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mathematics teaching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8초

무한 개념의 지도방안과 활용 예제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struction of the Infinity Concept with suitable examples - focused on Curriculum of Middle School -)

  • 강미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4호
    • /
    • pp.447-46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on the concept of infinity for students to obtain the right concept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Many people have thought that infinity is something vouge and unapproachable. But, nowadays it is rather something with a precise definition that lies at the core of modern mathematics. To understand mathematics and science very well,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infinity. But students tend to figure out the properties of infinite objects and limit concepts only through their experience closely related to finite process, and so they are apt to have their spontaneous intuition and misconception about it. Since most of them have cognitive obstacles in studying the infinite concepts and misconception, mathematics teachers need to help them overcome the obstacles and establish the right secondary intuition for the concepts through good examples and appropriate explanation.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concept of infinity in human history and give some comments and suggestions in teaching methods relative to that concept with new suitable examples.

  • PDF

서술형 평가를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과 기본 지식 이해에 관한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s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Essay Test)

  • 박금란;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2호
    • /
    • pp.181-19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s for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an essay test and provide instructional suggestions for teachers. A total of 132 students from 6 classes in 3 elementary schools were tes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 answers and types of incorrect answer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poor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u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out six content area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despite their good performance on mathematical skills. This study included implications to teaching and learning for each of the content areas.

  • PDF

교육공학 관련 교직과목과 교과교육 과목의 연계를 위한 도구 (On the design of instruments for integrating general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 조한혁;송민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843-864
    • /
    • 2010
  • 사범대학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과 수학교육 과목인 수학교육과 교육공학(또는 컴퓨터와 수학교육)을 연계시켜 강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현실적으로 예비교사들이 임용고사와 관련된 교직과목의 내용을 필수적으로 들어야하기에, 우리는 교육공학 관련 교직과목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과 교육공학을 실습으로 접목시키는 연계방안을 실시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연계 교육과 실습을 위해 먼저 웹 2.0 기반 교육공학 이론과 수학사 기반 수학실험을 위한 마이크로월드 수학실험실을 설계하였다. 또한 인터넷에 구축된 수학실험실을 기반으로 교육공학 관련 교직과목 이론과 수학교육공학 관련 교과교육 내용의 실습을 진행하며 두 과목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전략 지도 방안 (Teach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 남승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86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해결 전략과 각 전략별 문제의 유형을 살펴보고, 전략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략의 지도 계열은 사용하기 쉬운 전략부터 사용하기 어려운 전략의 차례로, 또 전략 습득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은 것부터 많은 것의 차례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략의 습득 지도를 위한 문제는 그 전략의 간편함과 우수함을 알 수 있어야 하고 기존의 지식과 기능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략의 응용 및 심화ㆍ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동일한 문제를 여러 가지 전략을 이용하여 해결한 후 각 전략의 특성을 분석ㆍ비교해 보는 기회가 필요하며, 좀 더 복잡한 문제 장면으로 확대ㆍ적용해 보는 기회가 필요하다.

  • PDF

수학과 개정교육과정의 그래프와 일차변환 단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raph and Linear Transformation in the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 황석근;윤정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3-100
    • /
    • 2010
  • 본 연구는 2006년 8월에 고시된 수학과 개정교육과정의 그래프와 일차변환의 내용이 학교 현장에서 지도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7차교육과정 이후의 두단원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수학I', '수학의 활용' 그리고 '기하와 벡터' 과목의 검인정 교과서 및 익힘책 전부(27종 전 54권)에 대하여 두 단원의 학습내용을 비교하여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두 단원에 대한 교사의 교육과정 이해도 제고와 교육과정 내용의 올바른 적용 적용 방안을 제언한다.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에서의 학습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set up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61-75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수학수업에서 활용한 과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G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2개반 학생들 중 4주간의 교육실습에서 수학수업을 배정받아 수업을 한 학생들 중 자신의 수업동영상, 수업계획서, 동영상 전사자료를 제출한 50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가 수학수업시간에 활용한 과제의 출처, 과제의 수정여부, 수정방법,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을 분석하였다.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활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ctivity with writing of note for learning of underachievers on mathematics class)

  • 이화연;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77-28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아의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개별적인 노트쓰기 지도의 효과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를 탐구해 보는 것이다. 충남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을 대상 중 학습부진아를 선택하여 연구하였고, 특별한 학생에게 맞춤으로 새롭게 구성한 수학노트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매 수업시간이나 그 이후의 시간을 이용하여 스스로 노트를 정리하게 하였고, 일정기간마다 노트를 제출하여 교사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학생의 개별화 지도를 위하여 개인적으로 수학노트 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수학학습부진아들의 학습 태도와 흥미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 실행 -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 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 (Performing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for a Profess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ought experiment activities by Socratic method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37-5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을 점검하고, 이를 반영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사 연수는 2014년 7월 수학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과정에 참가한 중등 수학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수 과정에서 교사들은 산파법을 적용한 수학 학습 지도 과정을 구상하고, 이를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 양식으로 기록하는 사고 실험 실습을 하였다. 사고 실험 실습 과정은 좋은 수학수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과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수를 통해 교사 교육자와 동료 교사들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의 배움이 확장되고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습 공동체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 PDF

제 7-단계 수학에서 양.음수의 지도에 관한 연구 (On Teaching of Positive Numbers and Negative Numbers in the 7-th Grade Mathematics)

  • 김흥기;김응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1-25
    • /
    • 2006
  • 양수와 음수의 취급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제 7-단계 교과서들을 살펴본 결과 양의 부호, 음의 부호가 붙은 수를 읽는 방법과 유리수에 대한 일부 교과서의 정의는 재고해야 하며, 반대의 수 곧 반수를 정의하여 활용하는 것과 양수와 음수의 도입은 대소 관계를 다루는 곳에서 그 정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연산에서는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가 붙은 수에 대한 가시적인 표현을 충분히 익히게 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연산 도입을 구체적이고 가시적으로 처리한 것과 같이 양수, 음수의 연산에도 그 방법을 연계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화살표(유향선분)를 사용하여 양수 음수를 가시적으로 도입한 후에 이들을 사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계산 방법을 양수 음수까지 확장된 수에까지 그대로 적용한 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한 학습 내용으로 지도를 하여본 결과 이와 같이 연계된 학습내용이 보다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