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 discus discu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Substitution effect of white radish (Raphanus sativus L.)' by-product and tunic of sea squirt (Halocynthia rorentzi, von Drasche) for Undaria pinnatifida in feed of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Jeong, Hae Seung;Kim, June;Yun, Ah-Yeong;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10.1-10.8
    • /
    • 2018
  • Substitution effect of white radish' by-product (WRB) and tunic of sea squirt (TSS) for Undaria in feed on growth and carcass composition of abalone was determined. Eight-hundred forty juveniles were distributed into 12 containers. Three formulated diets were prepared in triplicate. A 15% Undaria was included in the control diet. The 15% Undaria was substituted with a same amount of WRB and TSS, referred to as the DRG and TSS diets, respectively. Finally, dry Undaria was also prepared to compare effect of the formulated diets on performance of abalone.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at a satiation level with a little leftover. The feeding trial lasted for 16 weeks.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perimental diets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Higher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s retained in all formulated diets compared to the Undaria were observed at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Survival of abalone was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TSS diet was greater than all other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control diet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of abalone fed the WRB diet.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as affected by the diets. In conclusion, WRB and TSS are the promising feed ingredients to replace Undaria in abalone feed; especially, TSS is superior to either Undaria or WRB. The formulated diets produced improved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over the single Undaria.

Feeding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Seaweed Eisenia bicyclis Allows the Accumulation of Phlorotannins

  • Bangoura, Issa;Chowdhury, Muhammad Tanvir Hossain;Getachew, Paulos;Cho, Ji-Young;Hong, Yong-K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65-171
    • /
    • 2015
  • Abalone containing phlorotannins is produced by feeding the phlorotannin-rich brown seaweed Eisenia bicyclis after 4 days of starvation. Reverse-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was used to isolate and quantify phlorotannins, which were identified by mass spectrometry and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to be the P1 compound, 7-phloroeckol, and eckol. When E. bicyclis was used as feed, P1 compound accumulated to an average of 1.60 mg/g dry weight of abalone muscle tissue after 18 d, 7-phloroeckolol to 0.21 mg/g after 16 d, and eckol to 0.22 mg/g after 12 d. Saccharina japonica was used as a control feed, and the abalone showed little or no accumulation of phlorotannins in muscle tissue. Feed consumption and growth rate were very similar when either E. bicyclis or S. japonica was fed for 20 d. Half-maximal reductions in the levels of P1 compound, 7-phloroeckol, and eckol accumulation were attained in 1.5, 1.9, and 3.4 days, respectively, after the feed was switched from E. bicyclis to S. japonica. Value-added abalone containing bioactive phlorotannins can be produced by simply changing the feed to the phlorotannin-rich E. bicyclis 18 d prior to harvesting.

참전복 치패에 대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Benthic Diatoms for Newly Settl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한형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3-161
    • /
    • 2000
  • 10종의 부착성 규조류를 대상으로 참전복 치패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생의 부착율을 실험 1에서 Rhaphoneis sp.가 31.6%, 실험 2에서는 P. tricornutum가 16.4%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 규조류를 먹이로 한 치패의 생존율은 실험1에서 Raphoneis sp.가 62.7%로 가장 높았고, N. incerta, C. schroderi, N. closterium 는 각각 56.8%, 55.2%, 54.3%로 비교적 높았으며, Navicula sp. (B-38)는 30.5%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실험 2와 3에서는 C. schroderi, N. incerta, P. tricornutum 및 Raphoneis sp.는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C. schroderi는 67.6%, 49.4%로 가장 높았다. 반면, H. marina (40.4%, 15.7%), Nitzschia sp. (39.1%, 27.1%), N. closterium (35.2%, 18.0%)은 비교적 낮았다. 치패의 성장에 있어서 일간성장량은 부착율과 생존율이 높았던 C. schroderi에서 최고 83.3 ${\mu}$m로 가장 높았고, 생존율이 낮았던 H. marina와 N. closterium은 19.9~38.7 ${\mu}$m로 가장 낮은 일간성장량을 보였다.

