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athogen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8초

국내 신선편이 과일의 미생물 품질 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cut fruits in Korea)

  • 김명지;최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09-814
    • /
    • 2021
  • 우리나라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면서 신선편이 식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신선편이 과일의 오염도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신선편이 과일 9종에 대한 중온균, 저온균, 대장균군, 대장균, 효모와 곰팡이,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그리고 E. coli O157:H7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중온균, 저온균, 효모와 곰팡이의 평균은 각각 4.51, 5.35, 4.31 log CFU/g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대장균군의 평균은 2.42 log CFU/g으로 관찰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 세균의 경우 B. cereus와 S. aureus는 각각 2.5%와 7.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Salmonella spp.와 E. coli O157:H7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시료들 가운데 배의 오염도가 전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배 1건은 식품공전의 B. cereus 기준 규격을 초과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2건의 방울토마토도 S. aureus가 검출되면서 엄격한 위생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저온에서 증식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신선편이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한 섭취를 위해서는 철저한 저온 관리 및 위생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신선 농산물 생물학적 위해요소 우선순위 설정 (Profiling and Priority Sel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Fresh Produce)

  • 이채윤;성동은;오상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6-365
    • /
    • 2012
  • 본 연구는 농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식중독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국내외의 자료를 조사하여 11가지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해 리스크 프로파일 목록을 작성하여 추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국제 식품안전 관련 기관인 CODEX와 WHO/FAO 및 미국 일본 유럽 호주 뉴질랜드의 리스크 프로파일 선정 기준을 조사하고 국내 가용한 자료를 고려하여 식중독 원인균을 중심으로 관리의 기본이 되는 질병의 빈도와 심각성, 식품 소비 빈도, 교차오염 가능성의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조사되고 있지 않으나 선진국에서 관리되고 있는 위해요소 중 앞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요소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우선순위는 발생빈도 및 위해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가장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 그룹 I에는 Norovirus, E.coli, Salmonella, Clostridium botulinum, Listeria monocytogenes를 선정하였고, 그룹 II에는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를 지정하였으며, Clostridium perfringens, Yersinia enterocolitica, Shigella spp, Cronobacter sakazakii, Hepatitis A virus를 그룹 III에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교차오염의 가능성은 정량화 되지 않은 '가능성'만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으며, 앞으로 농장의 GAP, HACCP을 적용하여 농식품의 수확에서부터 제품 생산 전 단계에 걸쳐 안전성이 확보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라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농식품의 식중독 예방과 'farm to table' 전 과정의 체계적인 위생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에 대한 용량-반응 모델 연구 (A Study on Dose-Response Models for Foodborne Disease Pathogens)

  • 박명수;조준일;이순호;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9-304
    • /
    • 2014
  •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관련 정보 및 자료가 부족한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에 대한 용량-반응모델(dose-response models)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가장 적합한 용량-반응 모델을 분석 및 선정하였다.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식중독 발생과 관련이 있는 26종의 세균, 9종의 바이러스, 8종의 원생동물관련 용량-반응 모델 및 위해평가 자료들을 중심으로 국내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국외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에서 총 193개의 논문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조사된 자료로부터 세균별, 바이러스별, 원생동물별 용량-반응 모델의 미생물 위해평가 활용여부를 확인하고, 위해평가에 활용된 모델들을 메타분석(meta-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 (fi, 상대빈도 값)를 계산하여 가장 적정한 용량-반응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인 Campylobacter jejuni, pathogenic E. coli O157:H7 (EHEC / EPEC / ETEC),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cholera, Rota virus, Cryptosporidium pavum의 적정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alpha}=0.15$, ${\beta}=7.59$, fi = 0.72), beta-poisson (${\alpha}=0.49$, ${\beta}=1.81{\times}10^5$, fi = 0.67) / beta-poisson (${\alpha}=0.22$, ${\beta}=8.70{\times}10^3$, fi = 0.40) / beta-poisson (${\alpha}=0.18$, ${\beta}=8.60{\times}10^7$, fi = 0.60), exponential ($r=1.18{\times}10^{-10}$, fi = 0.14), beta-poisson (${\alpha}=0.11$, ${\beta}=6,097$, fi = 0.09), beta-poisson (${\alpha}=0.21$, ${\beta}=1,120$, fi = 0.15), exponential ($r=7.64{\times}10^{-8}$, fi = 1.00), beta-poisson (${\alpha}=0.17$, ${\beta}=1.18{\times}10^5$, fi = 1.00), beta-poisson (${\alpha}=0.25$, ${\beta}=16.2$, fi = 0.57), exponential ($r=1.73{\times}10^{-2}$, fi = 1.00), and exponential ($r=1.73{\times}10^{-2}$, fi = 0.17)로 각각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용량-반응 모델들은 향후 국내 QMRA 관련 연구 및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살모넬라균 검출을 위한 임피던스 바이오센서의 항체 고정화 방법 평가 (Evaluation of Antibody Immobilization Methods for Detection of Salmonella using Impedimetric Biosensor)

