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asure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for Test Items Related to Informatic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한·일 고등학생 대상으로 '정보' 관련 문항을 통한 수준 측정 및 비교 분석

  • 노현아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6.09.27
  • Accepted : 2016.11.23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informatics education has been accentuated all around the world, Japan is considering adopting 'informatics' as a subject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from 2020. Under these circumstances, Informatics university entrance research group in Japan has annually conducted an 'informatics' nationwide mock test since 2013 to prepare for the time when 'informatics' is adopted as a subject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has accumulated the data which help understand the informatics educat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trend. This study thus provided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questions which are the same as those from the informatics nationwide mock tests conducted in Japan so far in order to identify the education level of informatics amo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verall mean scores and mean scores in each subject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in the 2015 informatics nationwide mock te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gender analysis was conducted. These results will be expe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informatics education such as adopting 'informatics' as a subject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in order to be a compulsory subject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at can ensure the required skills in society.

세계적으로 정보교육의 중요성이 가속화됨에 따라 일본은 2020년부터 대학입시 제도에서 입시 과목으로 '정보' 교과의 반영을 고려하고 있다. 일본 정보입시연구회는 2013년도부터 대학입시 수준의 '정보' 전국모의 시험을 매년 실시하여 고등학생의 적절한 수준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현재까지 시행된 전국모의시험과 동일한 문항을 한국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한국과 일본 고등학생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15년 일본 대학입시 '정보' 전국모의시험을 한국과 일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전체 평균 및 각 분야별 평균 비교 분석, 성별 분석을 통해 한국 일반계 고등학생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에서 정보교과가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담보할 수 있는 필수교과로 개설되고 대학입시 과목에 반영되는 등 향후 정보교육의 추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발표. 교육부, 미래부.
  2. 성정숙, 김현철 (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1), 13-20.
  3. 최숙영(2015). 초중고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강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3), 93-104.
  4. 김민자, 김현철(2016). 정보 교과 경험 차이에 따른 대학 전공 선택 및 SW수업 학업성취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3), 11-19.
  5. 김자미, 이원규 (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5), 27-40.
  6. 미래창조과학부(2015). SW중심대학 추진계획 보도자료. 2015. 7. 29.
  7. 김자미, 이원규 (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63-73.
  8. 김자미, 이원규 (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59-69.
  9. 中野由章 외 (2014). 대학정보입시의 필요성과 정보입시연구회의 활동. 정보교육심포지엄, 2014년 8월.
  10. 일본정보처리학회 (2015). 차세대 교과 정보 정보입시 고등학교 교과 정보 심포지엄 2015.
  11. 정보입시연구회 : 자료, available at http://jnsg.jp/?page_id=108.
  12. 조규복 (2015). 일본의 프로그래밍 교육과 정보교과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P 2015-02-8.
  13.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0. 교육과학기술부.
  14. 文部科學省(2009). 高等學校學習指導要領. available at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ation/micro_detail/__icsFiles/afieldfile/2011/03/30/1304427_002.pdf.
  15. 김경훈 외 (2012).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증진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 정책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RRC 2012-7.
  16. 박혜영, 임해미 (2014).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와 ATC21S의 특징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439-462.
  17.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available at http://dx.doi.org/10.1787/9789264190511-en.
  18. 김혜숙 (2012).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PISA 2009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3(1), 1-22.
  19. 김수진, 이문수 (2015). ICILS 2013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대한 민국과 체코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8(5), 1423-1446.
  20. 김수진 외 (2014).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3-2.
  21. 이원규 외 (2007).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개발 연구: 초등학생용.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07-18.
  22. 안성훈 외 (2014). 2014년도 국가수준 초.중등학생 ICT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14-2.
  23.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 "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CT, TOPCIT". Asia-Pacific Regional Forum. 2015.3.27.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available at http://www.kice.re.kr/sub/info.do?m=0101&s=suneung.
  25. 함승연 (2013).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가 인식하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 집단 특성 변화. 수산해양교육연구. 25(6), 1389-1407.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6.1389
  26. 교육부 (2014).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 2014. 9. 2.
  27. 대학입시센터, available at http://www.dnc.ac.jp/center/shiken_gaiyou/.
  28. 중앙교육심의회 (2014). 새로운 시대에 맞는 고교-대학 연계의 실현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 대학 입학자 선발의 총체적 개혁에 대해: 모든 젊은이들이 꿈과 목표를 싹틔우고 미래의 꽃을 피우기 위해(답신).
  29. 이양락 외 (2009).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09-46.
  30. 문부과학성 (2015). 정보교육 관련 자료, 교육과정부회 정보워킹그룹 자료8, available at http://www.mext.go.jp/b_menu/shingi/chukyo/chukyo3/059/siryo/__icsFiles/afieldfile/2015/11/11/1363276_08_1.pdf.
  31. 게이오 기주쿠 대학 SFC 종합정책학부.환경정보학부 입시가 바뀐다, available at http://www.sfc.keio.ac.jp/doc/20151102_1.pdf.
  32. Innovation Centre in HITSA. Programming at Schools and Hobby Clubs. available at http://www.innovatsioonikeskus.ee/en/progr amming-schools-and-hobby-clubs.
  33. 敎育部(2000). 中小學信息技術課程指導綱要(試行), 的通知 敎基 [2000] 35號. available at http://www.cgl.org.cn/auto/db/detail.aspx?db=100100&rid=146745&agfi=0&cls=0&uni=True&cid=0&gp=2&showgp=True&prec=False&md=93&pd=6&msd=93&psd=6&mdd=93&pdd=6&count=10&reds=信息技術.
  34. Ministry of Education. The Site of Israel Ministry of Education. available at http://cms.education.gov.il/EducationCMS/Units/MadaTech/csit/TochnitLimudim/tichon/TL_nativ_iuni.htm.
  35. Central Board of Secondary Education(2011). Senior School Curriculum 2013. available at http://cbse.nic.in/currisyllabus/senior%20curriculum-vol-1-2013.pdf.
  36. European Schoolnet(2014). Computing our future Computer programming and coding - Priorities, school curricula and initiatives across Europe. available at http://www.eun.org/c/document_library/get_file?uuid=521cb928-6ec4-4a86-b522-9d8fd5cf60ce&groupId=43887.
  37. DfE.(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frame work for key stage 1 to 4, available at www.education.gov.uk.
  38. 노현아, 이원규 (2016). 미래 대학입시를 위한 정보교육 개선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109-111.
  39. 문무과학성 : 고등학교 학습지도 요령, available at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ation/micro_detail/__icsFiles/afieldfile/2011/03/30/1304427_002.pdf.
  40. 배영권(2007).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1), 27-37.
  41. Beyer, S., Rynes, K., Perrault, J., Hay, K.,Haller, S. (2003). Gender Differences in Computer Science Students. SIGCSE '03 Proceedings of the 34th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ACM SIGCSE Bulletin Volume 35 Issue 1), 49-53.
  42. 유병건 외 (20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6), 1-10.
  43. Baron-Cohen, S. (2002). The extreme male brain theory of autism.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6, 248-254. https://doi.org/10.1016/S1364-6613(02)01904-6
  44. Baron-Cohen, S. (2003). The essential difference: Men, women and the extreme male brain. London: Penguin.
  45. 조정래, 임숙자 (2015). 컴퓨터공학 교육에서 젠더 다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1),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