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Education Teacher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6초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 (The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 김보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어린이집 유아교사가 이수한 보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은 목표제시와 사전분석과 같은 교육상황은 다른 평가영역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아교사 개인요인과 같은 교육과정은 상대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 되었다. 유아교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교육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의 현장과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현장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의 평가를 통해 보수교육프로그램의 실정과 추후 보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보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보수교육 내실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업교육 재구조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Restructure direction of industrial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plan coping with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of Gyeonggi-do)

  • 오승균;이규욱;이용순;노태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0-71
    • /
    • 2005
  • A pendulum of industrial education begins to shift from one based on industrialized society to one on information-based age. To produce an effective result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hat an accurate estimate of a change in the circumstances of industrial high schools of Gyeonggi-do. This study researched the province's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on industrial education adjusting the change of industrial environments by regional groups and suggested the solu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Gyeonggi-do into 9 regions considering the region's respective industrial structure and suggested the structure adjustment plan. Second, This study suggested '3-type curriculum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structure adjustment plan of industrial high schools. It includes employment-centered curriculum which provides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ial community, foundation-centered curriculum which revitalizes starting up a enterprises and clears up the manpower problems, college preparation-centered curriculum which meets the need of the students who are much interested in going to the next stage of education. Third, this study suggested a solution to a problem of surplus industry teacher. It includes 3 methods: Increasing practical training from 2 ours to 3 hours, assigning teachers for a task of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and career counseling, qualifying industrial teachers for another course by minor. An amicable settlement on these matters requires a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ased on closely connected governmental-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eacher efficacy to their burnout)

  • 강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02-4909
    • /
    • 2013
  • 본 연구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유아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소진에 영향력이 있었는데, 회피-분산적 양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소진이 많았고,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소진이 적었다. 이 결과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교사가 효과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하도록 돕고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능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체제 혁신 방향과 과제 탐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irection and Tasks for Innovating School System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27-136
    • /
    • 2017
  • 이 연구는 다가온 4차 산업혁명시대와 지능정보사회를 맞은 한국 사회의 핵심적 정책 아젠다 중 하나인 학교교육 체제 개혁을 위한 몇 가지 방향과 대안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학교교육은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급자 중심 체제이고, 20세기 초반의 공장제식 학교교육의 특징을 굳건히 하면서 획일적 교육 및 학습 관행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교육계 종사자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과도한 추종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지식의 도구화와 학습의 탈맥락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4차 산업혁명기가 요구하는 공감하고 협력하면서도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할 줄 아는 인간을 양성해내는 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혁하기 위한 교육 혁신의 과제로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하고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수권체계를 선진형 교사수권체계로 변화시키고, 둘째, 교사의 자율성을 잠식하는 관료적 교사단체제를 해체하고 전문적 교사단 체제를 정립하며, 셋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과정에서 교과영역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교원양성교육과정의 철저한 개선이 시급하고, 넷째, 과도한 교육행정관료제의 완화와 함께 교육법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며, 다섯째, 학교교육 지원행정을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조동헌;이형국;배성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0-208
    • /
    • 2019
  •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행정 업무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Office Stress on Happi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ectiveness)

  • 김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1-337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정업무스트레스와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J 지역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관련성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행복감과 행정업무 스트레스의 상관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은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행정업무 스트레스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보육교사 처우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직무체험프로그램의 의미 탐색 (Exploring a Chan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ing Through a Field-Based Job Experience Program)

  • 심성희;장석경;나영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0-238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의 직무체험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직업에 대한 기대 및 성취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에 위치한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1학년 15명이다. 4주 동안 실시된 직무체험프로그램을 마친 후에 예비유아교사에게 나타난 성취에 대한 의미를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는 수업준비, 수업실행, 일상생활지도 시 교사 역할의 실제를 알고 배우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실제로 직무체험프로그램에서 경험한 것으로는 수업준비와 실행, 일상생활지도 외에도 유아의 발달적 특징, 개인차, 놀이방식의 차이 등을 보고 유아관련 지식을 체험했으며, 학급운영과 부모상담 및 돌봄에 이르기까지 유아교사직의 업무가 생각보다 많은 일들을 감당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직무체험프로그램을 마친 후 성취한 것에 대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직의 실제를 체험함으로써 유아와의 행복한 시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사의 업무가 과중함을 알게 되었기에 스스로 보람을 느끼고 성공적으로 해내기 위해서는 체력과 정신력을 기르고 밝고 긍정적이면서도 솔선수범이 되는 교사의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학업 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직에 대한 확신을 갖고 교사직과 관련된 다양한 직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현장에서 직무체험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 최미정;진상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09-651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들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도에 근무하고 있는 504명의 보건교사였다. 보건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질문지가 2013년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배부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교사 업무의 우선순위 1위는 건강 문제 관리였으며, 2위가 보건교육이었으며, 이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두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방법은 강의, 토의 그리고 실습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자료는 PPT, 교과서, 인터넷동영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하나 실제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들은 수업연수를 원하고 있으며 그 내용으로 창의성 교육 또는 새로운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및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Teacher'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Their Teaching Efficacy)

  • 김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46-1653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및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지역의 보육교사 156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내용별로 살펴보면 생존관심사, 강화관심사, 갱신관심사, 성숙관심사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교수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생존관심사, 강화관심사, 갱신관심사, 성숙관심사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 관심사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과 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육교사들의 관심사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요구 분석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및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환경 요건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