  • 김기영;문지혜;엄애선;양길모;모창연;강석원;조한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4권4호
    • /
    • pp.254-259
    • /
    • 2009
  • Conventional methods for pathoge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are labor-intensive and take several days to complete. Recently developed biosensors have shown potential for the rapid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an impedimetric biosensor was developed for rapid dete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To develop the biosensor, an interdigitated microelectrode (IME) was fabricated by using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Anti-Salmonella antibodies were immobilized based on either avidin-biotin binding or self assembled monolayer (SAM) on the surface of the IME to form an active sensing layer. To evaluate effect of antibody immobilization methods on sensitivity of the sensor, detection limit of the biosensor was analyzed with Salmonella samples innoculat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or food extract. The impedimetric biosensor based on SAM immobilization method produced better detection limit. The biosensor could detect 107 CFU/mL of Salmonella in pork meat extract. This method may provide a simple, rapid, and sensitive method to detect foodborne pathogens.

Application of Engineered Zinc Finger Proteins Immobilized on Paramagnetic Beads for Multiplexed Detection of Pathogenic DNA

  • Shim, Jiyoung;Williams, Langley;Kim, Dohyun;Ko, Kisung;Kim, Moo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9호
    • /
    • pp.1323-1329
    • /
    • 2021
  • Micro-scale magnetic beads are widely used for isolation of proteins, DNA, and cell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in vitro diagnostics. Efficient isolation of target biomolecules is one of the keys to developing a simple and rapid point-of-care diagnostic. A zinc finger protein (ZFP) is a double-stranded (ds) DNA-binding domain, providing a useful scaffold for direct reading of the sequence information. Here, we utilized two engineered ZFPs (Stx2-268 and SEB-435) to detect the Shiga toxin (stx2) gene and the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gene present in foodborne pathogens, Escherichia coli O157 and Staphylococcus aureus, respectively. Engineered ZFPs are immobilized on a paramagnetic bead as a detection platform to efficiently isolate the target dsDNA-ZFP bound complex. The small paramagnetic beads provide a high surface area to volume ratio, allowing more ZFPs to be immobilized on the beads, which leads to increased target DNA detection. The fluorescence signal was measured upon ZFP binding to fluorophore-labeled target dsDNA. In this study, our system provided a detection limit of ≤ 60 fmol and demonstrated high specificity with multiplexing capability, suggesting a potential for development into a simple and reliable diagnostic for detecting multiple pathogens without target amplification.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Polymerase Spiral Reaction Amplification for Salmonella Detection in Food

