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erol

검색결과 1,261건 처리시간 0.027초

Conformational Preferences of Glycerol in the Gas Phase and in Water

  • Jeong, Keun-Hong;Byun, Byung-Jin;Kang, Young-K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3호
    • /
    • pp.917-924
    • /
    • 2012
  • The conformational study of glycerol has been carried out using the M06-2X/cc-pVTZ level of theory in the gas phase and the SMD M06-2X/cc-pVTZ level of theory in water in order to understand its conformational preferences and solvation effects. Most of the preferred conformers of glycerol have two $C_5$ hydrogen bonds in the gas phase, as found by the analysis of calorimetric data. It has been known that the solvation drove the hydrogen bonds of glycerol to be weaker and its potential surface to be fatter and that glycerol exists as an ensemble of many feasible local minima in water. The calculated populations of glycerol in the gas phase and in water are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values, which are better than the previously calculated ones at the G2(MP2), CBS-QB3, and SM5.42 HF/6-31G(d) levels of theory.

글리세롤 유도체의 최근 연구 동향 (Recent Studies on New Value-added Glycerol Derivatives)

  • 박승규;랑문정
    • 공업화학
    • /
    • 제20권4호
    • /
    • pp.363-369
    • /
    • 2009
  • 오일 가격의 폭등에 따른 바이오디젤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글리세롤 부산물의 공급과잉이 유발되었다. 원래 글리세롤은 석유화학,페인트,담배, 생활용품 및 화장품 분야에 원료자체로써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글리세롤을 값싼 원료로 사용하여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는 응용 연구를 통해 고부가가치의 유도체 물질로 상용화되는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글리세롤을 원료로 사용하여 새로운 고부가 글리세롤 유도체로 개발한 연구동향을 검토해 보았다.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Glycerol과 EthyleneGlycol이 동결 융해 후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on Post-Thawed Sperm Function in Jeju Horse)

  • 오신애;고민희;고문석;이종언;박용상;강태영;고재형;조원모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99-2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 육성 및 산업화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제주마 동결정액의 제조시 동결보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동결 시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그리고 8%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첨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에 있어 실험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 glycerol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 ($39.85%{\pm}11.41$)을 나타냈으나, 5% glycerol 처리구 ($18.08%{\pm}1.61$)와의 비교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정자막 온전성에 있어서도 8% glycerol 처리구만이 $34.13%{\pm}11.02$로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에 있어 8%의 ethylene glycol을 처리시 5% glycerol과 5%의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 글리세롤과 돈분의 혼합 소화 (Co-digestion of Waste Glycerol with Swine Manure)

  • 김상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2호
    • /
    • pp.71-75
    • /
    • 2010
  • 바이오디젤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리세롤의 양은 가까운 시일 안에 글리세롤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세롤의 유효 이용 및 처리 측면에서 돈분과의 혼합 소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글리세롤이 13.8 g/L로 투입된 경우 돈분 단독 소화에 비해 메탄 생성량과 속도가 각각 90%, 120% 향상되어 혼합 기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글리세롤로부터 메탄의 수율은 232 mL/g였다. 그러나 27.5 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해작용으로 인해 메탄 생성 속도가 감소되었다. 돈분과의 혼합 소화 시 글리세롤의 최적 주입 농도는 13.8 g/L부근인 것으로 사료된다.

Pichia pastoris 유가식 배양을 이용한 재조합 HBsAg 생산에서 sorbitol이 미치는 영향

  • 이경훈;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47-25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된 P. pastoris를 이용한 재조합 HBsAg 생산에서 유가식 배양시 공급배치 탄소원으로 sorbitol이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glycerol과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유가식 배양 공급배지 탄소원으로 50% sorbitol을 이용했을 때 50% glycerol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세포 증식 측면에서는 methanal 유도 후 균체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것은 glycerol 이 sorbitol 보다 에너지원으로써 높은 affinity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단위 건조 균체량당 단백질 발현량은 50% sorbitol을 공급 한 경우 50% glycerol을 공급한 경우 보다 12%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가식 배양용 공급 탄소원으로 sorbitol을 이용했을 때 glycerol을 이용하는 것보다 AOX promoter에 의한 단백질 발현에 보다 긍적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이원계 금속산화물 촉매가 글리세롤카보네이트 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inary metal oxide catalysts for the synthesis of glycerol carbonate)

