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Official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9초

서울시 소방공무원의 방화장갑에 대한 평가 및 사용실태 (Evaluation of Firefighting Gloves and the Behavior Regarding their Usage, of Firefighting Officials in Seoul)

  • 김도희;남기범;오정우;이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5-526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firefighting gloves and the behavior regarding their usage, of firefighting officials in Seoul, using a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a total of 270 firefighters who are responsible for putting out fires or undertaking rescue works in Seoul were analyzed. As per the findings, the firefighters considered ease of hand operation and fire/flame protection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factors for firefighting gloves,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upply status of the gloves. The average number of firefighting gloves currently owned by the firefighters was 2.6 ± 0.8 pairs. Thirty-nine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ir firefighting gloves lasted, with maintained performance,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less than a year, and when asked how they handled the gloves with degraded performance, 46%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discard them. Sixty-eight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used the most recently developed and supplied gloves, which they considered as the most satisfying gloves and which they mainly used these days.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ire/flame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ir firefighting gloves, but were less satisfied, however, with the glove f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overall performance level and supply status of the firefighting gloves. Given the current situation, careful considerations with flexible approaches are needed on the current firefighting gloves size system as well as on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scheme.

공동주택 건축물 내 화재방호시스템이 피난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ire Protection System on Evacuation Safety in Apartment Houses)

  • 김학경;최두찬;이두희;황현수;김희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8-50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방화관리자 및 건물 관계인이 피난안전성능 향상 계획 수립 시, 한정된 예산을 고려하여 피난안전성능 개선 항목 선정에 도움을 주는 수치해석 DB 구축 방향 수립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직통계단형 아파트 1개동과 복도형 1개동을 선정하여 정량적 평가기법인 CFD기반 피난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직통계단형 아파트는 방화구획 항목에서의 피난허용시간이 스프링클러설비 등 피난허용시간보다 약 130%이상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방화관리자 및 건축물 관계인은 적법하게 유지관리하고 직통계단형 공동주택에서는 "주거세대 별도 방화구획"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피난안전성이 가장 개선되고, 층간 방화구획과 스프링클러설비를 상시 유지보수 및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복도형 공동주택에서는 연기확산이 직통계단형 공동주택보다 제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소화설비의 유지보수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방공무원의 내부청렴도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Fire Officials Inter Integrity)

  • 채진;우성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07-114
    • /
    • 2010
  • 공직사회의 부패는 사회전반의 부정부패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시민사회의 직접적인 대민 관계에 있어 행정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여 점증적으로 사회적 비용의 증가를 가져 올 수 있다. 보다 포괄적인 부패 방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조직내부에 대한 내부평가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내부청렴도 향상을 위해 심층면접의 연구방법을 통해 소방공무원의 내부청렴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 소방조직은 전통적인 조직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소방공무원 상호간의 이를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조직문화 조성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문제도 있지만 대체로 조직 구조적인 문제, 즉, 부패방지제도의 익명성 보장, 예산의 비공개 등이 불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관리 거버넌스의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in Governance - Focused Recognition of Fire Officials' -)

  • 채진;우성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9-90
    • /
    • 2009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서비스에 대해서는 주로 공공부분에서 담당 해 오고 있으나 공공부분(정부)의 힘만으로는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는 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유관기관, 시민, NGO, 기업 등 다양한 기관 및 단체가 다조직의 협력체계, 즉 재난관리의 효율적인 거버넌스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거버넌스 등의 개념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재난관리의 효과성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종속변수가 재난관리 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용소방대, 유관기관 협력, 자원봉사, 시민의지지, NGO 네트워크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재난관리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경기도 소방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nsfer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the Perceptions of Fire Officials -)

  • 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17-123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관리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 제기 하에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기도 소방공무원들의 인식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외의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로 소방공무원들의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교육훈련 전이효과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유의미한 변수는 업무관련성, 학습문화, 동료지원, 자기 효능감, 학습동기, 학습능력, 교육방법 순으로 교육훈련 전이효과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질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ccupational Diseases of Fire Officials)

