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titude Disposi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감성지능, 감사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Method,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임세미;염영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75-8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감성지능, 감사성향,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2021년 11월 09일부터 11월 11일까지 G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학년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감성지능, 감사성향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은 감성지능, 감사성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총 변화량의 68%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성지능, 감사성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감사증진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심리사회적·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Psycho-social and Physical Health of Chronic Schizophrenia)

  • 추현심;김주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58-16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atitude disposition, subjective happiness, stress index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The research was designed for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nine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measured with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 (stress index) and was analyzed by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mogeneity test of a dependent variabl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higher score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atitude dispo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index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can be a good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atitude dispo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감사성향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인성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수업 적용의 효과 분석 (Development & the analysis of application effect of middle school HE text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cultivating gratitude disposition)

  • 김성교;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5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의생활 단원에서 감사 성향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5차시 인성교육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전후에 감사 성향 수준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교수 학습 과정안 5차시 분을 개발하여 가정교육 전문가 3인에게 타당도를 검정 받아 수정 후 완성하였으며, 이후 경북 소재의 모 중학교 2학년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5차시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전후 감사 성향 수준을 조사하였다. 감사 성향 척도는 McCullough 등의 GQ-6를 이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검증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수업 전 학생들의 감사 성향의 평균은 2.87(5점 만점)이었으나, 수업 후 감사 성향 평균은 3.35로 향상되었고,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따라서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가정과의 수업이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 개방형 질문 분석에서도 수업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주변사람과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감사하는 마음을 되새길 수 있는 수업내용 구성이 좋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는 감사 성향 이외의 다른 긍정적 정서와 친사회적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정과 인성교육용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의생활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교수 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감사성향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Happiness in Senior Nursing Students)

  • 전원희;이기령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4-44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improving happiness under the influence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gratitude disposition in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senior students in B and D metropolitan cities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between November 1 and November 30,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for happiness was above-average. Happiness significantly differed by satisfaction with nursing,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and reason for entering nursing school.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included gratitude disposition, social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of nursing among subscales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5.5% of happiness. Conclusion: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as well as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that strengthen social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감사성향, 생활만족도, 정서적 안녕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atitude Training on Grateful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ff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지현;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15-3320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감사 성향, 생활만족도, 정서적 안녕감,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77명(2개 반)을 실험집단(39명)과 통제집단(38명)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달 동안 아침 자율학습 시간에 총 20회의 감사훈련을, 통제집단은 동일한 시간에 아침 학교 프로그램(진로, 발명, 영어동화)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감사훈련은 감사 성향을 향상시켰으며 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켰다. 아울러 감사훈련은 정서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훈련이 성인에서와 같이 청소년에게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예원;이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47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여자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인천지역의 전문여대 신입생들 1785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을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적응 및 학업 지도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남녀노인의 감사성향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생성감과 관계성의 매개효과 (Relation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Ego-Integrity of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Mediating Effects of Generativity and Relatedness)

  • 최명애;안정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81-19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the ego-integrity of elderly men and women, focused on generativity and relatedness toward spouse, children, and friends as well as examined gender differences for each path. The subjects were 341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60 living in the Busan, Daegu, and Gyeongsang area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SW ver. 18.0 and AMOS 20.0 programs; in addition, frequency, Cronbach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lso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elderly's gratitude disposi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go-integrity and generativity as well as on relatedness toward spouse, children, and friends. In addition, the relatedness toward spouse, children, and friends of Korean elderly had direct influences on generativity and indirect influences on ego-integrity by mediating generativity. Second, it showed tha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ed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Korean elderly men's relatedness toward spouse, children, and friends had direct effects on generativity. However, in case of Korean elderly women, only relatedness toward children and friends had effects on generativit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lderly education.

COVID-19 Pandemic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그릿, 감사성향,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 (The impact of grit, gratitude disposition and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최희정;정하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0-7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test a model for the effects of grit, gratitude disposition, and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ronavirus-2019 pandemic.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9 to June 27, 2021. A total of 286 nursing students responded to an online questionnaire. In the hypothesis's model,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grit and gratitude disposition,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nursing students'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and AMOS programs. Results: The final model showed the following indices of goodness of fit: χ2=78.30, χ2/df=3.01, GFI=.95, CFI=.96, TLI=.94, SRMR=.05, and RMSEA=.08.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explained by their grit, gratitude disposition, and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hese three variables explaining 56%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in a state of increased stres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to enhance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정신간호사의 공감능력과 감사성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pathy Ability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 정현순;고성희;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95-405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및 직무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공감능력과 감사성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 G도, J도 및 C도에 위치한 8개의 정신전문병원에서 근무중인 정신간호사 19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10월 8일부터 10월 20일까지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공감능력은 평균 $3.5{\pm}0.28$점, 감사성향은 $4.0{\pm}0.59$점, 직무만족은 $3.3{\pm}0.34$점이었으며, 공감능력과 감사성향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설명력은 18.5%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의 정신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수행을 제언하며, 본 연구결과는 정신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의 영향 요인인 공감능력과 감사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 조금이;박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0-169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정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385명의 간호대학생이었고, 자료는 일반적 특성과 긍정적 정서, 감사 성향, 몰입,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사 성향, 자아존중감, 몰입, 신체적 건강상태, 긍정적 정서 및 경제상태 순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은 주관적 행복감을 49.4%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및 몰입의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해서는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및 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