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ion of nitric oxide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63초

Diallyl Disulfide Prevents Cyclophosphamide-Induced Hemorrhagic Cystitis in Rats through the Inhibition of Oxidative Damage, MAPKs, and NF-κB Pathways

  • Kim, Sung Hwan;Lee, In Chul;Ko, Je Won;Moon, Changjong;Kim, Sung Ho;Shin, In Sik;Seo, Young Won;Kim, Hyoung Chin;Kim, Jong C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2호
    • /
    • pp.180-188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diallyl disulfide (DADS) against cyclophosphamide (CP)-induced hemorrhagic cystitis (HC) in rats. Inflammation response was assessed by histopathology and serum cytokines levels. We determined the protein expressions of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appa-B (NF-${\kappa}B$),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oxidative stress, urinary nitrite-nitrate, malondialdehyde (MDA), and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 Finally, we studied the involvement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signaling in the protective effects of DADS against CP-induced HC. CP treatment caused a HC which was evidenced by an increase in histopathological changes, proinflammatory cytokines levels, urinary nitrite-nitrate level,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NF-${\kappa}B$, COX-2, iNOS, TNF-${\alpha}$, p-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The significant decreases in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S-transfer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MDA content and urinary MDA and 8-OHdG levels indicated that CP-induced bladder injury was mediated through oxidative DNA damage. In contrast, DADS pretreatment attenuated CP-induced HC, including histopathological lesion, serum cytokines levels, oxidative damage, and urinary oxidative DNA damage. DADS also cause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s of NF-${\kappa}B$, COX-2, iNOS, TNF-${\alpha}$, p-JNK, and p-ER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DS prevents CP-induced HC and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DADS may be due to its ability to regulate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by inhibition of NF-${\kappa}B$ and MAPKs expressions, and its potent anti-oxidative capability through reduction of oxidative DNA damage in the bladder.

감초 육성품종 뿌리 추출물의 In vitro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n vitro Activity of Glycyrrhiza Cultivar Roots)

  • 이승은;이정훈;박춘근;김형돈;이윤지;서경혜;정현수;장재기;김동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5-125
    • /
    • 2019
  • Background: Glycyrrhiza radix (licorice root) have been used as an oriental medicine material for long time,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ognition deficit have been recently reported. However, the cultivation of Glycyrrhiza species as medicinal crops is associated with some problems such as low productivity and early leaf fall, etc. To resolve this problems, Glycyrrhiza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by direct hybridization of each Glycyrrhiza species by Korean researcher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lycyrrhiza cultivar radix (Dagam, Sinwongam and Wongam) for their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cognition improvement effects and levels of liquiritin, isoliquiritigenin and licochalcone in order to select an excellent cultivar as a material resource. Methods and Results: For evaluating the inhibitory efficacies of the Glycyrrhiza cultivar extracts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BV2 cells, we measured thei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nitric oxide (NO) release after treating them with lipopolysccharide. The scavenging activities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peroxynitrite ($NOO^-$) radicals were evaluated. Cell proliferation and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inhibition were analyzed. The total phenol, liquiritin, isoliquiritigenin and licochalcone A content in the extracts of the three culivars were quantified. Furthermo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ctivities and contents of total phenol, liquiritin, isoliquiritigenin and licochalcone A were also calc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nwongam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NMDAR inhibititory activities. Sinwongam also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licochalcone A contents than the other cultivars. Among the three cultivars, Dagam exhibited a positive effects on NO release inhibition, cell proliferation and contents of liquiritin and isoliquiritigenin. Conclusions: Sinwongam is expected to be the most useful resource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anti-oxidation/anti-inflammation and cognition improvement among the three studied licorice cultivars.

말뚝버섯 자실체의 항산화, 항콜린에스테라제 및 염증 저해 활성 (Antioxidant, anti-cholinesterase, and inflamm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Phallus impudicus var. impudicus L.)

