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stimulatory activi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RAW 264.7 대식세포에서 MAPKs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통한 침향의 면역 자극 활성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Agarwood through Activation of MAPK Signaling Pathway in RAW 264.7 Murine Macrophages)

  • 지선영;황보현;이혜숙;구영태;김진수;이기원;노동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45-754
    • /
    • 2021
  • 면역 기능의 저하는 각종 감염에 대한 저항력의 부족을 초래하여 다양한 질병 유발에 기여하며, 면역 억제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거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면역 조절 생체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침향은 침향나무의 방향족수지 부분이며 전통적으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비록 선행 연구들에 의하여 침향이 신체의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이에 대한 근거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에서 구입한 A. malaccensisd 침향 메탄올 추출물의 면역 자극 효과를 RAW 264.7 대식세포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침향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는 조건에서 식작용을 현저하게 향상시켰으며다. 또한 침향 추출물 처리된 RAW 264.7 세포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iNOS 발현 증가에 따른 NO 생성의 생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아울러 TNF-α, IL-1β 및 IL-6과 같은 cytokine의 발현과 분비를 증가시켰으며, MAPKs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고대 서적을 기반으로 침향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침향이 잠재적인 면역 강화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Macrophages로부터 IL-1β 분비 및 전사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 (non-lectin components)의 효과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on IL-1β release and expression from macrophages)

  • 장성호;전명하;강태봉;문세환;이준호;성낙술;이성태;김종배;허억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70-178
    • /
    • 2001
  • Background: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extract has been found to posses immunostimulatory activity. In this study,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was used to know whether this extract might activate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to produce interleukin $1{\beta}$ (IL-$1{\beta}$). Methods: Hemagglutination assa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M11C contained a lectin or not. To know the effect of M11C on the production of IL-$1{\beta}$, the macrophages were treated by the M11C, and then collected the supernatant (M11C stimulated macrophages-conditioned media; MMCM). MMCM was analyzed for the IL-$1{\beta}$ quantification and mRNA expression by means of ELISA and RT-PCR, respectively. Results: Maximum effective dose and time of M11C on IL-$1{\beta}$ production from macrophages were $20{\mu}g/m{\ell}$ and 8 hours, respectively. This ELISA data was reconfirmed by immunoblotting assay. indicating that M11C is a good candidate for an immunomodulator. The dose and time dependent effects of M11C on the expression of IL-$1{\beta}$ mRNA from macrophages was also shown in expression of mRNA detected by RT-PCR. Treatment dose and time for the maximum expression of IL-$1{\beta}$ mRNA were $20{\mu}g/m{\ell}$ and 4 hours, respectively. Maximum gene expression of IL-$1{\beta}$ was much earlier than maximum production of it. Conclusion: As results,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may be used for an immunomodulator. This will be able to make up for and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existent immunoagent with many adverse effects through many other studies in future including one molecule extraction.

  • PDF

보양환오탕(補陽還五湯) 경구투여 후 면역 활성화에 의한 암 전이 억제 효과 (Anti-metastatic Effect on Cancer cell and Immune System Activation by Orally Administered Boyanghwano-tang)

  • 김진환;황덕상;이진무;이창훈;이경섭;장준복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6-58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ntestinal immune system activation and anti-metastatic effect on cancer cells by orally administered extracts of Boyanghwano-tang. Methods: To observ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Boyanghwano-tang on Peyer's patch cells, we measured cytokines GM-CSF, IL-4. In addition to observing effects of Boyanghwano-tang on hematopoiesis, we measured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s mediated by Peyer's patch cells in vitro. IgA induction activated in intestinal content and serum was measured to observe the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Boyanghwano-tang on mucosal immune system. After administering ovalbumin (OVA) with Boyanghwano-tang, Proliferation of Peyer's patch cell was measured to investigate gut immunostimulatory effect. Anti-metastat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vivo mouse model by using colon 26-M3.1 carcinoma cell. Results: The amounts of GM-CSF and IL-4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 was significantly up-regualted with Boyanghwano-ta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Boyanghwano-tang enhances the secretion of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such as GM-CSF and IL-4 from Peyer's patch cells, and these cytokines also act on modulator of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fter orally administering OVA with Boyanghwano-tang, IgA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peyer's patch cell was up-regulated with Boyanghwano-tang. These results means orally administered Boyanghwano-tang activates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umor metastasis. In addition, We found that orally administered Boyanghwano-tang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in vivo. Conclusions: Orally administered Boyanghwano-tang appears to have considerable activity on the anti-metastasis by activation of immune system.