  • 조광래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109-135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질환(진료건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등 기술적 탐색 연구를 진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질환에 대한 평균추이는 ① 내과 질병은 12월이 9.24%로 가장 높고, 2월이 7.76%로 가장 낮고, ② 이비인후과 질병은 12월이 9.29%로 가장 높고, 8월이 6.74%로 가장 낮으며, ③ 피부과 질병은 7월이 10.03%로 가장 높고, 1월과 2월이 7.35%로 가장 낮고, ④ 외과 질병은 11월이 10.38%로 가장 높고, 2월이 5.62%로 가장 낮으며, ⑤ 정형외과 질병은 3월이 9.69%로 가장 높고, 11월이 7.52%로 가장 낮고, ⑥ 신경외과 질병은 4월이 9.33%로 가장 높고, 2월이 6.82%로 가장 낮으며, ⑦ 재활의학과 질병은 12월이 9.47%로 가장 높고, 10월이 7.06%로 가장 낮고, ⑧ 정신건강의학과 질병은 12월이 9.93%로 가장 높고, 5월이 6.51%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질환에 대한 계절분해는 ① 내과 질병은 1.075(S) × 189.355(T·C) × 1.174(R) = 238.975(F), ② 이비인후과 질병은 1.023(S) × 69.605(T·C) × 1.040(R) = 74.000(F), ③ 피부과 질병은 1.002(S) × 73.088(T·C) × 0.874(R) = 64.000(F), ④ 외과 질병은 1.099(S) × 27.229(T·C) × 0.669(R) = 20.000(F), ⑤ 정형외과 질병은 1.115(S) × 73.182(T·C) × 1.213(R) = 99.000(F), ⑥ 신경외과 질병은 0.993(S) × 27.836(T·C) × 1.303(R) = 36.000(F), ⑦ 재활의학과 질병은 1.029(S) × 62.417(T·C) × 1.152(R) = 74.000(F), ⑧ 정신건강의학과 질병은 1.210(S) × 8.781(T·C) × 1.035(R) = 11.000(F) 등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자아상태 요인이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status Factors on Self-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of Fire Service Officials)

  • 김엽래;이해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145-154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개인의 자아상태를 분석하여 자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 직무의 성과를 향상시켜 효율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남부지역 B도시 현직 소방공무원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2.0을 통해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방공무원의 자아상태 요인과 자기효능감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상태 요인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다소 높고, 자기조절효능감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상태 요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Adult (A)유형, Free Child (FC)유형, Adapted Child (AC)유형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아상태 요인과 직무만족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Critical Parent (CP)유형의 경우 모든 직무만족도 요인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Nurturing Parent (NP)유형의 경우 모든 직무 만족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자아상태 요인에서 권위적인 기능인 Critical Parent (CP)를 낮추고 Nurturing Parent (NP)기능을 높이는 부모자아의 수정전략과 낮은 만족도에서 나타나는 Adapted Child (AC)기능을 낮추어 Free Child (FC)기능을 활성화하는 수정전략이 필요하며 합리성에 기초한 지금-여기에 알맞은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은 보강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Type of Perception about the Emergency Car Driver Circulation Work of Female Fire Officials

  • Lee, Jae-Min;Jung, Ji-Yeon;Yun, Hyeo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99-108
    • /
    • 202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인식하는 여성 소방공무원 긴급자동차 운전직 전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여성 소방공무원 긴급자동차 운전직 순환보직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여 여성 소방공무원의 긴급자동차 운전직 업무의 활용과 개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27개의 진술문으로 된 Q표본을 소방공무원 여자 26명, 남자 5명으로 총 31명에게 적용하여 QUANL program으로 자료를 분석한 분류 결과로 3개 유형은 전체변량의 60.8 %를 설명하고 각 유형별 설명력은 제I유형은 50 %, 제II유형은 5.6 %, 제III유형은 5.2 %로 나타났다. 제I유형은 '페미니스트형', 제II유형은 '미래지향형', 제III유형은 '교육준비형'으로 명명하였다. 전체적으로 여성소방공무원의 긴급자동차 인식은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차별을 없애야 하고 여성 소방공무원도 준비와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긴급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조사되어 양성평등과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으로 개인 능력 개발이 필요하다.

밀폐공간 구조 요구자를 위한 더미 표준화 개발 방안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Dummy for Persons in Need of Rescue in a Confined Space)

  • 최서연;이동호;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9-10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ummy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human body, to prepare a standard for evaluation and to present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that can detect the persons needing rescue in a confined space, who are difficult for fire-fighting officials to rescue in case of fire and disaster. As a result, a standard for evaluation was developed and standardized into four parts 'Normal,' 'Risk Stage 1,' 'Risk Stage 2' and 'Risk Stage 3'based on the number of breath cycle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re temperature and criteria for hearing to recognize the voice.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a dummy, fever, breathing capacity and voice output fun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built up basic data of the method of producing the actual dummy, by presenting characteristics and controlling methods using the waterproof insulation heating coil for the function, solenoid valve for the consecutive output of breathing capacity and USB program sound board for voice output.

-재난대응공무원의 스트레스 및 PTSD 완화 교육프로그램 재설계 및 교육효과 실증분석- (Redesigning education programs for alleviating disaster response officials' stress·PTSD and it's empirical analysis for effectiveness)

  • 박찬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47-157
    • /
    • 2014
  • Firefighters receive extreme stress and suffer from PTSD in disaster. But we have not been paid attention to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previous PTSD education programs in fire academy and to present the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for firefighters to use in the disaster field.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EFT program), this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theory-focused education train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