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 Core Competency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5초

치과위생사의 핵심기본치위생역량술에 대한 숙련요구도 조사 (Research on dental hygienists' clinical skill proficiency in core dental hygiene competency)

  • 채성현;노희진;정고운;김하나;맹혜민;조윤상;박지영;팽경원;현지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51-660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skill proficiency in core dental hygiene competency in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08 dental hygienists in Seoul and Gyeonggido. A complet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71 dental hygienis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ssessment of core dental hygiene competency, implementation of core dental hygiene competency, and education of core dental hygiene competency. Data were analyzed by PASW Statistics 18.0 to carry out a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Chief complaint confirmation($4.08{\pm}0.91$), scaling (ultrasonic scaler)($4.36{\pm}0.88$), and toothbrushing education($4.35{\pm}0.86$)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areas of dental hygiene assessment, implementation, and education, respectively. In dental hygiene edu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y 'level of education,' 'working career,' 'type of workplace,' 'department,' and 'main task.' Conclusions: Respondents were found to think that their level of proficiency should be above average for most jobs. Proficiency in core competency was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s,' 'type of workplace,' and 'department.'

A Study on the Standard AI Developer Job Training Track Based on Industry Demand

  • Lee, Won Joo;Kim, Doohyun;Kim, Sang Il;Kim, Han 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51-25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이 교육과정의 특징은 산업체와 대학간의 AI 개발자 직무 역량의 미스 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산업체 현장에 재직중인 AI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NCS 기반의 5개 AI 개발자 직무 중 산업체 현장의 인력 수요가 많은 AI 개발자 직무를 도출하여 직무분석을 실시한다. 직무분석에서는 해당 직무의 핵심 능력단위요소를 선정하고, 그 핵심 능력단위요소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도구 등을 도출한다. 그리고 지식, 기술, 도구 등을 교육할 수 있는 핵심 교과목과 이수 체계를 도출하여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활용한 효율적인 AI 개발자 직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항공정비 품질 엔지니어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Competency of Aircraft Maintenance Quality Engineer)

  • 최병선;박종훈;이상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47-56
    • /
    • 2023
  • This study identified the core competencies of aircraft maintenance quality engineers and compared the importance and retention of core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21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in three areas of management technology, elemenal technology and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retention of core competencies for 42 aircraft maintenance quality engine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importance of all core competencies of aircraft maintenance quality engineers is 3.95/5 on average, and the retention of all core competencies is 3.99/5 on average. 'Risk Management', 'Creating Document', 'Honesty/Moral'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in each area, and 'Quality Management', 'Language', 'Honesty/Moral' were identified as the most possessed competencies in each area. An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etails. Through IPA, 'Risk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were evaluated as having a low degree of retention compared to a high level of importance. Therefore, they were identified as a core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improved firs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re competency and the recognition level in the field were also identifi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fin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aircraft maintenance quality engineers to improve flight quality and prevent aviation accidents.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Newspaper Articles : Focusing on in Engineering Students)

  • 허지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5호
    • /
    • pp.50-5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each field and target. To do this, we reviewed prior research focusing on core competency concepts and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d 227 articl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five major newspapers. Through analysis, we analyzed social network with 118 refined core competency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the degree centrality in term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nvergence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conductivity', 'software ability', 'human literacy', 'personality' order.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go centric network by field and target, th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ore competence of engineering students in order to nurture the engineering talents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중학생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부모자녀와의 관계 탐색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re Competencies: Focused on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 최경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7-93
    • /
    • 2022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핵심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부모자녀 관계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다르게 예측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2016년에 실시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4차년도 자료 중 중학생 2학년 6,06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 따라 3개 잠재프로파일('상위 역량 집단(19.54%)', '중위 역량 집단(49.03%)', '하위 역량 집단(31.43%)')을 도출하였다.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의사소통 역량이 가장 높고, 창의적 사고 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관계 변인(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 애착 수준)은 모두 각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별 유의한 차이를 예측하였다. 특히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중학생의 핵심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발달에 있어 부모자녀 관계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나아가 가족관계가 청소년의 전인적 발달에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창의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and its Operating System for developing creative-convergent talent)

