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467/JKESS.2007.28.6.686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in an Earth Science Teachers' Research Group About Teaching Geologic Field Trip: A Case Study  

Jun, Young-Ho (Kwang-Sung High School)
Kwon, Hong-J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i, Byeon-Ga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ark, Jeong-Woong (Soong-Moon High School)
Kim, Chan-J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28, no.6, 2007 , pp. 686-69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Earth science teachers' research roup about teaching geologic field trips. Four Earth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included field trip observations,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analysis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students' reports from the field trip. Field trip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video- and audio-taped and transcribed.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 participants focused more on aesthetic objectives for geologic field trip. The participants' instruction tended to show rather teacher-centered explanation due to limited time at each field site though various teaching strategies were used at times to engage students in a scientific inquiry. This group of teachers strived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ability to guide geologic field trip by working with a small study group with colleagues, participating geologic field trips, and enrolling graduate programs.
Keywords
geologic field trip;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ase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찬종,1999,초등 과학교육의 질적 연구. 한국초등과학교 육학회 하계학술 주제발표
2 맹승호,2004,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2 p
3 박정웅,전영호,문지원,김재현,조후자,맹승호,박정희,2001,화산섬 제주의 비밀을 찾아서. 지구과학교육연구회,237 p
4 박진홍,정진우,조규성,이병주,2000,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21(1),13-21
5 전영호,1996,충북 영동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04 p
6 최영산, 2001, 광주 지방의 중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2 p
7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 (6), 325-331   DOI   ScienceOn
8 김찬종,박인선,안희수,오필석,김동영,박영신,2005,지구과학 탐구의 특징을 반영한 탐구 활동의 분석틀 개발 및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26(8),751-758
9 서동욱,2004,야외 지질 학습장의 암석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198 p
10 정남식,1994,야외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개념 변화. 과학교육,352,52-58
11 지호선, 2004, 격포 지역의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4 p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62 p
13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DOI
14 정영미,김효남,2004,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청람과학교육논총,14(1),102-124
15 박진홍,2001,야외 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 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7 p
16 안순호,1994,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79 p
17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강연자, 김수천, 김희란, 2001,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기원 연구보고 RRC 2001-10, 637 p
18 박정웅,전영호,조후자, 이덕만,2000b,지질학 분야의 야외학습을 위한 '경기도 연천-소요산 자연학습장'의 특정과 활용 방안. 한국지구과학회 2000년도 교육심포지엄 및 춘계학술발표회,62-63
19 강지현,2002,야외 학습 모듈을 이용한 제주도 송악산 일대 야외 학습장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42 p
20 박정웅,전영호,김재현,정구송,조후자,이소라,박정희,2000c,시화호로 떠나는 자연사 여행 CD-ROM. 지구과학교육연구회
21 윤성효,장정일,고정선,2005,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 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26(7),611-623   과학기술학회마을
22 조규성,변흥룡,김정빈,2002,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23 권홍진,김찬종,2007,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28(1),14-2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4 곽영순,2003,질적연구로서 과학수업비평-수업비평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서울,298 p
25 박정웅,전영호,조후자,이덕만,2000a,눈을 돌리면 자연이 보인다-한탄강으로 떠나는 지질 탐사-. 시그마프레스,서울,176 p
26 유재환,2002,충북 단양 지역의 야외 학습장 개발과 이를 적용한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94 p
27 Orion, N. and Hofstein, A., 1991, Factors which influence learning ability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al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1-12
28 Saunders, P., 1999, The teaching behaviors inventory. Western Michigan University. 320 p
29 김찬종,채동현,임채성,1999,과학교육학개론. 북스힐,서울,546 p
30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DOI
31 Munn, B.J., Tracy, .RJ. and Jenks, P.J., 1995,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etrology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381-384   DOI
32 Zeitler, W.R. and Barufaldi, J.P., 1988, Elementary school: A perspective for teachers. Longman, New York, USA, 341 p
33 박정웅,조원주,전영호,맹승호,박창용, 박정희,2002,지질 답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 지구과학교육연구회,100 p
34 김찬종,1996,수업 내용이나 활동에 적합한 과학과 교수학습 모형 선택을 위한 절차 개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논문집,17,143-170
35 박종호,1993,공주 지역 야외 지질 실습 자료 개발 및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67 p
36 Frodeman, R, 1995, Geological reasoning: Geology as an interpretive and historical scienc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 (8), 960-968   DOI   ScienceOn
37 Eggen, P.D. and Kauchak, D.P., 1996, Strategies for teachers: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 (3rd ed.). Allyn and Bacon, Boston, USA, 355 p
38 교육부,1997,제 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101 p
39 이창진,정상원,2005,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 지질 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26(1),41-57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