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trip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5초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해가는 만 3세 교실의 역할 놀이 영역 (Constructing 3-year-old classroom with role play areas based on field-trips)

  • 서혜정;한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115
    • /
    • 2010
  • 이 연구는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해가는 만 3세 교실의 역할 놀이 영역과 그 과정에서 교사가 알게 된 것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동영상, 사진, 교사일지, 서술식 질문지, 심층면담 자료이다. 역할 놀이영역을 구성하기 과정은 현장학습 전 사전활동(질문목록과 질문할 역할 정하기, 현장 학습 시 지켜야 할 규칙 정하기, 현장 학습 목적 인지하기) 현장학습(현장 학습 장소 둘러보기, 질문목록에 따른 질문하기), 현장학습 후 현장학습 장소를 역할 놀이 영역으로 구성하기(현장학습 활동 회상하기, 역할 놀이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계획, 자료 준비하기, 수집된 자료로 제작하기), 역할 영역놀이 및 중간 평가, 역할 영역 놀이 평가로 이루어졌다. 성인들의 큰 사회를 교실 안으로 들여오는 과정에서 현장학습은 역할놀이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으며, 언어발달의 기회, 공공질서를 배우는 더 많은 배움의 기회로 작용함을 알게 되었다.

휴대폰을 활용한 탐구지향적 동물원 현장학습의 제안 (Research-Oriented Field Trip Education Facilitated by Mobile Phone)

  • 김유민;김경민;임창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91-96
    • /
    • 2008
  •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탐구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현장체험학습을 빈번히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현장학습은 학생들에게 구체적 탐구활동 및 효과적인 피드백 환경을 제공하지 못해 충분한 교육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학습에서 이용 가능한 교사/학생 간 휴대폰을 활용한 지령기반 탐구활동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참여하는 동물원 현장학습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제안한 교육매체의 활용 및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해 본다.

  • PDF

360° 3D 파노라마 기술을 적용한 VFT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 360° 3D Panorama Technique)

  • 김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3-205
    • /
    • 2015
  • In this study, a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VFT) learning program using 3D panorama virtual reality techniques was developed to learn about the Gongju city 7 area located in Chungcheongnam-do, Korea. The developed $360^{\circ}$ 3D VFT program can show every face of observational points and interact as zoom-in, zoom-out and image rotation. For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terials, it is provided with a compass, a protractor, enlarged images, pop-up windows, etc..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of 35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responses of the students were 90% or more. When geological field trip problems like cost, safety, distance occur in geological learning procedure of middle school science, this VFT program can become as a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 and a solution.

Development of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based Reactor Trip Functions Using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 Jung, Jaecheon;Ahmed, Ibrah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1047-1057
    • /
    • 2016
  • Design engineering process for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based reactor trip functions are developed in this work. The process discussed in this work is based on the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The overall design process is effectively implemented by combining with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It transforms its overall development process from traditional V-model to Y-model. This approach gives the benefit of concurrent engineering of design work with software implementation. As a result, it reduces development time and effort. The design engineering process consisted of five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and discussed: needs/systems analysis; requirement analysis; functional analysis; design synthesis; and desig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Those activities are used to develop FPGA-based reactor bistable trip functions that trigger reactor trip when the process input value exceeds the setpoint. To implement design synthesis effectively, a model-based design technique is implied. The finite-state machine with data path structural modeling technique together with 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and the Aldec Active-HDL tool are used to design, model, and verify the reactor bistable trip functions for nuclear power plants.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bout Sedimentary Rocks before and after the Field Trip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박경진;정덕호;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3-18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생들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퇴적암에 대한 정의, 분류, 생성과정 및 특징을 묻는 개방형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이 텍스트 자료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야외지질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크게 확장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개념 구조를 구성하는 하위 클러스터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작은 세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개념 구조의 규모는 수개월이 지난 후 감소하였지만, 하위 클러스터의 연결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안사구 식물 탐구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eld Trip Learning Program on Plant Inquiry in Coastal Dun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Affective Domain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t)

