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nsics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2초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PFS Object Identification Tool for Digital Forensics

  • Cho, Gyu-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10-18
    • /
    • 2022
  • Since High Sierra, APFS has been used as the main file system. It is a well-established file system that has been used stably thus far.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forensics, there are still many areas to be investigated. Apple File System Reference is provided to the apple developer site, but it is not satisfactory to fully analyze APFS. Researchers know more about the structure of APFS than before, but they have not yet fully analyzed its structure to a perfect level about it. In this paper, we develop APFS object identification tool for digital forensic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object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APFS filesystem will be conducted with the tool. The analysis in this study serves as the background for an analysis of the checkpoint operation principle and structure, including the more complex B-tree structure of APFS.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the developed tool, but the results of two use cases will be shown here. Based on the implemented tool, it is hoped that more functions will be added to make APFS a useful tool for faster and more accurate analyses.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 Approaches in Mitigating Cybercrimes: A Review

  • Abdullahi Aminu, Kazaure;Aman Jantan;Mohd Najwadi Yusoff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14-39
    • /
    • 2023
  • Cybercrime is a significant threat to Internet users, involving crimes committed using computers or computer networks. The landscape of cyberspace presents a complex terrain, making the task of tracing the origins of sensitive data a formidable and often elusive endeavor. However, tracing the source of sensitive data in online cyberspace is critically challenging, and detecting cyber-criminals on the other hand remains a time-consuming process, especially in social networks. Cyber-criminals target individuals for financial gain or to cause harm to their assets, resulting in the loss or theft of millions of user data over the past few decades. Forensic professionals play a vital role in conducting successful investigations and acquiring legally acceptable evidence admissible in court proceedings using modern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forensic investigation methods for extracting digital evidence from computer systems and mobile devices to combat persistent cybercrime. It also discusses current cybercrime issues and mitigation procedures.

국내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아티팩트 분석 (Artifacts Analysis of Users Behavior in Korea Random Chat Application)

  • 서승희;남기훈;김역;이창훈
    • 디지털포렌식연구
    • /
    • 제12권3호
    • /
    • pp.1-8
    • /
    • 2018
  •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들을 무작위로 연결하고 문자, 음성, 영상 채팅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연인 또는 배우자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소셜 데이트 어플리케이션의 일종이다. 최근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이성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악의적 의도를 가진 이들에 의해 조건만남(성매매), 마약거래의 중개 창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앱 사용자들 간의 실제 만남 이후 발생하는 각종 사건들로 인해 강력 범죄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비추어 볼 때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은 조건 만남(성매매)이나 마약 거래에 대한 입증 자료나 만남 후 발생한 강간, 납치, 살인 등의 용의자 검거를 위한 각종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나 현재 관련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랜쳇, 앙톡, 썸팅, 다톡, 모두의 채팅, 돛단배 등 국내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 6종을 사용자 행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로 채팅 메시지 송수신, 채팅방 추가/삭제, 친구 추가/차단, 계정 생성 등의 사용자 행위에 따른 아티팩트로 매시지 송수신 시간, 내용, 송수신자, 친구 프로필, 계정 생성 시간 등을 확인하였다.

은닉형 Vault 안티포렌식 앱 탐색을 위한 XML 기반 특징점 추출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Methodology based on XML for Searching Hidden Vault Anti-Forensics Apps)

  • 김대규;김창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61-70
    • /
    • 2022
  •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들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사진, 동영상 등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Vault 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범죄자들은 불법 영상들을 은닉하기 위해 Vault 앱 기능을 안티포렌식 용도로 악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앱들은 구글 플레이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매우 많은 앱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범죄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Vault 앱들을 탐색하기 위해 XML 기반의 핵심어 빈도 분석을 통해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며, 특징점 추출을 위해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은닉형 Vault 안티포렌식 앱과 비은닉형 Vault 앱 각각 15개를 대상으로 앱에 포함된 strings.xml 파일을 활용하여 XML 구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은닉형 Vault 안티포렌식 앱에서는 불용어처리를 1차, 2차 거듭할수록 더 많은 은닉 관련 단어가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본 연구는 공학 기술적인 관점에서 APK 파일을 정적 분석하는 대부분의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인문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안티포렌식 앱을 분류해내는 특징점을 찾아내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XML 구문 분석을 통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면 은닉형 Vault 안티포렌식 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증거분석실의 도구·장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Building Tools and Equipment for Digital Forensics Laboratory)

  • 신수민;박현민;김기범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1-35
    • /
    • 2022
  • 디지털 정보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속적으로 증가 및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이를 악용한 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디지털증거에 대한 처리 및 분석을 위한 환경 구축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조직마다 할당된 예산이 상이하고 고질적인 문제인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구축된 디지털증거분석실은 초기 구성단계에서부터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본 논문은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시에 필요한 사항을 도구·장비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경험 또는 디지털포렌식 분야 근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 구성, 분석관 컴퓨터, 개인 도구·장비, 이미징 장치, 전용 SW, 오픈소스 SW, 공용 도구·장비, 액세서리, 기타 고려사항의 9가지 영역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디지털증거분석실의 도구·장비 목록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발전방안으로 공간/도구·장비 목록표준화, 디지털포렌식 도구·장비 민간 지원·위탁 체계 수립, 미래 디지털증거분석실 인프라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디지털포렌식 기능을 신설하고 디지털증거분석실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관/조직이 도구·장비 및 인프라 설계 등에 기여할 것이다.

