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Job Performance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병원의 팀 운영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eam System at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 서영준;김연숙;강소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m system at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dministrative and medical support workers at 4 university hospitals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s with higher team management characteristics show higher level of quality of work life and performance effectiveness. Second, teams which consist of members with variety background and skills show higher level of quality of work life and performance effectiveness. Third, team which have the higher autonomy, technology variety, job significance, and feedback show higher team effectiveness. Fourth, team which have team leaders with higher leadership score show higher level of quality of work life and performance effectiveness. Fifth, there are differences in team effectiveness in terms of sici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verage age, position, and tenure of team members, length of team system, and team size. Sixth, the job autonomy of team members and the leadership of team manage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work life variables. Seventh, the leadership of team leaders, job autonomy of members, and individual contact between team managers and membe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m performance variables.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eam system in university hospitals,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eam management, diversity of team members, the autonomy of team members, the leadership of team manager, an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m members.

  • PDF

전직지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for Outplacement Consulting and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Employability-)

  • 김정기;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71-183
    • /
    • 2015
  • 본 연구는 전직지원 컨설팅의 효과성을 개인적 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논리적 근거와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여 전직지원 컨설팅에 대한 인식 전환 및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회사원 179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직지원 컨설팅의 실용성에 대한 인식이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고용가능성은 직무성과와 조직신뢰 향상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용가능성은 전직지원 컨설팅의 실용성에 대한 인식과 직무성과 및 조직신뢰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직지원 컨설팅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능력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조직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전직지원 컨설팅에 대한 인식전환과 확산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스마트워크 투자에 따른 직무 생산성에 관한 연구 - 조직 변화저항과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ob Productivity by the Smart Work Investment -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Change Resistance and the Communication -)

  • 정병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83-1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저항에 따라 달라지는 스마트워크 투자와 직무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스마트워크 투자와 생산성 성과 사이의 의사소통 매개 효과를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스마트워크 투자를 저하시키는 조직 변화저항을 수준별로 분류하여 투자와 생산성의 차이를 확인할 것이다. 스마트워크란 조직 구성원들에게 시간과 장소의 유연성을 제공하고, 업무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근무방식을 말한다. 스마트워크의 도입은 조직 내부에 새로운 조직문화, 조직제도, 신기술을 채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 의사소통과 협업이 변화된 형태이기 때문에 기존 조직문화와 제도, 기술의 관행에 대한 변화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 방법은 스마트워크 투자에 따른 의사소통의 매개적 효과, 조직저항 수준별로 조절 효과를 검정할 수 있도록 구조방정식 모형을 채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스마트워크 투자가 의사소통과 조직 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제공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 변화 저항을 군집 분석하여 수준별로 구분하여 스마트워크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워크 투자로서 조직IT, 조직제도, 조직문화는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자로서 나타났으며, 개인적 성과에 직접적 영향력을 제공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조직IT와 조직제도, 문화는 의사소통을 매개로 하여 개인 생산성과 조직 생산성에 간접적 영향력도 가진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조직IT와 조직제도의 독립변수는 조직 생산성을 높여주는 직접적 영향력은 없다고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IT와 조직제도는 의사소통을 매개로 하면 조직 생산성을 높이는 영향력을 가진다고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직저항의 세 집단의 생산성을 확인한 결과, 집단 간에 스마트워크 생산성 성과의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여기서 조직 저항이 낮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서 높은 생산성 성과의 영향력을 가진다고 나타났다. 집단별 분석 결과의 함의로는, 스마트워크의 긍정적 성과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조직제도를 개정하고, 다음으로 조직 문화를 형성시키고, 마지막으로 기술 도입을 고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로는 스마트워크의 배경을 기반으로 사회기술시스템 이론과 조직제도, 문화이론, 조직 변화저항이론, 직무 생산성 이론을 설명하였고, 기존 사회과학 이론들을 한층 더 구체화시키는 기반을 넓혔다. 실천적 함의로는 스마트워크로 발생될 수 있는 변화저항을 수준별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스마트워크를 급진적으로 투자하기보다는 단계별로 투자하여 생산성 성과를 높여야 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향후 연구에는 스마트워크 투자를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으로 구분하고 조직문화, 제도, 기술, 성과에 대한 차이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Career Succes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Employees