  • PDF

강원도 동강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The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Dong River of Kangwon Province, Korea)

  • 이진환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17-226
    • /
    • 2004
  •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ater quality and to analyze the plank tonic and benthic phytoplankton communities at 6 stations in the Dong River and its tributary streams of Kangwon Province from November, 2001 to March, 2002. During the studies,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3.5 to 12.8℃; pH, 6.5-7.9; DO, 9.29-11.36 mg·l^(-1); BOD_5, 0.20-2.38 mg·l^(-1); TN, 1.2842-3.1871 mg·l^(-1); TP, 0.0052-0.0576 mg·l^(-1); and SS, 0.85-9.62 mg·l^(-1). The standard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Kore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Law showed the first class except St. 6 through the survey. Six taxa of plank tonic phytoplankton identified were poor flora in November, 2001. The representative species frequently observed were the diatoms Achnanthes lanceolata, Achnanthes minutissima, Cymbella minuta, Cymbella parv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onstruens, Gomphonema pervulum,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palea., Scenedesmus sp. of green algae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Monthly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Achnanthes lanceolata and A. minutissima in both February and March, 2002, but the blue-green algae, Oscillatoria sp. and the diatom, Stephan discus hantzschii were predominant at some stations in March.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9.84 ${\times}$ 10$^3$ to 3.56 ${\times}$ 10$^4$ cell·l$^{-1}$ in November and 1.68-2.99 ${\times}$ 10$^5$ cell·l$^{-1}$ in February, while it changed 4.52-8.01 ${\times}$ 10$^5$ cell·l$^{-1}$ at St. 1, 2, 3 and 1.03-1.71 ${\times}$ 10$^6$ cell·l$^{-1}$ at St. 4, 5, 6 in March. Benthic phytoplankton communities was composed of 38 taxa in November, 31 taxa in February and 23 taxa in March. It showed a contrary tendency to planktonic phytoplankton diversity. Benthic diatoms which were more than 25% of the total populations were Cymbella turgida, Diatoma vulgare, Cocconeis placentula, Navicula cryptocephala var. intermedia in November; Achnanthe lanceolata, Cocconeis placentula, Achnanthes minutissima in February; and Achnanthes lanceolata and Cyclotella meneghiniana in March.

낙동강 중,하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 변화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Mid and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 김용재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29-337
    • /
    • 2004
  •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nducted to the investigation at five stations in mid and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from December 1995 to November 1996.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 total 456taxa which were composed of 136 genera, 427 species, 27 varieties and 2 forma.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ranged from 2.7 to 52.8 (${\times}$10³)cells·ml$^{-1}$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Bacillariophyceae was the dominant classes at all stations. The dominant species were 7taxa and the standing crops of these ranged from 18.3 to 95.1% of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mid parts (st. 1, 2) of this river system were benthic species such as Navicula gregaria, N. viridula var. rostellata and Nitzschia palea, however it was planktonic species (Stephan discus hantzschii, Golenkinia radiata) and meroplanktonic species (Aulacoseira ambigua, A. granulata) in the lower parts (st. 3, 4, 5).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dominant species in the lower parts were appeared to the planktonic species (S. hantzschii) from winter to spring, and were the meroplanktonic species (A. ambigua and A. granulata) in from summer to fall. The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were entropic states because the dominant species were composed A. ambigua, A. granulate and S. hantzschii which were indicators of entropic water qualit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otal standing crops and environmental factors(water temperature, pH, NH$_4$, NO$_2$, NO$_3$ and PO$_4$) were low positive or negative coefficients. S. hantzschii had low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 with water temperature, NH$_4$, NO$_2$, NO$_3$ and PO$_4$. As the result, the variations of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not caused by a single factor but controlled by the complex factors.

15% 과산화수소 함유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평가 (Clinical assessment of whitening efficacy and safety of in-office tooth whitening system containing 15% hydrogen peroxide with or without light activation)

  • 노영석;노영지;유연지;이향옥;임상민;권현정;김예은;박성연;윤희영;이정현;이찬희;오소람;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4호
    • /
    • pp.306-312
    • /
    • 2011
  • 연구목적: 본 임상 연구의 목적은 15%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와 안전성에 관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3명의 지원자를 광조사를 하는 실험군(n = 17)과 광조사를 하지 않는 대조군(n = 16)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Zoom2 미백제(15% $H_2O_2$, Discus Dental)로 총 45분간 치료하였다.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와 Shadepilot (DeguDent)을 이용해 스크리닝 검사 시, 미백직후, 미백 종료 1달 및 3달 후 색조측정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와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Zoom2 미백제는 미백 전후를 비교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뚜렷한 색조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두 군 사이의 색조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또한 미백 종료 3달 후에도 치아의 색조 회귀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후 일시적인 지각과민증은 전체 환자의 39.4%에서 보고되었지만,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 0.05). 결론: 광조사로 인해 부가적인 미백효과의 증가는 물론 어떠한 부작용 증가도 관찰되지 않았다.

