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active Studen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Learning to Prevent Inactive Student of Indonesia Open University

  • Tama, Bayu Adh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65-172
    • /
    • 2015
  • The inactive student rate is becoming a major problem in most open universities worldwide. In Indonesia, roughly 36% of students were found to be inactive, in 2005. Data mining had been successfully employed to solve problems in many domains, such as for educational purposes. We are proposing a method for preventing inactive students by mining knowledge from student record systems with several state of the art ensemble methods, such as Bagging, AdaBoost, Random Subspace, Random Forest, and Rotation Forest. The most influential attributes, as well as demographic attributes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were successfully obtained which were affecting student of being inactive. The complexity and accuracy of classification techniques were also compar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Rotation Forest, with decision tree as the base-classifier, denotes the best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classifiers.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유비쿼터스 주거 기능 선호 - 광주광역시 대학생을 대상으로 - (University Students's Life Styles and Preferences for Ubiquitous Residential Functions)

  • 김미실;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9
  • This paper documents research carri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otential residents of the city to find out their preference for the ubiquitous residential functions, and categorize based on the life style to find out difference of their preference on ubiquitous residential func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324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city. The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quota sampling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heets. The analysis analyzing methods using SPSS/PC 12.0 are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x^2$(chaisquare)-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survey, lifestyle types were categorized as: These are class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fact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ifestyles that are divided into nine types of facts and then make the four type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as below. Energetic life type, Inactive life type, Family-oriented life type, Thrifty and Personality-oriented life type. The residential function of Ubiquitous is classified as Safety, Convenience, Comfortableness, Information, Health, Leisure and the residential space is divided into bedroom, livingroom, kitchen, bathroom. Considering the preference aspects for Ubiquitous residential function, among the bedroom, living room, kitchen, and bathroom, University student seek for safety from the living room, Convenience from the kitchen and Comfortableness from the living room, bedroom and kitchen. For Information, bedroom is most preferred among the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For Health and Leisure, bedroom is preferred between bedroom and living room. In terms of the difference about the preferences for ubiquitous functions based on the four types of lifestyles; The Thrift-oriented type is commonly preferred to the Inactive type among the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The Family-oriented and the Thrift-oriented type were preferred to the Energetic and Inactive types in the bathroom. Also, in the entire residential space, the Ubiquitous functions is most preferred by the Thrifty and Personality-oriented life type.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중학생의 인지도분석 (A Study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Impact of School Librari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44
    • /
    • 2011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실태와 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수준-사서교사 학교 사서교사는 없으나 이용 활성화 학교 비활성화 학교-에 따라 효과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용실태로는 학교생활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차지하는 비중, 이용빈도 도서관의 유익성, 이용 목적, 도서관활용수업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학생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7개 영역 38문항으로 조사하였다. 7개 영역 전체의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24이며 실태조사와 인지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이 독서활동에서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수준별로 효과 인지도의 평균을 비교하면 사서교사 학교 3.37, 활성화 학교 3.20, 그리고 비활성화 학교 3.16이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수준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의 지표가 된다.

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웃음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Laughing Programs on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 배진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3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influence of the laugh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behaviors. Methods: In total, 43 children (grade 4~6 students) were recruited for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behaviors. Ten week course of laughing program was scheduled to the Experimental group, meanwhile no program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median self-esteem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from 30.05 to 34 (Z=-2.375, p<.05). Meanwhil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The median inactive/avoidant coping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from 10 to 9 (Z=-2.028, p<.05). Meanwhil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n any items of stress coping behaviors. Conclusion: Laughing program may be helpful to improve stress coping behaviors through reducing inactive/avoidance coping as well as to strengthen self-esteem, especially among participants who had low self-esteem before the intervention.

