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gh availability

검색결과 1,372건 처리시간 0.036초

자가 치유 기법을 이용한 고가용도 웹 서버 클러스터 (High Availability Web Server Cluster Using Self-healing Technique)

  • 정지영;김영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3-32
    • /
    • 2009
  • Although the web is becoming a widely accepted medium, it provides relatively poor performance and low availability. A cluster consists of a collection of interconnected stand-alone computers working together and provides a high-availability solution in application area such as web services or information systems. Web server clusters require a high-availability service with a proactive and practical fault management. However, as the system complexity grows, it is not easy to meet the requirement. Therefore, web server clusters must have self-fault management capability for meeting high-availability requir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high availability web server clusters using self-healing technique with a minimal human intervention.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web server clusters.

멀티미디어 관광정보시스템을 위한 고가용성 리눅스 서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availability Linux Server for Multimedia Tourism Information System)

  • 배재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B호
    • /
    • pp.818-825
    • /
    • 2004
  • 고가용정 (high availability) 이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가술을 말한다. 고가용성은 정보화 시대의 도래, 전자 상거래의 발전 및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컴퓨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하루 24시간 일년 내내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하는 네트워크 컴퓨팅 부분에서 고가용성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관광 정보시스템 (Multimedia Tourism Information System)을 위해서 고가용정 (high-availability) 리녹스 (Linux) 서버에 대해서 분석 연구 하여,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정보 자산에 대한 가용성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Measures for Availability of Information Assets)

  • 김민수;이병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3-58
    • /
    • 2020
  • 지식정보사회에서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가용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가용성 보장전략으로 지속적인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는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자산에 대한 중요도 평가의 신뢰도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실제 자산의 가치와 연계되어 보안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산가치 매트릭스를 통해 평가된 자산 중요도를 바탕으로 가용성 기준인 서비스 유지 평가항목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는 가용성 평가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 자산에 대한 가용성 평가 방안을 제시한다.

링크 다중화를 통한 가상 사설망의 고가용성 및 부하 분산 기법 (High Availability and Load Balancing for Virtual Private Networks by Multiple Links)

  • 권진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1-56
    • /
    • 2008
  • VPN(Virtual Private Network)과 DSL, 케이블과 같은 다이얼업 접속의 조합은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라인 기반의 사설망의 대안이 되고 있다. VPN 장비의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HA)에 대한 기업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VPN 게이트웨이에서 링크 이중화를 통한 액티브-액티브 방식을 이용해 네트웍 접근성의 고가용성과 네트웍 부하 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네트웍 링크의 고가용성/부하분산은 외부 내트웍 접근을 독립적인 두 개의 라인으로 이중화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둘 중 하나의 링크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내부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네트웍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네트웍 부하를 두 개의 라인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두 배에 가까운 네트웍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웍 링크의 부하 분배를 위해 정적인 알고리즘과 동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리눅스 클러스터링 웹 서버의 고가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igh availability of the linux clustering web server)

  • 박지현;이상문;홍태화;김학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88-88
    • /
    • 2000
  • As more and more critical commercial applications move on the Internet, providing highly available server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One of the advantages of a clustered system is that it has hardware and software redundancy. High availability can be provided by detecting node or daemon failure and reconfiguring the system appropriately so that the workload can be taken over bi the remaining nodes in the cluster. This paper presents how to provide the guaranteeing high availability of clustering web server. The load balancer becomes a single failure point of the whole system. In order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load balancer, we setup a backup server using heartbeat, fake, mon, and checkpointing fault-tolerance method. For high availability of file servers in the cluster, we setup coda file system. Coda is a advanced network fault-tolerance distributed file system.

  • PDF

A PROPOSED HIGH AVAILABILITY ARCHITECTURE FOR COMS GROUND CONTROL SYSTEM

  • Kim In-Jun;Kim Jae-Hoon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266-269
    • /
    • 2004
  • A satellite ground control system (SGCS) which monitors and controls a geostationary satellite 24 hours a day has to achieve the system architecture assuring high-level availability and redundancy scheme. The SGCS for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in Korea, which will be implemented to satisfy high availability (HA), expansibility, and compatibility in design. 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architecture to meet these characteristics, the SGCS for COMS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real-time distributed system structure based on redundancy scheme for high availability, data replication and sharing, and CORBA middleware.