  • 변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1호
    • /
    • pp.53-65
    • /
    • 2022
  •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학습은 이론적으로 학습한 내용의 구조화 및 적용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며, 개방적인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다양한 탐구활동의 경험을 유발한다. 또한 현장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통해 제공되는 실제 경험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경험적 학습의 맥락에서 생물에 대한 야외 학습프로그램은 실물 관찰 및 생태적 학습 경험의 제공 측면에서 필수적인 과정에 해당한다. 반면, 야외 탐구활동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본 소양과 해결되어야 하는 선행과제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야외 탐구와 관련된 전문소양을 보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직접 학생들이 생성하고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의사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생 분포로 생태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해안사구 식물을 탐구 대상으로 하는 야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경험이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사례 적용을 통해 확인하였다.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의 동기수준, 과제집착력,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해안사구 식물을 탐구하는 야외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in an Earth Science Teachers' Research Group About Teaching Geologic Field Trip: A Case Study)

  • 전영호;진홍진;최변각;박정웅;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6-69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에 관한 인식과 실행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은대리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에 지도 교사로 참여한 지구과학 교사 4명이다. 자료 수집은 야외 지질 학습 수업 관찰 및 녹화, 학생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 야외 지질 학습 수업 자료 및 학생 보고서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야외 지질 학습 수업 및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 참여 교사들은 대체로 야외 지질 학습의 목적으로 심미적인 측면을 중요시하고 있었고, 실제 연구 참여 교사들의 야외 수업에서 학생들이 과학적 탐구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방법과 전략이 활용되고 있었지만, 각 관찰 지점에서의 제한된 시간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활동보다는 교사의 설명이 더 많은 야외 강의의 측면이 보였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교사 연구 모임과 야외 지질 답사 참가, 대학원 진학 등을 통해 야외 지질 학습 지도를 위한 전문성 개발에 계속적인 노력을 해오고 있었다.

극지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KOPRI's Experiential Field Trip Programs for the Spread of Polar Science Culture)

  • 정찬미;최규리;백은주;백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부각되는 극지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극지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하여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행 극지연구소 견학 프로그램 진단 및 극지연구소 연구·전시 시설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견학 코스를 정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극지연구소 및 극지과학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위한 기본형 견학 프로그램 1종과 선택형 체험 프로그램 1종, 극지과학 분야별 연구 시설 견학 및 전문적 체험 학습 활동이 가능한 수요자별 선택형 견학·체험 프로그램 4종 등 총 6종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2회 시범적용을 통해 수정·보완되었고, 견학 시설별 안내 스크립트와 체험 키트, 활동지 및 강사 가이드를 포함한 견학 프로그램 매뉴얼이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 프로그램의 의의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지질답사 전후 예비 초등 교사의 지질 영역에 대한 지식과 지질답사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 (Changes in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fore and after Geological Field Trips)

  • 이면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84-49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before an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s. Fift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serve the purpos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efore an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of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p<.05). However, participants' self-confidence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changed significantly (p<.01).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both variables in terms of gender (p<.05). An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wo: science track that selected science areas and non-science track with social study selected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in terms of science or non-science track (p<.05). Third, in terms of the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24 pre-service teachers showed an increase, 12 students unchanged, and the 21 participants decreased. In contrast, per participants' self-confidence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fifty three students indicated an increase with only one participant unchanged, and three preservice teachers decreased on the score. Finally,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participants' comments indicated that they could feel the mystery of nature with the mind of a great experience. As a result, data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became interested in geology, and motivated more in learning geological area than ever.

  • PDF

소집단 연결망 구조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해외답사여행을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Small Group Network Change : Focusing on College Student Overseas Field Trip)

  • 양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82-49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해외 답사여행을 수행함에 있어 소집단 사회연결망이 어떻게 존재하고 여행기간동안에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여행의 제반 성과인 답사여행 만족, 학과몰입, 교우관계 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대학생들은 유래 없는 학교적응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대학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과 이에 대한 해결 필요성을 증대시켜주고 있다. 여행은 참가자 집단에게 강한 유대감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같은 맥락으로 학생들의 해외답사여행이 학생집단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가정을 해 볼 수 있다. 해외답사여행에 참여한 3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의미한 소집단 연결망 구조의 존재 여부, 그 변화양상 그리고 관련 변수간의 영향 등을 알아보았다. 첫째로, 대학생 해외답사여행의 소집단 연결망 구조는 학생 집행부 소속 학생들이 연결 중심성의 위치에 있는 등 비교적 명시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둘째로 출발 전과 출발 후에 연결망 구조가 변하였으며 이는 여행기간 중에 참가자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한 것에 기인한다. 셋째로, 소집단 연결망 구조 변화에 따라 연결중심 및 매개중심으로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제반 여행성과 변수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넷째로 답사여행 만족, 학과몰입, 교우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논문 말미에 연구 시사점과 한계점을 포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