  • 김영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87-1993
    • /
    • 2016
  • 창의융합교육의 핵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실제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의교육과정에 사회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선정하고, 선정된 역량에 기반 하여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체계 및 운영체계를 개발 하였다. 창의 융합 형 인재를 '협업 형 창의융합인재, 브리꼴레르'로 정의하고, 이러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TX역량으로 규정하였다. T역량은 인문소양, 분야별 전문성으로 구성하였고, X역량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력, 자기주도 학습역량, 협력적 리더십으로 구성하였다. 비교과영역의 과정 개발을 통하여 학습자 역량 개발을 위한 과정을 적극 제공하고 관리를 체계화하여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의 참여정도 및 성과에 대하여 마일리지점수를 부여하는 운영시스템을 체계화 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영역의 제한된 틀을 넘어 학습자의 다원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기반 비교과과정 및 그 운영체계의 시한적 모델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Job Competency Assessor)

  • 이진구;정일찬;김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13-42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NCS에 기반한 직무수행능력 성취도(교육훈련, 자격, 현장경험 등)를 역량평가를 통해 평가하는 직무능력평가사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모형을 개발 및 검증하고, 핵심작업을 도출하는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능력평가사의 책무는 NCS 기반 평가원리 확인, 평가계획 수립, 평가도구 설계 및 개발, 평가 실행, 피드백 제공 및 재평가, 평가 기록 및 관리, 내부평가 타당성 검토, 선행학습인정 계획수립, 선행학습인정 평가 실행, 선행학습인정 타당성 검토로 나타났고, 48개의 작업이 도출되었다. 또한, 책무별로 작업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곱한 임계도 값을 바탕으로 총 21개의 핵심작업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평가사 직무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조기업의 핵심역량 및 가치혁신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and Value Innovation Strategies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 노형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55-16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기업이 자원기반관점의 생산전략을 추구하면서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핵심역량을 육성하고, 가치혁신전략의 일환으로서 혁신 제품개발 및 사업 모델 혁신을 추진하여 경영을 다각화할 때, 기업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핵심역량의 육성이 가치혁신전략의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기업에 대한 핵심역량과 가치혁신전략 그리고 기업성과 간에 논리적, 개념적으로 타당한 구조적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업이 궁극적인 목적인 기업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미래 경쟁력의 원천이 될 핵심역량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가치혁신전략을 기반으로 경영을 다각화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7-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Exploring Multi-faceted Understandings and Issues Regarding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General Core Competency)

  • 이경건;박정우;이선경;홍훈기;심한수;신명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94-118
    • /
    • 2019
  •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담론의 동향으로부터 과학과 핵심역량의 다면적 이해를 위한 쟁점을 탐색하고, 일반적 핵심역량과 과학 교과역량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는 행동주의, 인문주의, 그 포괄적 종합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OECD의 역량 관련 프로젝트(DeSeCo; OECD Education 2030),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GSS),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에 관하여 작성된 주요 문헌 15건이 제시하는 105개의 일반역량 및 45개의 과학역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량의 정의 및 범주화를 위한 쟁점에 관하여, 일관된 체계 내에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일종의 포괄성을 지닌다고 할 때, 역량의 적절한 개수의 문제, 역량의 적절한 층위 문제, 개별 역량들이 얼마나 고유하고 독립적이어야 하는가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문헌별 역량 요소들의 경향성으로서 역량 항목들이 개인적-미시적 차원, 공동체적-중시적 차원, 사회적-거시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제시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역량과 교과역량 모두에서 중시적 차원이 강조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일반역량과 교과역량간 관계에 있어서 일반역량은 거시적 차원을 강조하고 교과역량은 미시적 차원을 강조하는 경향에서 간극이 발생함을 밝힘으로써, 양자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은 중시적 차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이해 및 추후 개발을 위하여 적지 않은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