감각자극이 미숙아의 체중, 스트레스호르몬 및 행동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on Weight, Stress Hormone and Behavioral State in Premature Infants)

  • 이군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45-455
    • /
    • 1999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quasi experimental basis and newly born premature infants from intensive care unit of G Medical University Hospital in Inchon Metropolitan were selected in two groups of 21 infants each. The first group for experimental and the other for control. Data has been collected form October 30, 1997 to August 29, 1998. For the experimental group tactile and kinesthetic stimulation was applied 2 times a day for 10 days(10 : 00~11 : 00 hours in the morning and 17 : 00~18 : 00 in the afternoon). As a weight weighing instrument. electronic indicator scale(Cas Co. korea) was used. To determine urine cortisol concentration level in stress hormone, radio immune assay method was used.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lomatography was used to determine urine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level To determine behavior status, tools developed by Anderson et at(1990) and remodeled by Kim Hee-Sook(1996)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rogram using x$^2$-test, stu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t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 1. As for the daily weight ga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first change in weight and this group also showed higher weight in the average weight than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actor between the two group. 2. The cortisol concentration in urine showed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in urine showed increase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between the two groups. 3. In the aspect of behavior statu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showing inactive in the state of alert and conversion to a positive state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ensory stimulation in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aspect thr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weight gain and urine stress hormone concentration. In the behavior statu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frequency of staying inactive in the state of alert and conversion to a positive state.

  • PDF

베트남 유학생의 K-패션 수용 행동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K-Fashion Acceptance Behavior amo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정민경;윤소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4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aspects of Vietnamese students' acculturation and acceptance behavior of K-fash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indicate that K-fashion acceptance behavior of Vietnamese students reflected eight values of K-fashion, two motives of behavior, and two types of K-fashion acceptance behavior. Vietnamese students generally displaye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K-fashion. They all switched to K-fashion styles and actively showed their styles through SN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K-fashion behavior depending on whether the motivation for acculturation was of an active or inactive nature.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groups was determined by applying behavioral reasoning theory (BRT). Students whose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was an interest in Korean culture were characterized by active behavior in adapting to Korean culture, while those whose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was for strategic reasons, such as finding a good job, exhibited inactive K-fashion acceptance.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Vietnamese consumers through the K-fashion acceptance behavior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Vietnamese students who actively embrace K-fash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K-fashion, so it could be beneficial to establish a strategy for promoting K-fashion in collaboration with them.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른 음악활동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Preference according to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 황은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1-19
    • /
    • 2012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스트레스 감소 음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따라 음악활동과 음악선호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학생 1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대처 전략, 음악활동과 음악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 정서완화적 대처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대처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음악감상을 가장 많이 하고 가장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활동은 성별, 대처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이 하는 활동은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활동의 목적에 있어서도 악기연주의 경우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작곡의 경우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장르도 성별,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호하는 음악요인에 있어서도 멜로디, 소리크기, 가사주제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화성과 친숙도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편, 리듬, 음색, 감상방법에 대해서는 대처 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각자극이 미숙아의 체중 증가, 행동상태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on Weight Gain, Behavioral St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Premature Infants)

  • 송희승;신희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03-711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on premature infants. Method: Thirty three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NICU of D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16, Control group:17). For the experimental group, tactile and kinesthetic stimulation developed by Dr. Field was applied 2 times a day for 10 days. Behavioral state was measured using the Anderson Behavioral State Scale (ABSS). Heart rate, respiration, and oxygen saturation were obtained for each infant before and after sensory stimulation. Hypothesis testing was done using the $\chi$$^2$- test, stu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 Result: Hypothesi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ily body weight gai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 40.77, p= .0001). Hypothesi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inactive awake state' between two groups ($\chi$$^2$= 39.778, p= .001). Hypothesi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of heart rate and $O_2$saturation between two groups (t= -2.174, p= .037; t= 3.080, p=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respiration rate between two groups (t= -1.966, p= .581).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a sensory stimulation on weight gain and behavioral state in premature infants was supported.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develop a sensory stimulation metho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premature infant.

  • PDF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