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onstructing 3-year-old classroom with role play areas based on field-trips  

Suh, Hye Jeong (제주한라대학 유아교육과)
Han, Ye Hee (제주관광대학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6, no.2, 2010 , pp. 83-1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sights that teachers has learned through developing preschooler's classroom into field-trip-oriented ones with role play areas.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included videos, photos, teachers' journal, descriptiv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cords. The whole process of organizing role-play oriented class was composed of four steps: activities before the trip, activities on-the-spot, activities after the trip, and its evaluation. Firstly, activities before the trip were making the lists of questions, deciding children who ask the questions, making rules on the trip,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e trip. Secondly, on-the-spot activities included having a tour of the place and asking the questions. Thirdly, activities after the trip was constructing the classroom into small real world with various sections. This required the teachers to reflect the field trips, make plans how to construct, prepare for the data, and furnish the classroom with role-play areas. In the process of furnishing the classroom with small real world, the field trips played a big role as the learning opportunities for language development, and keeping public rules.
Keywords
field trips; role play areas; constructing; 3-year-old classroo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인구, 현은자 (1995). 극놀이 영역의 환경구성 및 교사의 역할이 유아의 문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16(1), 167-181.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치원 지도서 1(총론). 서울: (주)두산.
3 구광현 (2000). 구성주의적 접근과 유아교육. 인문과학연구, 8, 242-258.
4 김남희. (2001). 현장학습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옥, 홍혜경 (2003). 유아를 위한 견학활동: 생활주제에 의한 현장 학습. 서울: 창지사.
6 도미라. (2000). 유아교육기관의 현장견학지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백정미. (2002). 유치원 현장학습의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혜정, 한애희 (2006). 신임교사로서의 첫 출발. 서울: 파란마음.
9 신유림, 김선영, 김숙이, 나종혜, 문혁준, 박진옥, 서소정, 신혜영, 신혜원, 유경애, 이미란, 조혜정 (2007). 놀이지도. 서울: 창지사.
10 오주연. (1999). 유아교육기관의 박물관 활용 프로그램 모형 개발-국악박물관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유구종 (2003). 21C 유아 교재.교구연구. 서울: 창지사.
12 유혜령 (2001). 유아의 역할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현상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1(3), 55-79.
13 이기숙 (1994). 개정판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14 이기숙, 이경미, 김순환 (1998). 효과적인 극놀이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2), 21-50.
15 이숙재 (2001).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재. 서울: 창지사.
16 이영석, 이해숙 (1998). 통합적 극놀이 환경구성이 유아의 인지적 놀이행동, 사회적 놀이행동, 비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1), 47-76.
17 이은상, 임영심 (1995). 유아를 위한 통합적 문학 활동 교수 모형의 효과(이야기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김영숙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 261-293.
18 이은화, 조운주, 곽아정, 최일선, 이두현 (1998). 사회극놀이의 활성화를 위한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 15, 209-230.
19 전해철. (2004). 유아교육기관의 현장학습 효율성을 위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하미헌. (2001). 유아교육기관의 현장견학에 관한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인식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하정희, 성은영, 이혜경 (2005). 역할놀이의 연령별 특생 탐색. 영유아교육연구, 8, 219-240.
22 Branscombe, Castle, Dorsey, Surbeck, Tayer (2005). Early childhood curriculu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구성주의 유아교육과정(강현석, 임재택, 이민정, 유경 숙, 장영숙, 정정희, 황윤세, 이자헌, 도선미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3).
23 Brooks, J. G. & Brooks, M. G. (2005).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 구성주의 교수․학습론(4쇄)(추병완, 최근순 옮김). 백의(원판 1993).
24 Cartwright, S., Aronson, Susan, S. S., Stacey, S., & Winbush, O. (2001). Field Trips. Beginnings Workshop.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139, 39-58.
25 Creswell, J. W. (200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 학지사(원판 1998).
26 DeVries, R., Zan, B., Hildebrandt, C., Edmiaston, R., & Sales C. (2007). Developing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curriculum, 구성주의 유아교육교 수법(곽향림, 허미화, 김선영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2002).
27 Golden, L. (1973). Occupational Awareness through Dramatic Play: A Curriculum Guide for Primary Grade: Parts 1 and 2. ERIC ED 106669.
28 McGee, L. M. & Richgels, D. J. (2000). Literacy's beginnings, 영유아의 문해발달 및 교육(김명순, 신유림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6).
29 Matthews, K. (2002). Building a Community of Experience. Young Children. 57(6), 86-89.
30 Morrow, L. M., & Rand, M. (1991). Prepar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o promote literacy during play. In J. F. Christie(Eds.), Play and early literacy development(pp.3-25).N. Y:Albany.
31 Neuman, S. B., & Roskos, K. (1991).The influence of literacy-enriched play centers on preschoolers'conceptions of the functions of print. In J. F. C hristie(Eds.), play and early literacy development(pp. 167-187). N. Y:Albany.
32 Parsons, C. (1995). Field Trips Can Enhance Family Involvement.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23(4), 16-18.
33 Scarce, R. (1997). Field trip as short-term experiential education. Teaching Sociology, 25(3), 219-226. EJ580667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