  • YOON, Kyung-Hee;KIM, Bo-Young;EOM, Jae-G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4호
    • /
    • pp.213-225
    • /
    • 2019
  • As the recent tendency of career management has changed, companies have supported progressive career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heir employees internally. And strengthening job crafting is an effective activity not only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s but also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of their employees. I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job crafting for the multinational employees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b crafting and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in terms of career success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attitude.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job crafting was defined with three components; task crafting, relation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A total of 336 survey data were analyzed for a total of 27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 analysis result the task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of multinational employees were shown to have an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but relation crafting did not have any impact on care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mployees have self-directed career attitude through a method of showing visible performance based on their given jobs rather than having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attitude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departments, organizational members, and supervisors.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가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on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 임중경;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1호
    • /
    • pp.97-11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to help develop family-friendly policies which aid in the ability for employees to balance family and work,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se policies at work sites. We surveyed the performance and usage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mong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 also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37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 found that family economic status, working mother's experience of family leave or maternity leave, and easiness of policy use are important factors in a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Especially when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was the experience of family leave or maternity leave. In addition, the easiness of family-friendly policy us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working mothers' job-satisfaction.

  • PDF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perating Room Nurses)

  • 윤미정;임여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12-12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OR). These factors includ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A total of 185 OR nurses from nine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across three 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1.0. Results: The mean score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3.62 out of 5.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feedback on job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OR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48.2%. Conclusion: Reinforc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individual OR nurses and organizational efforts to endorse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s required. It follows that OR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an be enhanced based on mutual trust, cohesiveness, and feedback on their work performance.

임파워먼트(Empowerment)가 호텔주방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Commitment, Culinary Staff in the Hotel)

  • 김기영;염진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6-151
    • /
    • 2003
  • The summarized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 of preceding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statistically considerable difference did not appear between self determination and personal relations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between groups of self determination in hotel type, and statistically considerable difference appeared among other groups. Second,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considerable influence is exerted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ability, influence power,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self-decision nature. Third,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empowerment and job devotion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considerable influence is exerted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ability,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influence power. Fourth,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devotion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considerable result is exerted in the order of influence power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 Fifth, it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relative high correlation existed among correlation of empowerment and result variable such as job satisfaction, job devotion and organization devotion. The above-mentioned matters considered, this research proposes following poi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ulinary staff in the hotel. the effect of the variable of empowerment on result variable shows that rol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 power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 are important variables. Therefore, to improve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of members of kitchen, it is essential for each individual to improve their ability and to have confidence at the time of business performance. So, this research implies that consistent and systematic training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ability and confidence. In order to improve influence power, it is necessary for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 have strong faith that their jobs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company, and to increase the sense of self-control by letting them have the right of self determination, so that all members may have strong desire to transact business. This research implies that in order to improve personal relations ability, it is necessary for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 discover the best method of decision-making and solve problems through members' developing mutual action, and for managers to take person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so that members may have belief and confidence in their job and realize the value of their job. In conclusion, the person in charge of personnel affairs and the manager in charge of kitchen ne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and especially have an much interest in all parts including self determination, influence power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 etc.

  • PDF

의료서비스의 서비스본질 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성향을 조절변수로 (The Influence of Healthcare Service Nature on Job Performance :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aul Personality)

  • 변미영;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9권4호
    • /
    • pp.41-62
    • /
    • 2019
  • 무형재화가 중심인 현대 서비스 경제시대에 의료서비스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서비스본질의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서비스본질 특성을 강화시켜 조직의 직무성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본질 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하고, 개인성향을 조절효과로 하여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총 340명의 의료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1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본질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수평성이 직무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고객 접점에서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고객이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거나, 조직내에서 부서와 부서, 동료와 동료와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것이 직무성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객과 환자와의 관계에서 의료서비스 종사원들도 전문가적인 자세로 고객과 동등한 위치에서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면 직무성과를 끌어올릴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급변하는 의료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본질 특성을 실무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다면 병원의 성장을 견인하여 지속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성향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존감과 성장욕구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서비스본질 특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향후 다양한 서비스 분야로의 확대·적용하여 심화 연구할 필요가 있다.

호텔기업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이 서비스 성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Service Orientation on Service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박대환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22
    • /
    • 2007
  •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종업원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서비스성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특1급 호텔에 근무하는 278명의 종업원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기업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이 높을수록, 서비스성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성과가 높을수록,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 PDF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내적 동기간의 관계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비스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Focus of Service Enterprises-)

  • 장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61-84
    • /
    • 2011
  •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과 성과 간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에 착안하여 설계되었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론연구에 기초한 가설설정과 함께 경험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214명의 설문자료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 상사의 경청행동이 부하의 내적 동기에 정(+)의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내적 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상사의 공감행동과 봉사행동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부하의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부하의 내적 동기가 부분 및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과정 및 메카니즘이 리더십연구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