  • Xu, Wenli;Gao, Jun;Zheng, Haoyue;Yuan, Chaowen;Hou, Jinlong;Zhang, Liguo;Wang, Guoq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0호
    • /
    • pp.1543-1552
    • /
    • 2019
  • Salmonella is a common zoonotic and foodborne pathogen that causes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nd validated a polymerase spiral reaction (PSR) assay which targeted the conserved invasion gene (invA) of Salmonella by SYBR Green I indicator methods. Subsequently, assays for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nditions for optimal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PSR were performed. We performed comprehensive evaluations using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nd real-time PCR. A total number of 532 samples of daily food were analyzed by PSR. Twenty-seven bacterial strains were tested in the specificity assay, from which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only for 14-Salmonella strains. However, none of the 13 non-Salmonella strains was amplified. Similarly with LAMP and real-time PCR, the detection limit of the PSR assay was 50 CFU/ml. The PSR method was also successfully applied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with Salmonella in 532 samples of daily food, corroborating traditional culture method data. The novel PSR method is simple, sensitive, and rapid and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prevention and detection of foodborne diseases.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a robusta Leaf 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Yosboonruang, Atchariya;Ontawong, Atcharaporn;Thapmamang, Jadsada;Duangjai, Acharapor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1003-101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tochemical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a robusta leaf extract (R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lorogenic acid (CGA) is a major component of RL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RL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6.25, 12.5, 12.5, and 12.5 mg/ml, respectively. RLE effectively damages the bacterial cell membrane integrity, as indicated by the high amounts of proteins and nucleic acids released from the bacteria, and disrupts bacterial cell membrane potential and permeability, as revealed via fluorescence analysis. Cytotoxicity testing showed that RLE is slightly toxic toward HepG2 cells at high concentration but exhibited no toxicity toward Caco2 cell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RLE has excellent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ntimicrobial in the food industry.

지유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Effect for Foodborne Pathogens from Extract and Fraction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 서고은;김선민;표병식;양선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3-308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prepared fro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by evaluating the DPPH radical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that the $SC_{50}$ valu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3.85{\mu}g/m{\ell}$. The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the most effec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As for the NO scavenging ability,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extract and other fractions.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was investigat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However, the chloroform fraction had a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Vibrio vulnificus than that of the extract and other frac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d a higher antioxidant as well as antimicrobial activity, than did the other samples. Therefore,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s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복합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 및 축산식품 저장성 증진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a Bacteriocin Mixture from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한경식;오세종;문용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4-171
    • /
    • 2002
  •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9종의 유산균 배양액으로부터 ammonium sulfate를 첨가하여 제조된 각각의 조박테리오신을 혼합하여 복합박테리오신용액을 제조하였다. 복합박테리오신의 항균 활성은 단일 박테리오신보다 우수하였으며 항균 범위 또한 넓어짐을 알 수 있었고 단일 박테리오신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박테리오신은 pH와 열에강한 안정성을 보여 식품 가공 중에도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박테리오신을 프랑크소세지, 모짜렐라 치즈 및 돈육등심근에 첨가한 후 저장기간별 일반세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나타내었고 저장 28일 경과 후에는 모든 식품에서 1/10 또는 1/100 정도로 식품내 총세균이 억제되었다. 또한, 저장기간 중 VBN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돈육등심근과 모짜렐라 치즈의 경우 14일 이후부터 박테리오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식품에서 분리된 Salmonella Enteritidis MFDS1004839의 유전체 서열 분석 (Complete genome sequence of Salmonella Enteritidis MFDS1004839 isolated from food)

  • 이우정;박세욱;유란희;주인선;곽효선;김순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4-1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국내에서 식중독 원인식품인 김밥으로부터 분리된 Salmonella Enteritidis의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Enteritidis MFDS1004839는 한 개의 chromosome (4,679,649 bp)과 plasmid (96,994 bp)로 구성되어있고, 각각의 G + C contents는 52.2%와 49.3%로 확인되었다. chromosome와 plasmid DNA에 예측된 유전자의 총 수는 4,482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와 84개 tRNA, 그리고 22개의 rRNA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