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utting type, growth regulators and propagation media on rooting and root growth of on Rosa davurica $P_{ALL}$

생열귀나무 삽목시 발근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삽수종류, 생장조절물질 및 상토의 효과

  • 이화영 (홍천군 농업기술센터) ;
  • 임정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김일섭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정일민 (건국대학교 농업생명과학부) ;
  • 유창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tting type, growth regulators and propagation media on the rooting and root growth of Roea davurica $P_{ALL}$. Three type of cutting, hardwood, half-softwood, softwood cutting and root cutting of Rosa davurica $P_{ALL}$, were used to study the rooting ability. There was no rooting in hardwood cutting while root cutting was appeared 100% of callus formation and rooting. The optimum conditions of softwood cutting for rooting were IAA 100ppm and rooton-F at vermiculite+perlite. The rate of rooting in treatment of rooton-F ranged from 10 to 60%, but such a good effect was not appeared in other growth regulators, IAA, NAA and IBA.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숙지, 녹지, 반녹지삽 및 근삽등의 삽목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숙지, 녹지, 반녹지삽으로 삽목실험을 한 결과 숙지삽에 대한 결과는 각각의 생장 조절물질 및 상토조건에서 발근이 전혀되지 않았으며 반녹지삽, 녹지삽, 근삽의 순으로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어 생열귀 삽목시 숙지삽이나 반녹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녹지삽을 채취하거나 근삽을 이용하여 삽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2.녹지삽의 경우 무처리 식물체가 전혀 발근이 되지 않은 반면 rooton-F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NAA 처리시는 저농도에서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증가하였고 IAA를 처리한 경우는 고농도일수록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양호하였다. IBA는 IAA, NAA보다는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3. 녹지삽에서는 vermiculite와 perlite의 혼합토양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점토, 사토 순으로 나타났다. 녹지삽에 rooton-F를 처리하였을 때 근장에 있어서는 사토가 더 우수한 반면 근수는 점토에서 더 우수하여 점토와 사토에서 근수와 근장이 서로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4. 반녹지삽에 rooton-F를 분의처리한 경우 녹지삽에서 결과가 좋았던 vermiculite+perlite에서는 10%정도만 유기되고 점토에서 양호한 발근효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New possibilites of using grodan in propagation Acta Hort. v.178 Blaabjerg J.
  2. Contrib. v.1 Effects obtained with mixture of root-inducing and other substance. Hitchcock A. E.;Zimmerman P. W.
  3. N. Z. J. For. Sci. v.4 Vegetative propagation of some selected hardwood forest species in the southerneastern United States. Kormanik P. P.;Brown C. L.
  4. Horrt. Sci. v.15 Maintaining juvenility in live oak. Morgan .D.L.;Mcwilliams E. L.;Parr W. C.
  5.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2 no.2 Cutting propagation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Park H. K.;Park M. S.;Kim T. S.;Choi I. L.;Jang Y. S.;Kim G. S.
  6.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3 no.1 Vitamin contents in fruits of Rosa davurica PALL Shin K. H.;Chung H. S.;Cho S. H.
  7. J. The Arnold Arboretum. v.20 The vegetative propagation of difficult plants. Thimann K. V.;Delisle A. L.
  8. Proc. Int'1 Plant. Prop. Soc. v.19 In the chemical nature of the root forming hormone. Thimann K. V.;Went F. W.
  9. Acta Hort. v.148 Lowering heating costs per rose through increased production by use of movable benches. Van den Berg G. A.
  10. 원색자원수목도감 金昌浩;尹相旭
  11. 전북농대논문집 9집 닥나무의 夏揷에 대하여. 박병익
  12. 한국원예학회지 v.26 no.2 산철죽 밀재삽목이 발근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연구. 沈慶久;李丁植;安永熙
  13. 강원도 특산자원식물의 고소득화 기술개발. 안상득
  14. 奈良縣農詩硏報 no.4 押田幹太
  15. 신고식물분류학 이창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