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 level

검색결과 2,880건 처리시간 0.054초

대구·경북지역 보건소 성교육 담당자의 훈련 및 업무현황과 개선방안 (Training, Working State and Ways of Improving Work of Sex Education Counselors in Health Centers)

  • 염석헌;김창윤;이경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159-175
    • /
    • 2002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보건소의 성교육 상당 담당자들의 구체적인 직무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여 제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성교육 및 상담의 효율적인 수행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상북도의 경우 총 53명을 교육하여 보건소당 평균 2.3명을 교육하였고, 보건소별로는 1명부터 5명까지 배치되어 있었다. 대구광역시의 경우도 10명을 교육하였으나, 보건소별로는 0명부터 3명까지 차이를 보였다. 성교육과 상담교육을 이수한 근무자 중에서 교육이수 후 성상담 업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38명으로 66.7%를 차지하였다. 전체 31개 보건소 중 현재 성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27명이 응답한 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성교육이나 상담시 사용하는 자료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 비디오를 이용한 경우가 25건(92.6%), 책이나 소 책자가 23건(85.2%), 사진을 이용한 경우가 10건(37.0%), 빔프로젝트 8건(29.6%),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우가 7건(25.9%) 순이었다. 성교육과 상담업무 담당자의 업무별 투입시간 비율을 보면, 성교육 외의 업무가 76.2%, 학교현장에서의 성교육 7.6%, 성교육 자료수집 5.7%, 성교육 자료개발 3.5%, 청소년 상담 3.0%순이었다. 성교육과 상담실시 여부를 분석한 결과 27개 보건소 중에서 유치원 학생에 대하여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보건소는 12개로 44.4%, 초등학교는 13개로 48.1%, 중학교는 19개로 70.4%, 고등학교는 14개로 51.9%, 성인 대상의 교육과 상담은 10개 보건소에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37.0%로 나타났다. '99년도 한해 동안 각 보건소에서 실시한 성상담 건수는 평균 301건이었으며, 보건소에서 실시한 현장 성 교육 횟수는 유치원이 13.1회, 초등학교 7.5회, 중학교 4.8회, 고등학교 10.9회, 그리고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횟수가 21.0회였다. '99년 한해 동안 각 보건소에서 실시한 성교육 인원은 유치원이 평균 782명, 초등학교가 235명, 중학교 240명, 고등학교 448명, 그리고 성인 교육이 1,534명으로 나타났다. 성교육 담당자들의 업무에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한 응답 중 '업무량이 과중하다'가 9명(33.3%), '성교육 자료 부족'이 8명(29.6%)으로 가장 많았다. 성교육 담당자의 업무와 관련된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이어야 한다는 지적이 70.4%로 가장 높았고, 교육 자료가 더욱 구체적이고 세분화되어야 한다고 응답이 44.4%, 보건소 성상담요원의 업무량의 감소로 인한 성 상담과 교육에의 전문화와 체계화에 대한 의견이 37.0%, 다음으로는 학교, 교사와 보건소와의 협조 강화가 29.6%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재 보건소의 성교육 상담 인력의 훈련과 배치 및 활용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판단되며, 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사교류 방안의 개선과 지역의 성교육과 상담 수요에 따른 인력 양성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보건소의 성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담당자의 지속적인 교육과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 PDF

지식 공유의 파레토 비율 및 불평등 정도와 가상 지식 협업: 위키피디아 행위 데이터 분석 (Pareto Ratio and Inequality Level of Knowledge Sharing in Virtual Knowledge Collaboration: Analysis of Behaviors on Wikipedia)