신뢰성 기반의 유지보수를 위한 TRMS S/W개발 (Building TRMS S/W based on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안은진;이수길;이기서;김성욱;유등렬;김철환;윤학선;이인현;오세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RAM(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과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틸팅 열차 유지보수 시스템(TRMS; Tilting Rolling-stock Maintenance System)의 S/W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RCM 개념 및 절차에 대하여 소개하고 TRMS S/W가 어떻게 이러한 개념과 절차를 구현하는지에 관하여 논하였다. TRMS는 네 개의 모듈 즉 시스템 및 운영정보 모듈, FMECA 모듈, RAM 정보 모듈, RCM 분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및 운영정보 모듈에서는 RCM 분석의 기초 작업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FMECA 모듈에서는 시스템 및 운영정보 모듈의 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영향 분석을 할 수 있는 워크 스페이스(workspace)를 제공한다. RAM 모듈에서는 Weibull 분포의 신뢰성과 고장률을 산출하기위한 알고리즘이, RCM 분석모듈에서는 작업주기와 작업비용을 계산하기위한 계산식이 제안되었다. 유지보수 관계자들이 RCM의 장점을 충분히 인식한다면 RCM을 다른 전동차 유지보수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Proteolytic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Marine Gastropods)

  • 조득문;변재형;변대석;김장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6-224
    • /
    • 1983
  •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H, 온도, 화학약제, 저온보존 등의 영향을 밝히므로서 그 생리 생태학적 관련 지식을 얻고, 나아가서 그 정제를 위한 몇가지 기본적인 성질을 구명코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군소, 소라, 전복의 소화관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최적조건에서의 활성을 보면, 산성역과 약산성역에서는 전복이 다른 두 복족류에 비하여 2배 혹은 그 이상 높았으며, 알카리성역에서는 군소가 다른 두 복족류이 비하여 6배 혹은 그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2. 화학약제가 효소의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여 보면, 대체로 금속이온중의 $Mn^{2+}$, 실험에 쓴 전 환원제, 킬레이트제중의 EDTA, SH 시약중의 DTT 등에 의하여 활성화하였고 금속이온중의 $Hg^{2+}$ 및 변성제중의 SDS 등에 의하여서는 공통적으로 조해를 받았다. 3. 이들 효소가 보인 활성능의 저온보존에 의한 영향을 보면, $0^{\circ}C$$-20^{\circ}C$에 보관하였을 때, 군소와 소라의 산성과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영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일수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불안정함을 알았다. 그러나, 전복의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는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산성과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저온에서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알긴산 분해 Methylobacterium sp. HJM27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ginate-Degrading Methylobacterium sp. HJM27)

  • 김옥주;이동근;이성목;이석준;도형주;박혜진;김안드레;이재화;하종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50
    • /
    • 2010
  • 본 연구는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세균을 확보하고 선정된 균주의 효소생산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긴산과 NaCl의 농도, 질소원 종류, 온도, pH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조류 섭식 동물인 전복, 소라, 해삼, 멍게, 개불 등에서 유래한 총 5만여 콜로니 중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27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전복 유래의 균주를 선정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 선정된 균주를 Methylobacterium sp. HJM27으로 명명하였고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1.0% sodium alginate, 0.5% peptone, 0.3% yeast extract, 1.5% NaCl, $25^{\circ}C$, 48시간 배양에서 가장 높았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25^{\circ}C$, pH 9에서 최대로 0.8%(w/v) sodium alginate 용액에서 30분만에 1.217 g/L의 환원당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균주와 이 균주의 알긴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해조류를 바이오에너지와 식 의약 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관측부이 개발 및 실시간 관측기술 (Development of Ocean Data Buoy and Real-Time Monitoring Technology)

  • 심재설;이동영;박우선;박광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6-67
    • /
    • 1999
  • 장기간의 해양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종합관측부이를 국산화하여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런 요구에 부응하여 한국과 비슷한 여건의 대만 성공대학과 공동연구를 통해 종합관측부이 제작기술을 도입하여 이를 한국에서 효율적으로 해양 환경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게 발전·개선시켰다. 부이의 크기는 육상 운반과 해상 설치에 편리하도록 직경 2.5m로, NOAA의 3.0m 부이보다 작다. 부이의 동적특성을 수치모델로 해석하였는데, 주기가 4초 이상의 파랑을 관측하는 데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이의 관측 및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여 더 많은 관측센서를 부착할 수 있고, 전원 소모량을 줄이고 또 자료의 분석 및 관리 기능을 높혔다. 이 논문에서는 개선된 종합관측부이의 각 구성부분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종합관측부이는 풍향, 풍속,기온, 습도, 기압 및 파랑 등 기존의 해양 기상 요소에다 수온, 염분, DO, pH 및 탁도 등 해양환경 요소를 첨가하였다. 원해에 설치된 부이로부터 실시간 자료 전송을 위해 Inmarsat 위성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개선 제작된 부이는 포항 앞바다에서 1개월 간의 시범 운영을 통하여 계류, 자료 송신에 대한 성능 실험과 파랑자료를 검증하기 위하여 네덜란드의 Datawell사의 Wave-rider부이와 동시 관측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