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Focus of Service Enterprises-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내적 동기간의 관계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비스업체를 중심으로-

  • Jang, Jun-Ho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nam University)
  • Received : 2011.07.29
  • Accepted : 2011.09.10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also investigated. Based on related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4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80 employees of 3 service enterprise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214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study. According to results, listening behavior of superviso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trinsic motivation of subordinate. But, sympathy behavior and service behavior of supervisor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intrinsic motivation of subordinate. Also, intrinsic motivation of subordinat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Fi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intrinsic motiv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partly or fully suppor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conclusion.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과 성과 간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에 착안하여 설계되었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론연구에 기초한 가설설정과 함께 경험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214명의 설문자료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 상사의 경청행동이 부하의 내적 동기에 정(+)의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내적 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상사의 공감행동과 봉사행동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부하의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부하의 내적 동기가 부분 및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과정 및 메카니즘이 리더십연구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