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초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40
    • /
    • 2016
  •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developing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section in the revised Junior-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 김종혜;김경훈;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9-51
    • /
    • 2008
  • 2007년 개정된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은 현 7차 컴퓨터 교육과정과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2007년 개정된 정보 교과 교육과정은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에서 벗어나 컴퓨터 과학의 원리와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개정된 정보 교육과정에는 7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영역의 성취기준 및 경가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정된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 PDF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ased on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8호
    • /
    • pp.411-418
    • /
    • 2017
  •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지식에 대한 수준을 판단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SW중심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인재 양성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 지식의 깊이를 가늠하지 않고, 양적인 측면 논의에 한정하여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18개 지식 영역 중 '미국'은 15개 영역, '영국'은 10개 영역, '일본'은 7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한국'은 6개 영역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4개국 가운데 가장 적은 내용을 가르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내용과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ions)

  • 김성율;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1-31
    • /
    • 2016
  •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따른 역기능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크다. 정보윤리교육의 내용은 범교과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정보윤리에 관한 총체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일부 선택 교과의 단원 안에 편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별로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중복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중등학교의 경우 정보윤리교육을 다루는 교과의 대부분이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어 학생에 따라 정보윤리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과 통합 교육과정 모델과 사이버 윤리 교육모델에 기초한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91명을 대상으로 5개월 동안 실시한 결과 정보윤리 이해도 지수가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윤리교육의 기존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안고 있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안한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과목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성취 및 평가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Unit of 'Informat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07)

  • 김경훈;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3-64
    • /
    • 2008
  •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은 2010년부터 적용될 예정이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내용의 포괄적인 성격으로 인해 학교 현장의 교수 학습이나 평가 상황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예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도구들을 개발하였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상의 소영역을 기준으로 학생의 입장에서 진술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제사하였다.

  • PDF

평등과 수월성을 고려한 중국의 정보교육과정 (China's informatics curriculum to consider equality and excellence)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20
    • /
    • 2015
  • 국가 교육과정의 구성은 교육 전반의 평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의 평등은 획일적인 동일성 뿐 아니라 공정성의 관점에서도 논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정보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등과 수월성을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은 2000년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국가 수준에서는 교수내용과 평가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제공되며, 그 내용에 근거하여 각 지역 교육과정이 완성된다. 중국은 의무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요구와 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수월성의 관점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인 S/W 교육에 대한 논의와 교육과정 구성에서 어떤 숙의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한·일 고등학생 대상으로 '정보' 관련 문항을 통한 수준 측정 및 비교 분석 (A Measure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for Test Items Related to Informatic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 노현아;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4
    • /
    • 2016
  • 세계적으로 정보교육의 중요성이 가속화됨에 따라 일본은 2020년부터 대학입시 제도에서 입시 과목으로 '정보' 교과의 반영을 고려하고 있다. 일본 정보입시연구회는 2013년도부터 대학입시 수준의 '정보' 전국모의 시험을 매년 실시하여 고등학생의 적절한 수준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현재까지 시행된 전국모의시험과 동일한 문항을 한국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한국과 일본 고등학생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15년 일본 대학입시 '정보' 전국모의시험을 한국과 일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전체 평균 및 각 분야별 평균 비교 분석, 성별 분석을 통해 한국 일반계 고등학생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정보교과가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담보할 수 있는 필수교과로 개설되고 대학입시 과목에 반영되는 등 향후 정보교육의 추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2년 신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section in the 2012's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 현태익;최재혁;이종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9-201
    • /
    • 2012
  • 이 연구는 일반계고등학교 신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것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에서 이 영역을 학습하지 못한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위해 중학교 교육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고,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알맞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채택하여 인지적 부담을 줄일 필요가 있다. 재미있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퍼즐을 학습 예제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 방법은 ADDIE 모형에 따라 수행한다. 수업 모형의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파이썬을 선택한다. 이 수업 모형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컴퓨터 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컴퓨터교육과 예비 교사들이 모의수업을 하였다. 예비교사의 75%가 수업 모형에 만족하였다. 2012년 3월부터 23시간동안 일반계고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전 후에 문제해결력 향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PSI 검사를 하고, 중간고사 정보 점수와 비교하여 약간의 정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수업 모형이 위 영역의 교수 학습에 효과가 있다고 분석한다. 그러므로 정보 교사들의 교수 학습 수업 모형의 지표가 되고, 예비 교사의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일반계 고등학교의 정보 과목 운영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General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 김민정;김자미;이원규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25-236
    • /
    • 2019
  • 컴퓨팅 사고력을 토대로 문제를 바라보고 접근하는 것은 학생들이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역량으로 정보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일반선택과목이 된 정보과목에 대한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정보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2015-2016년 시기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생 5명, 정보 교사 5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정보과목의 운영시기, 운영내용, 운영방법, 그리고 평가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과목의 운영은 1학년 2학기부터 3학년 2학기 까지 매우 다양하였다. 수업 방법은 강의형이 가장 많았으나, 3학년 2학기에는 자습에 대한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학습 내용은 전체 내용을 모두 배우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사용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과목 수업이 다른 입시과목 제외 과목들과 유사하게 교육과정을 준수하는 형태로 진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처음으로 정보과목의 운영 현황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영역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Information Device" unit for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 in the revi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김경훈;허민;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교육과정의 근거로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영역의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예시 자료를 제시하였다. 새 교육 과정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성취 영역 수준을 소영역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의 진술은 학생의 입장에서 작성하였다. 소영역별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기준은 상, 중, 하로 제시하였다. 해당학교의 교육 환경이나 이수 시간, 학생 수준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개정 종보 교육과정을 적용하기에 앞서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교과 교육활동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