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wood Cutting with Callusing in the Mulberry(Morus bombycis Koidz.) I. Effect of a Root-Promoting Substanc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n Root Formation

뽕나무 유합촉진 고조삽목에 관한 연구 I. 발근촉진제 농도가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1.12.01

Abstract

Various concentrations of ${\alpha}$-naphthalence acetic acid(NAA) as a root-promoting substance were tested in hardwood cutting of the mulberry(Morus bombycis Koidz., cultivar : Shinkwangppong) to make clear the callusing effect on the budding and root growth. Budding and shoot growth of cuttings were delayed at high concentrations of NAA within 10 days of callusing. Especially more severe is it at higher than 50ppm. More than 93% of them, however, budded in two weeks when callused at less than 100ppm NAA. Although rooting was accelerated at high concentration of NAA from the bigining of cutting, after that, rooting percentage increased to reach 100% in 35 days of cutting in any concentration except 150ppm with relatively low rooting. Root growth was utmostly accelerated at 50ppm NAA to show the highest amount in number, length and weight of roots per cutting although high concentration of it decreased mean root length.

뽕나무(품종:신광뽕)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를 NAA 농도를 달리하여 2주간 유합촉진한 후 온실에 삽목한 경우 농도에 따른 발아 및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삽수동아의 발아생장은 NAA 농도가 높아짐에 EK라 삽목후 10일까지는 억제되어 지연되었다. 그러나 유합촉진 2주후에는 150ppmrn를 제외하고는 93% 이상 대부분 발아되었다. 2. NAA 농도별 발근은 삽목 15일 후 높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어느 농도에서나 증가하여 35일 후에는 매우 높은 농도(150ppm)에서 낙해발생으로 인한 다소 낮은 발근율을 제외하고는 그 이상 농도에서 100%의 발근율을 나타내었다. 3. 평균 뿌리길이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적었으나 주당 뿌리수, 뿌리길이 및 무게는 50ppmrn가 가장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