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cini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22초

투여 방법에 따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혈중 농도 변화와 항산화 효과 변화 (Effect of Administration Method on Blood Garcinia cambogia Concentr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 박은정;김상호;김경수;오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56-860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Ca^{2+}/K^+$가 결합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HCA 63%)을 이용하여 투여방법에 따른 혈중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농도 변화와 이에 따른 혈중 항산화 효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정상군(G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2,800 mg/kg b.w.를 단회 투여한 군(G2)과 6시간 간격으로 750, 850, 1,200 mg/kg b.w의 농도로 높여가면서 3회 투여한 군(G3)으로 분리를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단회 고농도 투여한 경우에는 10시간 이후에 혈중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가 분석되지 않은 반면, 3회로 나누어 투여한 경우에는 18시간 후에도 일정 농도 이상으로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6시간 간격으로 3회 투여한 그룹의 동물에서 과산화지질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변화는 없었으나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단회로 고용량 투여한 경우보다 3회로 저용량 투여한 경우에 혈중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일정 농도 이상으로 유지 시켰으며 부분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Molecular Diversity of Fungal Endophytes Isolated from Garcinia mangostana and Garcinia parvifolia

  • Sim, Jiun-Horng;Khoo, Chai-Hoon;Lee, Learn-Han;Cheah, Yoke-Kque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651-658
    • /
    • 2010
  • Garcinia is commonly found in Malaysia, but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this plant. In this study, 24 endophytic fungi were successfully recovered from different parts of two Garcinia species. Characterization of endophytic fungi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nserve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 analysis and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Results revealed that fruits of the plant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habitation site (38%) as compared with others. Glomerella sp., Guignardia sp., and Phomopsis sp. appeared to be the predominant endophytic fungi group in Garcinia mangostana and Garcinia parvifolia.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isolated endophytic fungi were estimated from the sequences of the ITS region. On the other hand, antibacterial screening showed 11 of the isolates possessed positive response towards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bacteria. However, there was no direct association between certain antibacterial properties with the specific genus observed.

딜레니아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세포독성안전성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Effects of Dillenia Extracts)

  • 정지윤;이은지;강다솔;임수향;오현지;전수영;신혜리;김준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96
    • /
    • 2022
  • Dillenia turbinata Finet & Gagnep. has been known to be used for couch cold, Clerodendrum japonicum (Thunb.) Sweet for pimple, Garcinia tinctoria (DC.) Dunn for oedema. and Garcinia cowa Roxb. for detoxification for a long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se plants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we performed nitric oxide (NO) assay. Raw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LPS and treated with methanol extracts of these plants. Garcinia cowa Roxb. did not relatively show anti-inflammatory effect, compared to Redcharm extract control as previously used. However, Dillenia, Clerodendrum and Garcinia tinctoria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anti-inflammatory effects in NO assay. We then tested whether these extracts have cytotoxic effect with MTT assay in Raw264.7 cells. Dillenia, Clerodendrum, Garcinia tinctoria and Garcinia cowa Roxb. showed almost similar cell survival rate. This implies that all these plants have almost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llenia, Clerodendrum, and Garcinia tinctoria, but not Garcinia cowa Roxb. are a good anti-inflammatory agent to be developed for medical applications.

  • PDF

Parvidepsidone, a Novel Depsidone from the Barks of Garcinia parvifolia Miq.

  • Hartati, Sri;Megawati, Megawati;Antika, Lucia Dw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13-17
    • /
    • 2022
  • Garcinia parvifolia Miq., belongs to Garcinia genus and Clusiaceae family, is one of the well-known species from Garcinia genus which widely foun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countries, and has been reported to contain natural bioactive compounds. A novel depsidone, parvidepsidone (2), was isolated from the barks of G. parvifolia along with two known compounds: stigmasterol (1) and rubraxhantone (3). Based on information of LC-MS, 1D and 2D NMR spectra, the structure of parvidepsidone (2) was fully assigne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Xanthones from Mesua daphnifolia and Garcinia nitida towards Human Estrogen Receptor Nagative Breast Cancer Cell Line

  • Ee, G.C.L.;Lim, C.K.;Rahmat, 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220-224
    • /
    • 2005
  • Extensive chemical studies on the stem bark extracts of two Guttifereous plants namely Mesua daphnifolia and Garcinia nitida have led to the isolation of eight xanthones. Mesua daphnifolia gave cudraxanthone G (1), ananixanthone (2), 1,3,5-trihydroxy-4-methoxyxanthone (3) and euxanthone (4) while Garcinia nitida gave inophyllin B (5), 1,3,7-trihydroxy-2,4-bis (3-methylbut-2-enyl)xanthone (6), 3-isomangostin (7) and rubraxanthone (8). All these compounds were assayed against the MDA-MB-231 (human estrogen receptor negative breast cancer) cells. A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y showed that structurally, all the 1, 3-oxygenated xanthones which carried unsaturated prenyl side chains (either 3-methylbut-2-enyl or 1,1-dimethyl-2-propenyl) at carbones C-2 and C-4 in the xanthone ring A are essential for the outstanding activities in the assa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Endoseal TCS mixed with water-soluble mangostin derivatives of Garcinia mangostana L. ethanol extract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 Park, Tae-Young;Lim, Yun Kyong;Kim, Jin-Hee;Lee, Dae Sung;Kook, Joong-Ki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6권1호
    • /
    • pp.45-50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ndoseal TCS, an mineral trioxide aggregate-based root canal sealer, mixed with water-soluble mangostin derivatives (WsMD) of Garcinia mangostana L. (mangosteen) ethanol extract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ndoseal TCS mixed with WsMD against three strains of E. faecalis and three strains of S. aureus was performed using agar diffusion test. The data showed that Endoseal TCS mixed with 0.115% WsMD had a zone of inhibition of 0.7 ± 0.2-2.4 ± 0.1 mm. The results suggest that Endoseal TCS mixed with WsMD of Garcinia mangostana L. ethanol extract is useful as a root canal sealer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faecalis and S. aureus.

