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ning, Working State and Ways of Improving Work of Sex Education Counselors in Health Centers

대구·경북지역 보건소 성교육 담당자의 훈련 및 업무현황과 개선방안

  • Yeom, Seok-H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염석헌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i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problems by analyzing training and work of sex education counselors and to come up with ways of improving sex education counseling. A survey was performed in 57 subjects at health centers who finished training on sex education counseling in Taegu Metropolitan City and cities, kuns, and gus of Kyongsangbuk Province from December, 1999 to February, 2000 on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relating to the work of sex education, and ways of improving 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Out of the sex education counselors, there were 55 females, taking 99% out of the total counselors, and the average age of these counselors was 42 years. There were 26 nurses, and their government grade was level 7 in 36 and level 6 in 14. The members who had finished sex education counseling at each public health center was 2.1 counselors at an average. Among those had finished sex education training, 30 was not in sex counseling. When analyzed the answers given by 27 sex counselors who were counseling at the tim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amount of work, 15 answered to have too much work and 1 little; as for having pride on being a sex education counselor, 18 answered to felt pride and 7 so-so; as for materials for sex education and counseling, 25 answered to use videos, 23 books, 10 pictures, 8 beam projectors, and 7 slides. All of the subjects answered to have other responsibilities besides sex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satisfaction felt on having other responsibilities was 6 satisfied, 12 average, and 2 dissatisfied. The proportion of work load in sex education counselors was other work besides sex education 76.2%, sex education at schools 7.6%. collecting sex education materials 5.7%, counseling of adolescents 4.9%.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materials 3.5%, and administrative work related to sex education 3.1%. The biggest problem of their work was over-load in 9 respondents, lack of sex education materials in 8, lack of training in 6, and shortage of professionals in 2. As for the answer on the ways of improving matters related to work of sex education counselors,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that the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sex education needs to be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followed by dividing the work load so that they could concentrate on developing education materials and sex education and counseling.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in order to utilize human resources efficiently, the speciality of counselors needs to be considered when making personnel transfers among health centers, and continued activity as a sex education counselor needs to promoted by reducing other overloading tasks. And systematic re-training of the counselors needs to be done, and education manuals that are diverse and realistic to applicable to the children, who are to be the subjects of sex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보건소의 성교육 상당 담당자들의 구체적인 직무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여 제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성교육 및 상담의 효율적인 수행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상북도의 경우 총 53명을 교육하여 보건소당 평균 2.3명을 교육하였고, 보건소별로는 1명부터 5명까지 배치되어 있었다. 대구광역시의 경우도 10명을 교육하였으나, 보건소별로는 0명부터 3명까지 차이를 보였다. 성교육과 상담교육을 이수한 근무자 중에서 교육이수 후 성상담 업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38명으로 66.7%를 차지하였다. 전체 31개 보건소 중 현재 성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27명이 응답한 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성교육이나 상담시 사용하는 자료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 비디오를 이용한 경우가 25건(92.6%), 책이나 소 책자가 23건(85.2%), 사진을 이용한 경우가 10건(37.0%), 빔프로젝트 8건(29.6%),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우가 7건(25.9%) 순이었다. 성교육과 상담업무 담당자의 업무별 투입시간 비율을 보면, 성교육 외의 업무가 76.2%, 학교현장에서의 성교육 7.6%, 성교육 자료수집 5.7%, 성교육 자료개발 3.5%, 청소년 상담 3.0%순이었다. 성교육과 상담실시 여부를 분석한 결과 27개 보건소 중에서 유치원 학생에 대하여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보건소는 12개로 44.4%, 초등학교는 13개로 48.1%, 중학교는 19개로 70.4%, 고등학교는 14개로 51.9%, 성인 대상의 교육과 상담은 10개 보건소에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37.0%로 나타났다. '99년도 한해 동안 각 보건소에서 실시한 성상담 건수는 평균 301건이었으며, 보건소에서 실시한 현장 성 교육 횟수는 유치원이 13.1회, 초등학교 7.5회, 중학교 4.8회, 고등학교 10.9회, 그리고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횟수가 21.0회였다. '99년 한해 동안 각 보건소에서 실시한 성교육 인원은 유치원이 평균 782명, 초등학교가 235명, 중학교 240명, 고등학교 448명, 그리고 성인 교육이 1,534명으로 나타났다. 성교육 담당자들의 업무에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한 응답 중 '업무량이 과중하다'가 9명(33.3%), '성교육 자료 부족'이 8명(29.6%)으로 가장 많았다. 성교육 담당자의 업무와 관련된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이어야 한다는 지적이 70.4%로 가장 높았고, 교육 자료가 더욱 구체적이고 세분화되어야 한다고 응답이 44.4%, 보건소 성상담요원의 업무량의 감소로 인한 성 상담과 교육에의 전문화와 체계화에 대한 의견이 37.0%, 다음으로는 학교, 교사와 보건소와의 협조 강화가 29.6%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재 보건소의 성교육 상담 인력의 훈련과 배치 및 활용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판단되며, 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사교류 방안의 개선과 지역의 성교육과 상담 수요에 따른 인력 양성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보건소의 성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담당자의 지속적인 교육과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