  • 윤기남;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2-1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말뚝버섯의 자실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철 이온 제거능 및 환원력 등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에 비해 낮았으나 실험에 시용한 2.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철 이온 제거능은 BHT에 비해 높게 나타나서 다른 종류의 식의약용 버섯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치매환자의 기억력 감퇴와 관련된 acetylcholinesterase와 butyrylcholinesterase의 저해실험에서 말뚝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은 실험에 사용한 전 농도 범위에서 양성대조군인 galanthamine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지만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In vitro 항염증 실험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서로 다른 농도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후 염증 유발물질인 LPS를 처리하여 RAW 264.7 세포가 생성한 NO의 양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NO 농도가 LPS만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처리한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in vivo 항염증 실험에서 먼저 각기 다른 농도의 메탄올 추출물을 생쥐의 뒷발에 주사한 후 추가로 기염제인 carrageenan을 주사하여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 (edema)이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는 정도와 염증 치료제로 처방되는 indomethacin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흰쥐에 주사한 말뚝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의 용적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어 말뚝버섯 자실체에는 염증을 저해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말뚝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항산화, acetylcholinesterase과 butyrylcholinesterase의 저해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유용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앞으로 의약용 기초 소재로서의 이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삽주 육성품종 뿌리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tractylodes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 Roots)

  • 정현수;정진태;이정훈;박춘근;최재훈;장귀영;김장욱;장재기;김동휘;이승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91-400
    • /
    • 2018
  • Background: Atractylodes radix is a well-known medicinal crop having many physiological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useful Atractylodes japonica ${\times}$ Atractylodes macrocephala (AJM) cultivars by comparing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icacies. Methods and Results: Seven extracts from AJM cultivars were used to treat lipopolysacchride (LPS)-treated BV2 cells, and the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inhibition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ere analyzed. In vitro scavenging activities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peroxynitrite ($NOO^-$) radicals were also investigated. Contents of total phenol, atractylenolide I, and atractylenolide III in the AJM extracts were measur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r spectrophotometry. The experiments show that none of the seven extracts was cytotoxic above 89.2% at $20-250{\mu}g/m{\ell}$. Extracts of Gowon, Dawon, Sangchul, and Huchul inhibited ROS gen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Sangchul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on ROS production. All the AJM extracts showed effective inhibitory activity after on NO release in the LPS-treated BV2 cells, and Sangchu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Sangchul extract had the most potent scavenging activities for $NOO^-$ and had som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Sangchul extract also had the highest content at total phenol and atractylenolide I content. Atractylenolide III was not detected in the AJM extract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ngchul was the most useful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resource among the AJM cultivars.

인간 대장암 HT-29 세포에서 제주조릿대의 세포사멸 효과 (Apoptotic Effect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in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 변지희;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012-1018
    • /
    • 2014
  •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는 한라산에 넓게 분포되어 자생하는 식물로 최근 연구에서 항염증, 항당뇨, 항산화, 항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에서의 항암 효능 및 그에 따른 mechanism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대장암 HT-29 세포를 대상으로 제주조릿대에 의한 항암작용과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제주조릿대에 의한 HT-29 세포의 증식 억제가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NA fragmentation와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기의 세포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제주조릿대에 의한 apoptosis 유발은 HT-29 세포의 S arrest 현상을 동반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생한 산화질소의 증가와 anti-apoptotic factor인 IAP family (survivin, XIAP, cIAP-1, cIAP-2) 발현이 감소함으로써 촉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제주조릿대가 대장암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더 자세한 항암기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쑥부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ster yomena in RAW 264.7 Macrophages)

  • 김성옥;정지숙;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77-985
    • /
    • 2019
  •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 쑥부쟁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쑥부쟁이 잎 에탄올 추출물(EEAY)의 항산화 효능이 항염증 효능과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AY는 $H_2O_2$ 처리에 의한 RAW 264.7 세포의 세포 독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Nrf2 및 HO-1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EEAY는 $H_2O_2$에 의한 apoptosis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caspase-3의 활성 억제에 따른 PARP의 분해 차단과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EEAY는 대표적인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 및 생산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TLR-4 및 Myd88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아울러 EEAY는 LPS에 의한 염증성 매개인자인 NO의 생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EEAY에 의한 NO 생성의 억제 효과는 HO-1 유도제인 hemin에 의해 더욱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EEAY에 의한 산화적 및 염증성 스트레스에 대한 RAW 264.7 대식세포의 보호 효과에 최소한 Nrf2/HO-1 신호 경로의 활성화가 관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계수나무 가수분해형 탄닌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n The Hydrolyzable Tannins of Katsura Tree (Cercidiphyllum japonicum))