  • 박현정;신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3호
    • /
    • pp.19-43
    • /
    • 2014
  •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 의해 일어난다는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은 상위 20%의 핵심 고객에 대한 우선적인 마케팅을 비롯하여 기업 경영의 많은 부분에서 적용되어 왔다. 파레토 법칙과는 대조적으로, 80%의 사소한 다수가 20%의 핵심적인 소수보다 우월한 가치를 창출한다는 롱테일 법칙(Long Tail theory)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주목 받아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 현장에서 양대 흐름을 형성해온 이러한 법칙들이 변화무쌍한 글로벌 가상화 환경에서 기업의 핵심적인 성공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가상 지식 협업에는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가상 지식 협업 커뮤니티인 위키피디아에서 품질 최상위 등급인 피쳐드 아티클(Featured Article) 레벨로 승급된 2,978개의 아티클에 대한 협업 행위를 분석하였다. 즉, 각 아티클 그룹에서 편집 횟수 기준 상위 20%에 속하는 참여자들의 총 편집 횟수가 전체 편집 횟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파레토 비율(Pareto ratio)이 지식 협업 효율성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편집 참여를 통한 지식 공유에 대한 전체적인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 계수(Gini coefficient)의 영향 및 그룹의 작업 특성을 반영하도록 확장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식 공유의 파레토 비율과 지니 계수가 증가하면 지식 협업 효율성도 높아지지만, 이러한 변수들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오히려 지식 협업 효율성이 낮아지는 역 U자(inverted U-shaped)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인지적 노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요구하는 학문적인 특성의 작업에서 더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초등학생의 대사적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metabolic bio-marker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 김현준;김태운;이상엽;신군수;김영주;김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46-951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복합운동이 비만 아동의 에너지 대사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복합운동 프로그램 12주 동안 아디포넥틴과 비만관련 변수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 법 : 일개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중 체질량지수가 85백분위수 이상인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12주 동안 걷기운동과 밴드저항운동을 조합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신장, 체중, 체지방량, 공복 혈당, 인슐린 및 아디포넥틴 측정은 복합운동프로그램 시작 전 및 프로그램 시행 1주, 4주, 12주째에 측정하였다. 인슐린 저항성 및 민감도는 HOMA 지수와 QUICKI 지수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아디포넥틴은 운동 4주 후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운동 12주 후에는 운동 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운동 프로그램이 지속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및 인슐린 저항성은 복합운동 1주, 4주, 12주 후에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체지방률은 복합운동 12주에 운동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량과 인슐린 변화량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아디 포넥틴 변화량과 인슐린 변화량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인슐린저항성은 복합운동 1주 후부터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아디포넥틴은 운동 초기에 감소하다 특정시기 이상의 지속적인 운동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운동이 아디포넥틴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지만, 장기간의 지속적인 운동에 따른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지구의 운동과 태양계 학습 발달과정의 타당성 검증: 구인 타당도 및 결과 타당도를 중심으로 (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for Earth's Motion and Solar System in Elementary grade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and Consequential Validity)

  • 이기영;맹승호;박영신;이정아;오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7-190
    • /
    • 2016
  • 이 연구는 '지구의 운동과 태양계' 학습 발달과정의 타당성을 2가지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구인 타당도로서 학생들이 학습하는 동안에 본 연구의 학습 발달과정에서 설정한 가설적인 발달 경로에 따라 실제로 학생들의 발달이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는 결과 타당도로서 학습 발달과정에 기반한 적응적 교수활동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향상된 학습효과를 산출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강원, 광주 지역 소재 6개 초등학교에서 5학년 학생 373명과 교사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의 태양계와 별 단원에서 지구의 운동과 태양계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적응적 교수활동을 개발하고, 교수활동 사전과 사후에 순위 선다형 문항(13개)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투입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의 수준 변화를 분석한 결과, 약 64%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적응적 교수활동에 의해 가설적으로 설정한 경로를 따라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Rasch 모델로 적용한 분석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였다. 결과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검사를 공변량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 학생들의 수준 향상이 대조군 학생들의 경우에 비해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30.819, p=0.000),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정적(+) 수준 변화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Rasch 모델을 적용하여 결과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학생 능력치 상승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1.632, p=0.001).

산후 유방 마싸지 및 유즙압출이 충유 및 유즙분비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for the Effect of Breast Massage and Manual Expression of the Breast before Engagement after Delivery)

  • 김원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4-91
    • /
    • 1975
  •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reast massage and manual expression of the breast before engagement after delivery with the time of engagement, the throbbing pain in breast, the first amount of breast milk and involution of the uterus. The subjec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138 women (experimental group;69, control group :69) who were admitted to the Dept. of Obtest. and Gyneco. of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5 to June 5, 1975.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women 26.9 years ol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6 years old in the control group. As to religion, the number of those who had no religion was 58.0 percent and 62.4 percent respectively. Classified according to occupation, there were 87.0 percent in house wives of the booths group. Educational background; 87.0 percent of high school graduates or above, 78.3 percent respectively. The occupation of husband 53.7 percent of company employees stood highest and 42.0 percent respectively. In according to the grade of wards, 55.1 percent and 52.2 percent of four-men room stood highest. 2. Physical condition: Body weight before this Pregnancy(T=0.4962, N.S.), the size of breast(X²df2 = 0.1728, N.S.), the shape of nipple(X²df3 =1.3804, N.S.), hemoglobin's level of the first day after delivery(T=1.2572, N.S.), the above were showed non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vestigator found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health condition during the pregnancy, 3. The rate of no experience of breast massage during pregnancy was 85 percent and 75.4 percent (X²df1=2.2562, N.S.). 4. As to the meal during hospitalization after delivery: The booth of the groups in ordinary food took usually of meyer soup and milk(X²df8=2.5957, N.S.). 5. The relation between the first step of breast massage, second step of the manual expression of breast before engagement after delivery and time of engagement : average time of engag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1 days±0.8) was shortened than the control group (3.3 days±1.2). (T=-6.9045, P< 0.005). It toot less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primipara(2.2days±0.7) than in the control group (3.1day±1.2) and it also took less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multipara (2.0 days±0.9) than in the control group (3.5days±1.4). (Primipara T=-3.9266, 0< 0.005. Multipara T= 5.2356, P<0.005).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p of the massage and second step of manual expression and the throbbing pain at the time of eng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ess effect than control group (X²df4= 27.3342 P<0.005). The separate study of primipara and multipara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group of primipara)X²df4=20.7285, p<0.005) and little difference in the multipara group (X²df4=8.8351, p< 0. 10).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p of the breast massage, second stop of the manual expression and first amount of breast milk: The average amount of breast milk increased more conspicuously in the experimental group (33.8㎖±23.4) than in the control(29.8㎖±25.3) (T=0.8262, N.S.).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spective groups that investigated in the groups of primipara and of multipara. (Primipara T=1.1467, N.S., Multipara T=-0.0354, N.S.). 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p of breast massage and second step of manual expression of breast and involution of uterus : Average time needed for uttering involution was soo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primipasa(-3.3 F.B.±1.1), than the control group of primipara (-2.5F. B.±1.2), and it was soo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muitipara (-3.0 F. B.±l..3), than the control group of multipara(-2.3 F.B±0.9). Primipara T=-2.9272, p< 0.005, Multipara T=2.5557, p< 0.01).

