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wood Cutt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초

황칠나무 삽목번식에 관한 연구 (Cutting Propaga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L_{EV}$.)

  • 최성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1-257
    • /
    • 1998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자생지인 전남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삽목번식법을 체계적으로 확립 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삽목의 종류로는 숙지삽과 녹지삽이 가능하였으며, 숙지삽 보다는 녹지삽이 캘러스형성이 양호하고 발근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삽목시기는 숙지삽은 2월${\sim}$3월 중순경 실시하고, 녹지삽은 2월${\sim}$3월경 실시하는 것이 발근율이 높아 적당한 시기로 판단된다. 2. 황칠나무의 경삽시 삽식형태는 관삽(normalcutting)보다는 단자삽(earthen-ball cutting) 이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양호하였다. 3. 상토는 통기성과 보수성이 양호한 사양토가 발근에 효과적이었으며,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적당한 상토로 생각된다. 4. 식물생장조절제는 IBA(indole butyric acid)를 100ppm처리할 경우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뽕나무 품종별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내 저장물질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with Time of the Reserve Substances in the Hardwood Cutting of Mulberry Varieties)

  • 최영철;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
    • /
    • 1989
  • 뽕나무 고조삽목에 있어서 각 품종별로 삽수피부의 건물량, C/N률, 탄수화물, 단백질 및 핵산 등의 삽목후 경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목당일부터 삽목 후 4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삽수의 피부를 채취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뿌리와 신초의 생장은 검운뽕(Morus bombycis KoIDZ)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다음으로 대륙뽕(Morus Lhou(SER.) KoIDZ.)과 개량뽕(Morus alba L.)순으로 낮았다. 2. 삽수피부의 건물량은 삽수당일 50%내외에서 삽목 후 40일째에는 36% 내외로 약 14%정도 감소하였으며, 뿌리와 신초의 생장이 빠른 검운뽕이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3. C/N율은 삽목 초기에 감소하다가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10일부터 증가하였으며, 검운뽕은 C/N율이 가장 높았고 개량뽕은 가장 낮았다. 4. 전당의 함량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10일부터 20일 사이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환원당은 삽목 후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감소하였다. 전분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였으며 건물량 감소와 같은 경향이었다. rjadnsQHd은 다른 품종에 비해 전당, 전분의 함량이 많았으며,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소비량도 많았다. 5. 조단백질과 수용성단백질은 삽목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으며, 검운뽕의 단백질함량이 가장 적었다. 6. RNA는 단백질의 변화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검은뽕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DNA는 함량의 경시적 변화와 품종간 함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Effect of Silvicultural Treatments on Carbon Storage of Northern Hardwood Forests

  • Park, Byung Bae;Kim, Young Kwan;Lee, Sang Ic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208-213
    • /
    • 2007
  •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forest managers and landowners with tools to estimate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on carbon storage, investigating living tree biomass, detritus, and harvested wood products as variables. Thinning, selection cutting, and uncutting were applied to the three different forest types in New York, USA. Carbon storage of the original stands was 90, 56, and $101Mg\;ha^{-1}$ at the Allegheny hardwood forest, Northern hardwood forest, and Oak - black cherry forest, respectively. Among treatments, uncutting generally stored the greatest amount carbon. However, the rate of carbon storage was the smallest at the uncut treatment in all the sites. The 50% thinning, 50% selection, and 50% thinning treatments were the highest rate of carbon storage at the Allegheny hardwood forest, Northern hardwood forest, and Oak - cherry forest, respectively. In this study, only short term was applied to simulate carbon sequestration after silvicultural treatment. So,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any silvicultural treatment can store significantly more carbon than no treatment over the long term.

삽수 종류, 배양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병꽃나무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Cultivation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of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cuttings)

  • 이희두;김시동;김학현;이종원;김주형;윤태;이철희;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8
    • /
    • 2002
  •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생열귀나무 삽목시 발근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삽수종류, 생장조절물질 및 상토의 효과 (Effect of cutting type, growth regulators and propagation media on rooting and root growth of on Rosa davurica $P_{ALL}$)