  • 민희정;이민성;김영균;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50-257
    • /
    • 2017
  • 계수나무 잎, 목질부 및 수피부의 EtOAc 및 물 분획으로부터 gallic acid (1), methyl gallate (2), kurigalin (3), 1,2,3,6-tetra-O-galloyl-${\beta}$-D-(+)-glucose (4),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5), 6-m-digalloyl-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6), isocorilagin (7), macabarterin (8) 등 8종류의 가수분해형 탄닌을 단리하였으며, 각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염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사용하였으며, 단리된 화합물 모두 대조군으로 사용된 BHT 및 ${\alpha}$-tocopherol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항염활성 시험 결과 methyl gallate, 1,2,3,6-tetra-O-galloyl-${\beta}$-D-glucose 그리고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가 NO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methyl gallate가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염제로 이용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계수나무의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은 항염제보다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주정 농도별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s at different ethanol ratios)

  • 강현;박찬휘;권상오;이성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16-42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주정 농도별로 추출된 감국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의 경우 50% 주정 추출물에서 33.6%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30%와 70% 주정 추출물이 각각 59.70, 61.35 mg GAE/g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0% 주정 추출물에서 57.94 mg Q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70% 주정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RC50 14.95 ㎍/mL), ABTS+ 라디칼 소거능(RC50 42.28 ㎍/mL)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다. FRAP 활성은 30% 주정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주정 농도별 추출물의 항염 효과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인자인 NO 생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 없이 30% 주정 추출물 200 ㎍/mL 농도에서 11.16 µM로 가장 우수한 NO 생성 억제를 보였다. 또한, iNOS 발현을 측정한 결과 30-70% 주정 추출물이 높은 iNOS 발현 저해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감국 추출물 제조 시 항산화 효과를 위해서는 30% 주정 및 70% 주정 으로 추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항염 효과를 위해서는 30-70%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국을 기능성 신소재 개발 원료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곰취(Ligularia fischeri),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삼나물(Aruncus dioicus)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 김동희;안봉전;김세기;박태순;박근혜;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78-6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특산 약용 작물 추출물이 항염증에 대한 실험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에 착안하여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울릉도 자생 식물인 곰취, 미역취, 삼나물의 세가지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염증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산화질소와 cytokine의 생산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세포는 LPS 처리 후 한 시간 뒤에 곰취, 미역취, 삼나물 70% 아세톤 추출물을 처리를 하였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1, 10, 100 ug/ml를 사용하였다. 곰취, 미역취, 삼나물 70% 아세톤 추출물은 NO, $PGE_2$, TNF-${\alpha}$, IL-1${\beta}$, IL-6, iNOS, COX-2의 생성을 저해 시켰다. $PGE_2$는 100 ug/ml의 농도에서 60%에 가까운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iNOS와 COX-2 역시 100 ug/ml의 농도에서 각각 54%, 65%가 저해가 되었다. 게다가 곰취, 미역취, 삼나물 70% 아세톤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 카인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 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곰취, 미역취, 삼나물 추출물은 염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 염증 억제 효과 (Total Phenolic Compound, Total Flavonoid Compound And Anti-Inflammatory Inhibitory Effect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 이정선;김춘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54-262
    • /
    • 2018
  •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각 126.4 mg/g, 223.17 mg/g으로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인 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1차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여 피부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첩포 24 시간 후와 첩포 제거 24 시간 후에도 피부에 대한 자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으로 인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에 대한 피부 독성이 적고 NO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