오적산(五積散) 경구투여에 의한 면역활성과 종양 전이 억제 효과 (Activation of Immune System & Antimetastatic Effects of Ojeok-san by Oral Administration)

  • 이미주;황덕상;이진무;장준복;이경섭;이창훈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4-45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ntestinal immune system activation and antimetastatic effect of Ojeok-san on cancer cells by oral administration. Methods: Cell viability of Ojeok-san was tested with colon 26-M3.1 carcinoma cells and Peyer's patch cells in vitro. Antimetastat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vivo mouse model by using colon 26-M3.1 carcinoma cell. To observ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Ojeok-san on Peyer's patch cells, we measured interleukin (IL)-4, GM-CSF. In addition to observing effects of Ojeok-san on hematopoiesis, we measured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s mediated by Peyer's patch cells in vitro. IgA induction activated in serum and intestinal content was measured to observe the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Ojeok-san on mucosal immune system. After administering Ovalbumin (OVA) with Ojeok-san, Proliferation of Peyer's patch cell was measured to investigate gut immunostimulatory effect. Results: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the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of the colon 26-M3.1 carcinoma cell was $890{\mu}g/ml$. $IC_{50}$ of the Peyer's patch cells with LPS was $990{\mu}g/ml$. We found that orally administered Ojeok-san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in vivo. In addition, the amounts of IL-4 and GM-CSF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with Ojeok-s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Ojeok-san enhances the secretion of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such as GM-CSF and IL-4 from Peyer's patch cells, and these cytokines also act on modulator of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fter orally administering Ovalbumin (OVA) with Ojeok-san, IgA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peyer's patch cell was up-regulated with Ojeok-san. These results means orally administered Ojeok-san activates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umor metastasis. Conclusions: Orally administered Ojeok-san appears to have considerable activity on the anti-metastasis by activation of immune system.

Bifidobacteria의 allergy 면역 조절과 synergism (Allergy Immunity Regulation and Synergism of Bifidobacteria)

  • 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2-499
    • /
    • 2017
  • Allergy 질환은 지난 십여년 동안 개발도상국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Allergy 염증 반응은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에 의한 allergy 항원섭취를 시작으로 하여 Th2 면역 반응에 의해서 일어난다. 장내 미생물은 신체의 대사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생애 초기의 면역 체계 성숙과 일생 동안 면역 체계 항상성 및 상피세포 총체성에 기여한다. Bifidobacteria는 Th1/Th2 balance에 strain-specific 한 면역 자극 특성을 가지며, TSLP와 IgE 발현을 억제 시키고 Flg과 FoxP3 발현을 촉진 시켜 allergy를 완화시킨다. 또한 Unmethylated CpG motif ODN은 B 세포와 수지상 세포의 TLR9에 의해 인식 되어 선천성과 적응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Clostridium butyricum에 의해서 생산된 butyrate는 수지상 세포의 anti-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GPR109a signaling pathway를 활성화시키고, GPR43 활성화를 통하여 tTreg 세포 proliferation을 직접 자극하거나 HADC 활성을 억제시켜 Foxp3 gene intronic enhancer의 histone H3 acetylation을 통해 naive $CD4^+$ T 세포를 pTreg 세포로 분화시킨다.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비렉틴 구성물질)의 생쥐 비장 대식세포로부터 Tumor Necrosis $Factor-{\alpha}$ 분비효과와 생쥐에 Sarcoma 180으로 유도된 육종암의 성장 억제효과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on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Secretion from Mouse Splenic Macrophages and on the Inhibition of Sarcoma 180-Induced Tumor Growth in Mice)

  • 성기태;강태봉;전명하;장성호;이준호;김종배;최완수;유영춘;성낙술;이성태;성현제;허억
    • 생약학회지
    • /
    • 제34권3호통권134호
    • /
    • pp.210-217
    • /
    • 2003
  •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extract has been found to posses immunostimulatory activity. In this study,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was used to know whether this extract might activate mouse splenic macrophages to produce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and might play a role in anticancer. To know the effect of M11C on the production of $TNF-{\alpha}$, the splenic macrophages were treated by the M11C, and then collected the supernatant (M11C stimulated splenic macrophage-conditioned media; MSCM). MSCM was analyzed for the $TNF-{\alpha}$ secretion by means of ELISA and immunoblotting, and mRNA expression was analyzed by RT-PCR. The S-180 murine sarcoma model was established to know the effect of M11C on the inhibition of tumor growth. M11C had the effect of $TNF-{\alpha}$ production from splenic macrophages performed by ELISA technique. This ELISA data was reconfirmed by immunoblotting assay. The effects of M11C on the expression of $TNF-{\alpha}$ mRNA from the macrophages was also shown. M11C also had the inhibitory effect of S-180 tumor growth. These data suggest that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may be used for an immunomodulator.

