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아티팩트 분석

Artifacts Analysis of Users Behavior in Korea Random Chat Application

  • 서승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남기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창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Seo, Seunghee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Nam, Gihoon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Yeog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Changhoon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8.11.21
  • 심사 : 2018.11.30
  • 발행 : 2018.12.31

초록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들을 무작위로 연결하고 문자, 음성, 영상 채팅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연인 또는 배우자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소셜 데이트 어플리케이션의 일종이다. 최근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이성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악의적 의도를 가진 이들에 의해 조건만남(성매매), 마약거래의 중개 창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앱 사용자들 간의 실제 만남 이후 발생하는 각종 사건들로 인해 강력 범죄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비추어 볼 때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은 조건 만남(성매매)이나 마약 거래에 대한 입증 자료나 만남 후 발생한 강간, 납치, 살인 등의 용의자 검거를 위한 각종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나 현재 관련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랜쳇, 앙톡, 썸팅, 다톡, 모두의 채팅, 돛단배 등 국내 랜덤 챗 어플리케이션 6종을 사용자 행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로 채팅 메시지 송수신, 채팅방 추가/삭제, 친구 추가/차단, 계정 생성 등의 사용자 행위에 따른 아티팩트로 매시지 송수신 시간, 내용, 송수신자, 친구 프로필, 계정 생성 시간 등을 확인하였다.

A random chat application is a type of social dating application that helps people find a lover or spouse by randomly connecting and providing services such as text, voice and video chat. Recently, there has been globally a rapid increase in its use due to the fact that it provides people to quick and convenient encounters at low cost. However, it is used as one of method to prostitute or to trade drugs and become a cause of violent crimes due to various criminal occurring after actual meeting between app users. For this reason, a random chat application is likely to provide proof of prostitution or drug trade and clues to arrest rape, kidnapping and murder suspects. Thus, it is necessary to analyse random chat ap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 but there is no related research at all.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artifacts of 6 Korea random chat application's user behaviors; Ranchat, AngTalk, SsumgThing, DaTalk, EveryTalk and Sail. As a result, we found that it is remain on mobile device that time and contents of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nder/receiver, friend profile and user account creation time when user is using the applicatio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최신 모바일 기기에 대한 암호해독 및 포렌식 분석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참고문헌

  1. Hyo-Jin An, Seung-In Kim, "Evaluation for User Experience about Social Dating Mobile Application Service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6, pp.335-341, 2017.
  2. Hyo-Jung Lee, Yoon-Ho Choi, Byoung Yup Lee, Jae-Won Lee, "Analysis and Design on Mobile Application Based Social Dating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4, pp.336-34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336
  3. App Annie, https://www.appannie.com/kr/
  4. Korea JoongAng Daily, "Dating App", https://news.joins.com/article/22682683
  5. ZDNet Korea, "Dating App Market forecast",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810192417&from=Mobile
  6. SBS News,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954724
  7. Chosun Biz,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24/2017102401194.html
  8. Insight, https://www.insight.co.kr/news/145888
  9. Google Play Store, "https://play.google.com/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