  • 백재호;문명준;이만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56-4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글리세롤과 우레아를 이용하여 글리세롤카보네이트를 합성하는 반응을 진행하였다. ZnO와 Zn-Al 이원계 금속 산화물 촉매를 제조하고, 제조되어진 촉매를 사용하여 글리세롤의 전환율과 글리세롤카보네이트의 수율을 확인하였고, Al의 첨가에 따른 촉매 특성의 분석과 글리세롤카보네이트 합성반응에서의 역할에 대해 확인하였다. 글리세롤카보네이트 합성 반응에서 ZnO를 단독으로 촉매를 사용한 경우보다 Zn-Al 혼합 산화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하였을 때, 부반응이 억제되어 전환율 및 수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ynthesis of Acetins from Glycerol using Lipase from Wheat Extract

  • Pradima, J;Rajeswari, M Kulkarni;Archna, Narula;Sravanthi, V;Rakshith, R;Nawal, Rabia Nizar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01-506
    • /
    • 2019
  • New technology-driven biocatalysts are revolutionizing the biochemical industries. With maximum utilization of renewable feedstock, biocatalysts have been the basis for a major breakthrough. Lipases are the most widely established catalysts used for hydrolysis, esterification and transesterification reactions. In this research, a biochemical process that combines extraction of lipase enzyme from germinated wheat seeds and its application to valorize glycerol to acetins by esterification is presented. Acetins are among highly rated, value-added products derived from glycerol.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enzymatic conversion of glycerol were observed as glycerol to acetic acid molar ratio (1:5), reaction temperature ($40^{\circ}C$) and the amount of enzyme (20% v/v). 65.93% of glycerol conversion was achieved for duration of 15 h with the use of tert-butanol solvent. This method proposes to explore the viability of a biological route to convert glycerol derived from biodiesel industry to acetins with further streamlining.

Enterobacter aerogenes를 이용한 crude glycerol 기반의 바이오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Based on Crude Glycerol Using Enterobacter aerogenes)

  • 정홍섭;성필제;고아라;이상준;김승욱;한성옥;조재훈;조대행;김용환;박철환
    • KSBB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23-228
    • /
    • 2011
  • The effects of pH, glycerol concentration and salt on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using Enterobacter aerogenes KCTC 2190 were evaluated in the anaerobic culture condition. In condition of initial pH 5,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were highest. An initial concentration of 10 g/L of pure glycerol gave the highest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However, in case of over 15 g/L of pure glycerol, they decreased. The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alt concentration. When 10 g/L of crude glycerol was used as the carbon source, the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were $1.32\;OD_{600}$ and 3.95 g/L,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94.4% and 88.5% compared to those of pure glycerol.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crude glycerol produced in the biodiesel manufacturing process maybe useful as a potential carbon source for ethanol production form Enterobacter aerogenes KCTC 2190.

Glycerol Kinase 결핍증 (Isolated Glycerol Kinase Deficiency)

  • 최중완;이예승;배은주;오필수;박원일;이홍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61
    • /
    • 2013
  • Glycerol kinase 결핍증(GKD)은 X-linked 열성유전되는 질환으로 생화학적으로 혈중 glycerol이 상승되고 소변으로 glycerol이 분비되는 질환이다. GK 유전자는 X chromosome 단완의 21.3 region에 위치하며, AHC gene과 DMD gene 사이에 직렬로 위치하고 있다. 만약 이부위에 긴 부분의 결손이 발생하면 이들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며, 이를 contiguous gene deletion syndrome이라고 부른다. 국내에서는 이 세 질환이 동시에 나타나는 contiguous gene deletion syndrome은 보고된 바 있으나 GK 결핍증만 단독으로 있었던 경우는 보고가 없었다. 저자들은 장염후의 고이화상태에서 저혈당과 의식의 혼탁으로 발현된 단독 GK 결손증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