  • PDF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에 관한 인식과 성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Sex and Sex Education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 김화자;남선영;정연강;박경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3-243
    • /
    • 1995
  • A survey has conducted on two hundre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by way of questionnaine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information from the survey is to cstimate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obe how they feel and what they wish on sex. X2 inspection is designed to assess general aspects of responded contents by way of percentage and examine degree of satisfaction on previously experienced sex education and demand for sex educ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degree of awareness on sex of respondents, 62% delines sex as human relationship including moral values for harmony between men and women. 64% of the men and 70% of the women say that sex is a natural thing.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most of the respondent sgenerally consider sex positive. On chastity, 68.5% of the respondent answer that it means physical chastity, 12.5% that chastity before marriage should be kept, and 43% that it should be kept as far as possible. Most of them pespond that it should be kept. 2.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n the contents of sex, they answer they know well in the order of masturbation(72%), pregnancy(76%), and sex(63%). Contraception, abortion and ejection are contents they poorly informed of. 3.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n experienede of sex education, 83% of men and 100% of women have experienced sex, education, but their degreeof satisfaction to it is very low. And 49% of the whole is dissatisfactory to it.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p=0.000) That result translates that female studeuts are educated on sex tjhrough more systematic subjects than male ones. In addition, it turns out that teenagers get most information on sex through friends, seniors, and mass media such as videos, TV and radios. Correct and systematic sex education is need because wrong information on sex culd be taught and bring them to misbehave. 4. 87.5% of the respondents answer that sex education is necessary, so that degree of necessity for sex education, turns out to be very high. Also the main subject that should perform sex education is in the order of school(50%), Society(24.5), home(18.5%). They respond that most appropriated period for the beginning of sex education is about elementary school age(43%), and 34% believes it to be put ahcad of elementary school age. Anurse teacher accounts for 54% for the main subject that addresses sex education, to male students visit teachers are most favored for 50%. As a result of thos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st high school students want sex education from responsible persons who ha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on sex. 5. In order to perform proper sex education by the above results, better educational effects are obtained when characteristics and natures of teenagers are known and most wanted knowledge by them is taught in priority in times of planning sex education. Besides,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suitable for each school should be planned before elementary school age and sex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students' demand. In addition, sex education should be attentively performed by home, all organizations of society as well as school. Therefore, sex education will play a great role in making teenagers reestablish their conception on sex when the traditional and moral value systems of our country and the new value systems which are being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culture are in harmony.