  • 이화영;임정대;김일섭;정일민;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0-146
    • /
    • 2000
  •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숙지, 녹지, 반녹지삽 및 근삽등의 삽목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숙지, 녹지, 반녹지삽으로 삽목실험을 한 결과 숙지삽에 대한 결과는 각각의 생장 조절물질 및 상토조건에서 발근이 전혀되지 않았으며 반녹지삽, 녹지삽, 근삽의 순으로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어 생열귀 삽목시 숙지삽이나 반녹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녹지삽을 채취하거나 근삽을 이용하여 삽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2.녹지삽의 경우 무처리 식물체가 전혀 발근이 되지 않은 반면 rooton-F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NAA 처리시는 저농도에서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증가하였고 IAA를 처리한 경우는 고농도일수록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양호하였다. IBA는 IAA, NAA보다는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3. 녹지삽에서는 vermiculite와 perlite의 혼합토양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점토, 사토 순으로 나타났다. 녹지삽에 rooton-F를 처리하였을 때 근장에 있어서는 사토가 더 우수한 반면 근수는 점토에서 더 우수하여 점토와 사토에서 근수와 근장이 서로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4. 반녹지삽에 rooton-F를 분의처리한 경우 녹지삽에서 결과가 좋았던 vermiculite+perlite에서는 10%정도만 유기되고 점토에서 양호한 발근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삽목조건이 희귀수종 눈향나무의 발근과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Early Growth of a Rare Endemic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 안상열;안병섭;박수정;김주현;이상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3-80
    • /
    • 2011
  • 눈향나무의 효율적인 삽목번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삽목시기, 삽목용 상토, 삽수, 발근촉진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삽목 후의 생존율, 발근율 및 초기생장상태를 조사하였다. 삽목시기에 따른 발근율은 4월 68.3%, 5월 39.5%, 6월의 32.5%로서 4월이 가장 적합하였다. 삽목용 상토는 냇모래 72.7%, 혼합토 40.1%, 마사토 27.5%로서 냇모래가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고, 뿌리의 생장도 좋았다. 발근촉진제 처리 효과는 발근율이 높은 냇모래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발근율이 낮은 마사토에서는 무처리구 41.1% 에 비해 IAA 64.4%, IBA 64.4%, NAA 68.9%로서 발근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삽수의 숙도면에서는 숙지삽을 이용하는 것이 반숙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생존율이나 발근율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눈향나무 삽목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조건은 냇모래에 숙지삽 상태로 4월에 삽목하는것이라 할 수 있다.

다(茶)나무 (Camellia sinensis L.) 삽목(揷木)시 발근솔(發根率) 향상(向上) (Rooting Promotion in Cutting Propagation of Tea)

  • 김정운;김태석;신길호;김주희;박장현;조경숙;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95-199
    • /
    • 1995
  • 다(茶)나무 삽목(揷木)시 삽수(揷穗)의 종류(種類), 상토(床土)의 종류(種類),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등이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을 수행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지삽(熟枝揷)보다 녹지삽(綠枝揷)에서 발근율(發根率)이 양호(良好)하며 최적(最適) 삽목시기(揷木時期)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4월 10일경, 녹지삽(綠枝揷)의 경우 6월 10일경이었다. 2. 적정상토(適定床土)는 마사토(磨沙土)이며, 녹지삽(綠枝揷)과 숙지삽(熟枝揷)에서의 발근율(發根率)은 각각 71% , 87%였다. 3.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인 Oxyberon과 Rootone의 효과(效果)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4{\sim}9%$의 발근율(發根率)을 향상(向上)시켰으나 녹지소(綠枝揷)에서 는 그 효과가 미미(微微)하였다.

  • PDF

전열온상을 이용한 상수의 고조삽목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Rooting in Mulberry Hardwood Cuttings in the Bottom Heat Bins)

  • Ryu, Keun-Sup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0
    • /
    • 1979
  • 전열온상하에서 상수의 고조삽목을 실시할 때 가장 적당한 $\beta$-indolylbutric acid (IBA) 처리농도, 삽수의 채취시기(삽목시기) 및 삽상토등을 구명하기 위해서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삽수를 IBA용액에 5초간 침지할 경우 IBA 2,000~4,000 p.p.m.으로 처리한 것이 활착률이 높았고 발근수도 많았다. 2. 가장 적당한 IBA 용액의 처리심도는 삽수의 기부로 부터 2.5 cm가랑 이였다. 3. 12월부터 3월 사이에 삽수를 채취 삽본할 수 있으나 3월에 삽목한 것이 더욱 결과가 좋았다. 4. 전열온상에 사용하는 상토로서는 진주암토(perlite)가 가장 이상적이었다.

  • PDF

상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꾸지뽕나무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dsoil and Growth Regulator on Cutting Propagation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5-288
    • /
    • 2004
  • 꾸지뽕나무의 대량번식을 위한 상토와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삽목 번식에 관한 시험을 수행한 바, 삽목상토는 미풍화토에서 양호하여 숙지삽과 녹지삽에서 각각 56.9%, 62.3%의 발근율을 보였고, 생장조절제는 IBA 100 ppm처리에서 발근이 양호하여 숙지삽에서 57.9%, 녹지삽에서는 89.2%의 발근율을 보였다.

뽕나무 유합촉진 고조삽목에 관한 연구 I. 발근촉진제 농도가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Hardwood Cutting with Callusing in the Mulberry(Morus bombycis Koidz.) I. Effect of a Root-Promoting Substanc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n Root Formation)

  • 최승운;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3-67
    • /
    • 1991
  • 뽕나무(품종:신광뽕)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를 NAA 농도를 달리하여 2주간 유합촉진한 후 온실에 삽목한 경우 농도에 따른 발아 및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삽수동아의 발아생장은 NAA 농도가 높아짐에 EK라 삽목후 10일까지는 억제되어 지연되었다. 그러나 유합촉진 2주후에는 150ppmrn를 제외하고는 93% 이상 대부분 발아되었다. 2. NAA 농도별 발근은 삽목 15일 후 높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어느 농도에서나 증가하여 35일 후에는 매우 높은 농도(150ppm)에서 낙해발생으로 인한 다소 낮은 발근율을 제외하고는 그 이상 농도에서 100%의 발근율을 나타내었다. 3. 평균 뿌리길이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적었으나 주당 뿌리수, 뿌리길이 및 무게는 50ppmrn가 가장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