4가지 물질 처리에 대한 목이버섯의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연구 (Mycelial growth and density of Auricularia auricula by treatments of four kinds of substances)

  • 장현유;김성규;박순애;임수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22-127
    • /
    • 2006
  • 4가지 물질의 분말을 10배액, 100배액, 500배액, 1000배액, 1500배액, 2000배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목이버섯 균사생장과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nna은 대조구에 비하여 10배액, 100배액, 500배액, 1000배액, 1500배액 2000배액의 6가지 처리 모두가 균사생장과 밀도가 좋았으며 그중 100배액이 가장 좋았다. L-citrulline 분말은 처리농도 500배액이 대조구에 비해 같은 기간 내에 7.86mm/15일이 더 빨리 자랐으며 균사밀도도 좋아 최적 희석배수를 나타내었다. L-carnitine 분말은 100배액은 대조구에 비해 균사생장이 3.4 mm/15일로 촉진되었으며 균사밀도도 촉진되었다. Garcinia cambogia 분말은 대조구에 비해 6가지 희석배수 모두 균사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배액의 가장 진한 희석배수에서 가장 균사생장이 억제되었고 1000배액은 거의 대 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L-citrulline, L-carnitine, Senna, Garcinia cambogia 순으로 균사생장과 균사밀도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다.

  • PDF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Hydroxy Citric Acid) 첨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발효특성 및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Added to Garcinia Cambogia Extracts (Hydroxy Citric Acid))

  • 양유진;안인숙;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76-783
    • /
    • 2005
  • 본 연구는 미국인 선호 김 치 에 다이어트 기능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HCA가 51.46$\%$ 함유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각각 $0.5\%,\;1.0\%,\;1.5\%,\;2.0\%$ 첨가하여 제조한 후 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관능성, 그리고 글리세롤과 렙틴 분비 등을 통해 항비만성 을 조사하였다. 김치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담금 초기에는 pH는 낮고 산도는 높았으나 적숙기 이후에는 실험군간의 pH와 산도 값이 유사하게 나타남으로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한 군의 발효속도가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느림을 알 수 있었다. Lactobacillus sp.와 Leuconostoc sp.등의 젖산균 수 역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수는 적은 반면에 젖산균의 최대 생성시기가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 도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 색도는 낮은 반면 황색도는 높았고 조직감 실험 에서는 첨가량에 상관없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검사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0.5\%,\;1.0\%,\;1.5\%$ 첨가한 것까지는 유의적으로 차이 없이 선호도가 높았다. 이에 미국인 선호김치의 다이어트 기능성 증진을 위해서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량을 $1.5\%$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3T3-Ll 비 만세포를 이용해서 미국인 선호 김치와 $1.5\%$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렙틴 분비를 측정한 결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한 미국인 선호 김치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그 수치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아 항비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미국인 선호김치에 HCA가 함유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서 김치의 발효 속도가 느려지고, 중성지방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비만 효과는 나타내었으나 김치의 관능성이 약간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기에 향후 다이어트 기능성을 가지면서 관능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Phaseolus vulgaris, Garcinia cambogia (HCA)가 함유된 다이어트 식이 조성물의 체지방 개선 및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Dietary Supplement Consisting of Phaseolus vulgaris and Garcinia cambogia (RCA) on the Lipid Level and Body Weight)

  • 김유희;유재욱;이유진;김경범;조대헌;황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8-522
    • /
    • 200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 적합한 비만 개선책을 찾고자 지방흡수억제 기능과 과잉의 탄수화물 흡수 억제 기전이 함께 작용하는 방법으로서 강낭콩(white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에서 $\alpha$-amylases 활성을 저해하는 탄수화물 흡수 억제하는 추출물과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저해제인 HCA(hydroxycitric acid)를 함유하여 지방 합성을 저해, 식욕 억제 효과와 지방의 분해 촉진을 유도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그리고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움을 주는 수용성 식이 섬유(microstalline cellulose) 등을 배합하여 비만 개선용 다이어트 식이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임상 실험을 수행한 결과 체중과 체지방 지수에서 유의한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강낭콩 추출물인 파제올라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지방 합성 저해 효과, 그리고 수용성 식이 섬유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 비만 개선용 다이어트 식이 조성물이 임상실험에서 체중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현대 성인 질병 가운데 하나인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할 수 있는 다이어트 식이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