컴퓨터 포렌식스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uter Forensics Technology)

  • 홍성욱;서영선;송정환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523-532
    • /
    • 2003
  • 컴퓨터 포렌식스(Computer Forensics)란 컴퓨터 범죄자료가 법적 증거물로써 제출될 수 있도록 증거의 확인, 복사, 분석 등 일련의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에서 각종 증거자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특성 이해와 고도의 보안기술을 갖추지 않으면 실제로 증거자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냥 간과해 버릴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범죄를 소개하고 컴퓨터 포렌식스의 소요 기술을 분류하며, 컴퓨터 포렌식스 기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삭제된 파일 복구기술에 대하여 고찰한다.

  • PDF

An Optimized Mass-spring Model with Shape Restoration Ability Based on Volume Conservation

  • Zhang, Xiaorui;Wu, Hailun;Sun, Wei;Yuan, Chengs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738-1756
    • /
    • 2020
  •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alism of the virtual surgical simulation system, this paper proposes an optimized mass-spring model with shape restoration ability based on volume conservation to simulate soft tissue de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a soft tissue surface model that adopts a new flexion spring for resisting bending and incorporates it into the mass-spring model (MSM)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Then, we employ th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to achieve the optimal solution of the model parameters. Besides, the volume conservation constraint is applied to the position-based dynamics (PBD) approach to maintain the volume of the deformable object for constructing the soft tissue volumetric model base on tetrahedrons. Finally, we built a simulation system on the PHANTOM OMNI force tactile interaction device to realize the deformation simulation of the virtual liv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has a good shape restoration ability and incompressibility, which can enhance the deformation accuracy and interactive realism.

사이버 범죄 수사를 위한 사이버 포렌식 범주 온톨로지 (Cyber forensics domain ontology for cyber criminal investigation)

  • 박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687-1692
    • /
    • 2009
  • 사이버 포렌식은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범죄 수사로 디지털 포렌식의 처리 절차와 기술적 방법을 그대로 사용한다. 사이버 범죄에는 사이버 테러와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일반사이버 범죄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버 테러 수사에는 높은 수준의 조사 기법과 시스템 환경,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며, 일반 사이버 범죄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디지털 증거에 의해 일반 범죄와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관련 범죄 유형 판단이나 증거 수집, 법적 증거 능력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범죄 분류, 사이버 공간에서의 증거 수집, 사이버 범죄 관련 법 적용 등에 초점을 두었고, 효율적인 사이버 범죄 수사를 위한 사이버 범죄에 대한 개념 통합이 필요하여 사이버 범죄 분류, 관련 법률, 증거, 피의자, 사건 정보 등의 개념과 속성과 관련도를 이용한 개념망으로 사이버 포렌식 범주 온톨리지를 구축하였다. 이 온톨로지는 사이버 사건 수사 절차와 범죄 유형, 사건, 증거, 용의자 등의 분류, 클러스터링, 연관 검색, 탐지 등의 데이터 마이닝에 활용할 수 있다.

Digital Forensics: Review of Issues in Scientific Validation of Digital Evidence

  • Arshad, Humaira;Jantan, Aman Bin;Abiodun, Oludare Isaac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346-376
    • /
    • 2018
  • Digital forensics is a vital part of almost every criminal investigation giv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and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electronic data to investigate and evidence a crime. However, in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these electronic pieces of evidence are often considered with the utmost suspicion and uncertainty, although, on occasions are justifiable. Presently, the use of scientifically unproven forensic techniques are highly criticized in legal proceedings. Nevertheless, the exceedingly distinct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data, in addition to the current legislation and privacy laws remain as challenging aspects for systematically attesting evidence in a court of law.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study to examine the issues that are considered essential to discuss and resolve, for the proper acceptance of evidence based on scientific grounds. Moreover, the article explains the state of forensics in emerging sub-fields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cloud computing, social medi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reviewing the challenges which may complicate the process of systematic validation of electronic evidence. The study further explores various solutions previously proposed, by researchers and academics, regarding their appropriateness based on their experimental evaluation. Additionally, this article suggests open research areas, highlighting many of the issu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mpirical evaluation of these solutions for immediate attention b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Notably, academics must react to these challenges with appropriate emphasis on methodical verification.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issues in the experiential validation of practices currently available are reviewed in this study. The review also discusses the struggle involved in demonstr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approaches with contemporary evaluation method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best practices, reliable tools and the formulation of formal testing methods for digital forensic techniques are highlighted which could be extremely useful and of immense value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electronic evidence in legal proceedings.

SIFT 기반 카피-무브 위조 검출에 대한 타켓 카운터-포렌식 기법 (A Targeted Counter-Forensics Method for SIFT-Based Copy-Move Forgery Detection)

  • ;이경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5호
    • /
    • pp.163-172
    • /
    • 2014
  •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은 높은 매칭 능력과 회전이나 스케일 조정 시 안정성으로 인해 이미지 특징 매칭을 위해 많은 응용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카피-무브 위조 검출을 위한 핵심 알고리즘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SIFT 변환은 이미지 조작의 증거를 감출 수 있는 안티포렌식의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의미론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왜곡을 적용하여 SIFT 기반 카피-무브 위조 검출을 방해하기 위한 타켓 카운터-포렌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공격자가 유사성 매칭 절차를 속일 수 있는 동시에 SIFT 키포인트의 변형을 통한 추적을 방해하여 이미지 조작의 증거를 숨길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의미론적 제약 하에서 가공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 간의 높은 충실도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다양한 조건의 테스트 이미지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