동충하초균으로 발효한 인삼잎에서 분리한 중성다당의 면역활성 및 구조적 특성 (Immunostimulatory activ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utral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ginseng leaves fermented by Cordyceps sinensis)

  • 차하영;박혜령;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70-577
    • /
    • 2021
  • 동충하초균으로 발효한 인삼잎의 면역활성과 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다당(GLF)를 분리하고 구성당과 당쇄 결합양식을 확인한 결과 C. sinensis 유래의 glucan이 주를 이루며 소량의 인삼잎 유래 pectic substances가 혼재되어 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해 GLF로부터 중성다당체(GLF1)를 분리하였으며, 이를 lyticase, β-glucosidase 및 α-glucoamylase 효소를 처리한 결과, GLF1은 α-gluco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주로 α-glucan을 함유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대식세포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동충하초균으로 인삼잎을 발효하여 얻은 조다당 GLF가 단순 열수추출 조다당인 GLW보다 더 우수한 활성(Data not shown)과 수율을 보여주었으며, GLF와 GLF1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면역활성이 증가하는 경향과 동일 농도에서 유사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GLF1의 전체구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soamylase 및 α-amylase 효소를 처리한 결과, isoamylase 처리 획분인 PHI가 72.8%의 glucose로 구성되며 iodine-starch 반응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PHI의 αamylase 처리 후 분리한 PHIA1, PHIA2 및 PHIA3 획분에서는 iodine-starch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의 대식세포 분비능을 확인한 결과 세 가지 획분 모두 어떠한 활성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충하초 발효 인삼잎유래 중성다당은 α-(1→4)-glucan을 주쇄로 존재하며 C(O)-6 위치에서 측쇄가 연결되어 존재하는 α-glucan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면역활성은 α-glucan 전체 구조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최종 확인하였다.

유산균으로 발효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의 Macrophage 자극에 의한 면역학적 활성화와 종양전이 억제효과 (Fermented Extracts of Korean Mistletoe with Lactobacillus (FKM-110) Stimulate Macrophage and Inhibit Tumor Metastasis)

  • 윤택준;유영춘;강태봉;이관희;곽진환;백영진;허철성;김종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38-847
    • /
    • 1999
  •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KM-110)이 면역학적 활성 및 항암효과를 갖고 있으며 그 주성분은 렉틴이라는 사실은 이미 밝혀져 있다. 이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KM-110을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가지는 기능성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KM-110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물질(FKM-110)의 항암 및 면역자극효과를 조사하였다. FKM-110의 렉틴함량은 발효시킨 유산균주 및 발효시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나타냈고,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의 측정 결과, 그 활성은 FKM-110에 존재하는 렉틴 성분인 KML-U의 함량과 비례하였다. FKM-110의 면역 자극 효과를 macrophage로 부터 IL-1 및 $IFN-{\gamma}$와 같은 cytokine의 유도분비능으로 조사한 결과, IL-1의 유도 분비능은 렉틴함량에 비례하였으나, $IFN-{\gamma}$의 경우는 렉틴함량과 무관한 결과를 나타내어 KM-110 흑은 FKM-110에서 $IFN-{\gamma}$의 유도물질은 렉틴성분이 아님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여러 가지 유산균으로 발효된 분획의 미정맥투여에 의한 in vivo항종양 활성을 마우스를 이용한 종양전이 모델에서 조사한 결과 Marshall Lactobacillus casei로 발효된 FKM-110이 가장 우수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를 근거로 기능성 식품으로 응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Skim milk에 KM-110을 혼합후 Marshall Lactobacillus casei로 발효시킨 요쿠르트를 경구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약 68%의 항종양 활성을 보여 KM-110 단독의 경구투여에 의한 항종양 활성(45%)보다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고, 그 이유는 발효 유산균 혹은 그 대사산물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은 활성을 나타냈다.리와 무처리한 계란표면에 Salmonella enteritidis를 접종한 후 내부 전이 과정을 CSLM을 이용하여 다색영상화(multi-color imaging)와 시간당 투과 균수에 대한 plate count로 비교한 결과, 난각이나 3중막 구조의 난막보다는 cuticle 층이 Salmonella균의 오염을 차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피복이 cuticle 층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피복 필름중에서 chitosan이 최외부 방어막인 cuticle층이 결손된 난각 부위를 피복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되고 있는 국제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식품구입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더욱이 본 연구결과 우리 나라 소비자들은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 소비자로서의 알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국내에서 방사선조사 식품이 상업적으로 널리 보급되기에 앞서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소비자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년령군별 발생양상은 외국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무과립구증 발생양상의 기준상황 자료(baseline data)로써 유용하리라고 판단 된다. 한편 본 조사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은 앞으로 특정 질병, 특히 희귀한 중증질환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