  • PDF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환경과 교육과정 비교 (Comparison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윤진아;남윤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5-175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의 주제로 다루어지는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환경교육의 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연계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환경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그 변천에 대한 문헌연구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핵심역량과 교육목표를 비교하고, 과학과 및 환경과의 공통 소양 요소인 지식, 태도, 탐구, 그리고 참여와 실천의 4가지 범주를 도출하여 분석틀을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내용체계를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목표에서 환경교과는 총론기반의 지속가능한 사회참여를, 과학교과는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소양이 강조되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내용체계에서는 환경교과가 학습자의 관점을 중시한다면 과학교과는 과학탐구자로의 자세를 강조하였으며, 내용지식의 체계를 중요시하는 과학교과에 비해, 환경교과는 학년간 경계가 거의 없이 과학개념이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과간 내용 지식 연계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환경교과가 참여와 실천에 목적을 둔다면 과학교과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개발과 개선, 과학적 흥미와 의사결정능력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고 있어 체계적인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해 과학과 및 환경과 교육과정이 상호보완 될 필요가 있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탐구활동의 주제를 더욱 다양하고 통합적인 주제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탐구 중심의 통합 교과서에서 보다 과학적 문제해결과 평생학습과 참여 역량을 강조하는 교과서로 바꿀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해 과학과 및 환경과 교육과정의 상호보완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과학교육이 환경교육의 버거운 역할을 분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비육돈에 있어 황기, 인삼, 양파 혼합물의 급여가 성장 밑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stragalus membranaceus, Ginseng and Onion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홍종욱;김인호;김지훈;권오석;이상환;서완수;김철;김을상;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9-15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의 급여가 비육돈의 성장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Durox$\times$Yorkshire$\times$Landrace) 비육돈 72두을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체중은 75.66$\pm$1.86 kg 이었다.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식이에 NRC(12)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구(Control: 기초식이), 대조구 식이내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을 0.25% 첨가한 구(AGO 0.25: 기초식이+0.25%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 대조구 식이내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을 0.50% 첨가한 구(AGO 0.50: 기초식이 + 0.50%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6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본 사양시험에 사용한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은 인삼, 황기 그리고 양파 분말을 함유한 것을 사용하였다. 전체 시험기간 동안,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식이효율 및 등지방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도체등급에 있어서는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A등급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linear effect, p<0.01). 대조구 및 AGO 0.50 처리구와 비교하여 AGO 0.25 처리구가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 및 LDL+V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도축한 돈육의 등심부의 육색에 있어서 L-$^{*}$ , a-$^{*}$ , b-$^{*}$ 값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 급여에 따른 증체량 개선 효과로 인해 증체당 식이비는 대조구가 830원, AGO 0.50 처리구가 813원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2.05%의 식이비 절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비육돈 식이내 생약제 및 양파 혼합물의 첨가가 성장 촉진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나 도체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 과학과 포트폴리오의 채점기준 개발과 신뢰도 검증 (Developing Scoring Rubric and the Reliability of Elementary Science Portfolio Assessment)

  • 김찬종;최미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6-18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과 포트폴리오를 채점할 수 있는 다양한 채점기준을 개발하고, 개발된 각 채점기준의 신뢰도를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채점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포트폴리오는 4학년 2학기 '단원 2. 지층과 화석', '단원 4. 열과 물체의 변화' 를 중심으로 청주교대 과학교육 연구실에서 2000년 여름에 개발한 체제를 같은 해 가을, 경기도 중도시의 한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에 적용하여 얻은 것이다. 총괄-일반, 총괄-특수, 분석-일반, 분석-특수의 4가지 채점기준을 개발하고, 각 채점기준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작성한 포트폴리오 증거물을 채점하여 각 채점 기준별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를 구하였다. 1차 채점에서는 총 12명의 채점자들이 각 채점기준별로 3명씩 그룹을 나누어 그룹당 12권의 포트폴리오 증거물을 채점하였다. 단, 분석-특수 채점기준의 경우 6권의 포트폴리오 증거물만을 채점하였다. 채점자내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채점시기별 신뢰도에서는 l차 채점에 참가한 채점자 중 각 채점기준별로 2명씩 총 8명이 2차 채점에 참가하여 l차 채점과 동일한 방식으로 채점을 실시하였다. 채점결과를 SPSS 통계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총괄-일반 채점기준은 채점자간 신뢰도가 높고 채점자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괄-특수 채점기준은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일반 채점기준은 채정자간 신뢰도가 높고 채점자내 신뢰도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특수 채점기준은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채점기준들(총괄-일반, 분석-일반)의 경우, 하나의 채점 기준으로 모든 포트폴리오 목표를 채점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나, 채점자들은 채점시 모호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반면에, 특수적인 채점기준들(총괄-특수, 분석-특수)의 경우, 채점은 더 명확하게 할 수 있으나, 목표별로 채점기준을 개발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채점기준의 실용도 측면에서는 분석-특수 채점기준이 다른 기준보다 2배 이상의 시간이 결려 실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학습 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Effect of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 for Underachievers in Middle School Science)

  • 이경희;한미정;김민정;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1-43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부진 원인에 따라 맞춤형 지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부진의 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학습 부진아 22명을 과학 탐구능력 부족형,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동일 단원과 주제로 구성했으며, 비교집단에는 기본 개념과 활동 중심 프로그램, 실험집단에는 원인 유형별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15주 동안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검사,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였으며, 이들 평가 결과와 함께 학생활동지, 연구일지, 수업 전사내용, 학생 면담 등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에 투입된 맞춤형 프로그램은 세 가지 부진유형 집단별로 탐구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각각 향상되어 부진원인을 해소하였고, 더불어 학업성취도도 향상되었다.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과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은 다른 부진 원인도 함께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과학 학습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과학 학습부진 원인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과학학습 부진아들의 부진원인 해소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