. 서영민, 이순형 (2018). 패턴중심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패턴인지 및 음악창의성에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8(6), 65-89.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6.003
  25. 성원경, 이춘자 (2012).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실천유아교육, 17(1), 1-18.
  26. 손윤경, 김신덕, 김규수 (2005). 음악감상활동을 통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229-245.
  27. 송선화 (2012).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송여숙 (2012). 음악 전담교사에 의해 실시되는 영유아 음악교육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연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57-274.
  29. 신은수, 김현진 (2013).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 한국보육학회지, 13(1), 1-20.
  30. 안경숙, 이옥주 (2003). 소리에 대한 음악과 과학교육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미치는영향. 음악교육연구, 24, 49-65.
  31. 양선영, 김지현 (2017).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4(3), 91-109.
  32. 엄정애, 송정 (2008).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인식 및 활동 수행 정도. 교과교육학연구, 12(2), 471-491. https://doi.org/10.24231/RICI.2008.12.2.471
  33. 윤애희 (199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수학교육현황 및 교원의 인식에 대한 조사. 한국어린이육영회, 8, 38-59.
  34. 윤영배, 강보라 (2016).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과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음악교육공학, 26, 75-95.
  35. 윤혜자, 정가윤 (2013). 국악장단을 리듬패턴으로 활용한 유아음악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문화예술교육연구, 8(3), 145-167. https://doi.org/10.15815/kjcaes.2013.8.3.145
  36. 이경우, 홍혜경, 신은수, 진명희 (1999). 유아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37. 이금구, 이정욱 (2010). 유치원 수학활동에 나타난 교사의 교수전략 고찰. 유아교육연구, 30(5), 291-309.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5.013
  38. 이미숙, 조성연 (2019).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2), 125-144.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2.125
  39. 이보람, 백지혜 (2016). 리듬강화 음악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5), 79-102. https://doi.org/10.20437/KOAECE21-5-04
  40. 이상미 (2011).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 및 음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4), 117-139.
  41. 이성희 (2022). 수학과 음악과의 융합교육 자료개발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승미, 김민진 (2012). 음악동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성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341-363.
  43. 이인원, 김숙자 (2006).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305-329.
  44. 정단비, 김지은 (2015).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151-17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51
  45. 정혜영 (2015). 수학적 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교수실제 탐구. 유아교육연구, 35(6), 317-337.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15
  46. 조홍자, 홍지명 (2015). 음악.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6), 423-446.
  47. 주간동아 (2021. 2). 수를 노래하는 음악, 음을 계산하는 수학. https://weekly.donga.com/3/all/11/2437858/1에서 2021년 2월 16일 인출
  48. 최은실, 심성경, 변길희 (2016). 음악감상에 기초한 문학-음악 연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성향과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육아지원연구, 11(1), 189-207. https://doi.org/10.16978/ecec.2016.11.1.009
  49. 홍혜경 (2013).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MKT)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연구, 34(1), 157-175.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1.007
  50. 홍혜경, 김영옥 (2001). 유아사회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1(1), 27-49.
  51. Bredekamp, S., & Rosegrant, T. (1995). Reaching Potentials: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 Volume 2. NAEYC.
  52. Bredekamp, S., &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Revised ed.). NAEYC.
  53. Edelson, R. J., & Johnson, G. (2003). Music makes math meaningful. Childhood Education, 80(2), 65-70. https://doi.org/10.1080/00094056.2004.10521259
  54. Geist, K., & Geist, E. A. (2008). Do Re Mi, 1-2-3: That's how easy math can be: Using music to support emergent mathematics. Young Children, 63, 20-25.
  55. Geist, K., Geist, E. A., & Kuznik, K. (2012) The patterns of music: Young children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beat, rhythm, and melody, Young Children, 67, 74-79.
  56. Geist, E. (2023. 11). Support Math Readiness Through Music Articles for Families on Creative Arts and Music. Retrieved November 2, 2023 from https://www.naeyc.org/our-work/families/support-math-readiness-through-music
  57. Karali, Y. (2022). Difficulties classroom teachers encounter in teaching mathematics: A phenomenolog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18(5), 75-99. https://doi.org/10.29329/ijpe.2022.467.5
  58. Kim, J., & Choy, D. (2005). Investig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elf perception on musical knowledge and teaching 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81-98.
  59. Kim J., Lee, S. Y., Kwon, S., & Park, S. (2011. 4). The gap between what know and what you think you know [Paper presentation].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U.S.A.
  60. Loy, G. (2011). Musimathics, Volume 1: The Mathematical Foundations of Music. The MIT Press.
  61. NAEYC & NCTM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 Promoting good beginnings. NAEYC.
  62. NCTM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옮김). 경문사. (원판 2000).
  63. Rothstein, E. (2002). Emblems of Mind: The inner life of music and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4. Samsudin, M., Bakar, K., & Noor, N. (2019) The benefits of music and movement in early mathematics. Creative Education, 10, 3071-3081. https://doi.org/10.4236/ce.2019.1012231
  65. Schilling, W. A. (2002). Mathematics, music, and movement: Exploring concepts and connec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3), 179-184. https://doi.org/10.1023/A:1014536625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