  • PDF

소프트웨어 재활기법을 적용한 (n,k) 클러스터 시스템의 가용도 향상 모델 (Availability Improvement Model of (n,k) Cluster Systems using Software Rejuvenation)

  • 이재성;박기진;강창훈;박범주;김성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5_6호
    • /
    • pp.290-298
    • /
    • 2003
  • 인터넷 기반 시스템에서는 고가용도와 고성능을 제공해야하며, 클러스터 시스템 기술은 이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클러스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중요한 목적은 성능과 가용도의 확보에 있으며, 고가용도 클러스터 시스템은 구성 노드들 중 일부에 결함이 발생했을 때 이를 비용ㆍ효율적으로 해결한다. 본 논문은 (n,k)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능을 고려한 가용도 개선과 손실비용 분석에 관한 연구로 소프트웨어 재활 기법을 적용한 (n,k) 클러스터 시스템의 가용도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고가용도가 요청되는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재활은 가용도 향상을 가져오는 유용한 기법 중의 하나임을 파악하였다.

다중효용-흡착 방식 담수화 시스템의 가용도 분석 (Availability Analysis on the Multi-Effect Distillation and Adsorptive Desalination Process)

  • 노현정;이호생;지호;강관구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827-839
    • /
    • 2021
  • Due to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growth, water scarcity is getting worse all over the world. Among various methods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the Multi-Effect Adsorptive Desalination method, which combines the existing Multi-Effect Desalination method and the Adsorptive Desalination method and can produce high-concentration-high-concentration freshwater, is emerging. Because the Multi-Effect Adsorptive Desalination method combines the two different methods, the system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increases. Therefore, in this study, avail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ulti-Effect Adsorptive Desalination process. A total of four types of reliability block diagrams were presented, and avail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m. The first form of a reliability block diagram is configured in series without any redundancy. The availability of the reliability block diagram composed of the serial system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required availability. In order to increase availability, the redundancy to pumps and boiler are added to system. As a result of availabi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designing desalination systems with redundancy to pump meets the 93% availability, which is typically required availability for various plants.

리눅스 고가용 시스템에서 로컬 디스크 간 데이터 동기화 구현 (Implementation of data synchronization for local disks in Linux high availability system)

  • 박성종;이철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7-550
    • /
    • 2008
  • 최근에 블로그, UCC, IPTV 등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서비스와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의 변화는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가용 시스템 플랫폼을 필요로 한다. 고가용 시스템이란 네트워크상에 서버들을 클러스터로 구성함으로써 만약 서비스 하던 시스템이 고장과 같은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안전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가용 시스템 플랫폼에서 서비스의 신뢰성을 위해 시스템 간 데이터 동기화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고가용 시스템에서 로컬 디스크 간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기술인 DRBD(Distributed Replicated Block Disk)를 구현하였다.

  • PDF

열차제어시스템의 아키텍처 기반 고가용도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e-based Model of High Availability of Railway Control Systems)

  • 이경행;권용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87-93
    • /
    • 2011
  • 본 연구는 Five-9's 가용도를 달성하기 위한 고가용도 시스템의 가용도 모델을 기술한다. 현대의 철도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고가용도 시스템으로 이러한 고가용도 서비스의 중요한 특성은 이동통신, 철도시스템, 정보운영 및 웹기반 사업 등 많은 현대의 사업에 필수적이며, 아키텍처 기반의 시스템 가용도 모델은 고가용도 목표의 만족여부를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마코브 모델 접근은 관련 시스템엔지니어가 시스템고장 및 고장복구 프로세스를 모델링할 때 직관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본 연구는 UML2.0을 사용하여 개선된 가용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아키텍처기반의 시스템 가용도 모델은 철도시스템에 매우 의미있게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