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5초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전기 안전 교육용 모바일 에이전트 기반 비디오 검색 시스템 (A Video Retrieval System for Animation Using Electric Safety Education Based on Mobile Agent)

  • 조현섭;민진경;유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20-323
    • /
    • 2006
  • Recently, retrieval of various video data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s more and more multimedia content services are being provided. To effectively deal with video data, a semantic-based retrieval scheme that allows for processing diverse user queries and saving them on the database is required.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poses a semantic-based video retrieval system that allows the user to search diverse meanings of video data for electrical safetyrelated educational purposes by means of automatic annotation processing. If the user inputs a keyword to search video data for electrical safety-related educational purposes, the mobile agent of the proposed system extracts the features of the video data that are afterwards learned in a continuous manner, and detailed information on electrical safety education is saved on the database.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to enhance video data retrieval efficiency for electrical safety-related educational purposes.

  • PDF

미용교육이 재취업여성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smetology Education for Reemployment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김수정;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32-44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교육이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30-50대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재취업 특성 및 미용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분석하였다. 재취업여성들은 연령, 학력, 전공, 교육기간, 교육기관에 따라 재취업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미용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은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교육내용과 취업 및 진로상담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재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취업 및 진로상담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미용교육기관에서 수강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발전하는 산업현장에 맞는 효율적인 미용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교육기관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취업 및 진로상담 서비스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미용교육의 발전과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치매 교육요구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for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 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53-363
    • /
    • 2018
  • 간호대학생들의 치매 교육과 전문적인 접근은 졸업 후 치매전문간호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한 동력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치매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9~11월까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일 개 지역에 위치한 3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1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요구도는 각각 $12.33{\pm}4.54$, $35.53{\pm}8.92$, $116.46{\pm}32.06$ 등 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태도와 교육요구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9, p=<.01).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태도(${\beta}=0.73$, p<.001)와 학년(${\beta}=0.19$,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다양한 치매교육프로그램 개발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와 학년을 고려한 노인간호학 교육과정 개발 또한 치매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University Image, Student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 정현화;정기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3-109
    • /
    • 2017
  • 본 논문은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274부의 설문지가 가설검정에 사용되었으며, 2차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검정한 결과 상대적 영향정도는 교수방법, 강의내용, 교수태도,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이미지가 학생만족과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이미지는 학생만족에 상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선행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만족은 긍정적으로 형성된 대학브랜드 이미지를 보유한 대학은 고객만족을 창출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만족이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서비스품질 하위차원의 요인적재 값에서 교수방법(0.972)과 강의내용(0.934)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에 대해 이들의 영향이 다른 요인들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기관은 대학이미지, 학생만족, 구전 등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관점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수방법과 강의내용을 강화해야 한다.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 이승호;정도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69-1076
    • /
    • 2012
  • 본 연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방안을 개선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5개의 제조업 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0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제조업 근로자의 76.6%가 교육장을 가지고 있었으나, 산업안전보건교육은 약 44.3%의 근로자가 현장사무실에서 교육을 받고 있었다. 교육 수단은 대부분 주입식 강의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은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에 대한 고려 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제조업의 근로자에게 실시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은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를 고려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Covid-19 이후 교육격차 분석 (Analysis of Education Gap after Covid-19 Using Systems Thinking)

  • 서경도;최정일;최판암;정재림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39-48
    • /
    • 2024
  • 코로나19로 인하여 개학연기부터 장기화된 온라인 원격수업으로 학습 손실과 교육격차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며, 대부분 교육격차 현상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향후 이와 같은 팬데믹 상황이 온다면,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교육격차 현상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 현상의 이면의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주의 관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교육격차를 시스템사고의 원형으로 모델링하고 그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들로 발생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살펴보았다. 향후 유사한 재난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의 구조를 기반으로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정책, 기초학력 지원, 원격수업에 대한 품질 향상, 자기주도 학습에 대해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bout Program outcomes)

  • 남성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15-324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 인식정도를 조사하여 간호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에 소재한 일 대학 4년제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30일부터 1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학습성과 항목 중 중요도는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통합적 간호술 적용,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와 적용 순이었으며, 현재수준은 치료적 의사소통적용,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Borich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모델의 중복성 확인을 통한 최우선 순위 항목은 통합적 간호술 적용,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보건의료팀간 협력관계, 간호과정 적용,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와 적용이며, 차 순위는 치료적 의사소통,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햄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와 최우선순위 및 차순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법론적 접근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패션 모델의 교과목 개발 (Subject Development of Fashion Model utilizing Capstone Design)

  • 박근정;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08-117
    • /
    • 2021
  • 최근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capstone design을 활용한 교육적 접근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Capstone design이 접목된 모델학과의 교과목 개발은 패션쇼 현장에서 패션모델로서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켜 줌과 동시에 패션쇼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켜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모델학과의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을 적용한 교육 과정을 개발 및 그 성과를 제시하고, 교수자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함의점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과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 및 캡스톤 디자인이 반영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모형개발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apstone design을 접목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 수행 방식이나 과정 및 학습 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 수행 과정에 대해 매우 큰 만족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Capstone design을 활용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을 진행함에 있어 교수자의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함의점으로, 패션과 관련된 심층적·융합적인 관점에서의 교육에 대한 필요, 공간에 대한 시간적·공간적 활용도의 개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산업체들간의 연계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산업체와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한 교육 범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만족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Focus on Adult Learner at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y)

  • 최영준;박금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61-367
    • /
    • 2018
  • 이 연구는 소비자 만족 관점에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를 파악하고자 서울, 경인, 충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성인학습자 1,0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만족도는 전반적인 만족도, 강사,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설 및 환경, 담당직원서비스로 구성하고 연령별, 지역별, 성별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육만족도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강사 관련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담당직원서비스 관련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강사, 교육내용, 시설 및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3개 변인의 설명력은 약 36%였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이들 영역에 대한 고려를 우선시 하여 경영해야 함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기반 응급상황 대처 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 -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Survey on the Educational Needs for Smartphone Based Emergency Situations - Targeting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민혜영;이정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59-26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 상황에 대한 아동 부모의 스마트폰을 사용한 교육적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단면 조사 연구방법을 통해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00명의 6 학년 이하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7 년 10 월 17 일부터 2017 년 10 월 27 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67.5%의 부모가 아동의 응급 사고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중에서 부모의 74%는 어린이의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몰랐다고 응답했다. 교육을 받지 못한 대부분의 부모는 응급 처치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부모의 아동 응급상황 대처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40점 (±.42)으로 높은 편이었다. 전체 항목 중에서 교육 요구도는 "이물질기도 폐쇄 및 심폐 소생술 관리" 항목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3.64점).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응급 처치에 대한 부모의 교육 요구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스마트 폰이 부모에게 효과적인 교육 방법 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