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Feed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 of feeding fermented soybean meal on broiler chickens' performance: a meta-analysis

  • Irawan, Agung;Ratriyanto, Adi;Respati, Adib Norma;Ningsih, Niati;Fitriastuti, Rahma;Suprayogi, Wara Pratitis Sabar;Hadi, Rendi Fathoni;Setyono, Wahyu;Akhirini, Novi;Jayanegara, Anuraga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881-1891
    • /
    • 2022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FSBM) on broiler chickens' performance by employing a meta-analysis approach. Methods: A total of 16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database after being systematically selected using a PRISMA protocol. Hedges' g effect size was used to quantify poole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using random-effects models at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 Publication bias among studies was computed with Egger's test and visualized using funnel plot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FSBM inclusion increased final body weight (BW) (SMD = 0.586, 95% CI: 0.221 to 0.951, p = 0.002) of broiler chickens, particularly in starter period (SMD = 0.691, 95% CL: 0.149 to 1.233, p = 0.013) while in the finisher period, the effect was weaker (SMD = 0.509, 95% CI: 0.015 to 1.004, p = 0.043). Average daily gain (ADG), feed intake (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not affected with FSBM inclusion when compared to control.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FI increased in starter period (SMD = 0.582, 95% CI: 0.037 to 1.128, p = 0.036). When considering types of microorganism as moderating variables in the subgroup analysis, we found that Aspergillus oryzae, mixed probiotics+bromelain protease,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bacteria significantly increased ADG and FI (p<0.01). Additionally, either Bacillus subtilis+protease or Bacillus subtilis alone decreased FCR (p<0.001). However,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vels of FSBM inclusion had no effects on final BW (p = 0.502), ADG (p = 0.588), FI (p = 0.861), and FCR (p = 0.462). Conclusion: Substituting SBM in broiler chickens' diet with FSBM improved BW of broiler chickens, especially in the starter period whereas the effects on ADG, FI, and FCR were mostly dependent on microbial strains used for fermentation.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사료자원이 흰쥐의 성장과 사료효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 RESOURCE FROM FOOD WASTE ON GROWTH AND FEED CONVERSION OF RAT)

  • 정기환;장기호;박영준;홍영송;신형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2호
    • /
    • pp.65-71
    • /
    • 1999
  • 본 연구는 잔반을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Aspergillus와 Bacillus가 주요 미생물인 접종물을 이용하여 50kg 용량의 발효장치에서 발효시킨 잔반사료의 사료적 가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 흰쥐사료와 10% 및 20% 대체하여 처리당 세번 반복 반복당 4마리씩 총 36마리의 흰쥐를 완전임의 배치법에 의하여 배치한 후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소화율을 측정하였다. 발효전 잔반의 조성분 함량은 건물 19.0%. 조회분 18.0%, 조단백질 21.7%, 조섬유 18.1% 및 조지방 15.4%였고 제조된 잔반사료의 화학적 조성은 건물 88.5%. 조회분 13.0%, 조단백질 20.8%, 조섬유 13.6% 및 조지방 9.2% 였다. 생체중은 실험 개시 1주 후에는 잔반사료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으나(p<.05), 2주 및 3주 후에는 20% 대체구가 대조구 및 10% 대체구에 비하여 약 82%의 생체중을 나타냈다(p<.05).증체량은 실험개시 후1주 동안 10% 및 20% 대체구가 대조구보다 각각 27.5%와 47.3% 낮은 증체량을 나타냈으며(p<.05), 1주에서 2주 사이에는 10% 대체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나(p<.05), 2주에서 3주 사이에는 20% 대체구의 증체량이 다른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5). 총 증체량은 대조구와 10% 대체구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대체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약 24% 낮은 증체량을 나타냈다(p<.05). 사료 섭취량은 실험 후 1주 동안은 대조구에 비하여 20% 대체구가 낮았으나(p<.05), 2주에서 3주 동안에는 잔반사료 대체수준이 높을수록 사료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p<.05), 총 사료 섭취량은 잔반사료 20% 대체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5). 사료 요구율은 처음 1주 동안은 잔반사료 대체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나(p<.05), 실험후 2주 및 3주째 까지는 20% 대체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p<.05). 실험사료의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와 잔반사료 10% 대체구에 비하여 20% 대체구가 낮게 나타났으며 (p<.05), 유기물 소화율(%)은 대조구가 잔반사료 20% 대체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5).

  • PDF

Effects of a Dietary Fermented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By-Product Diet on Pork Meat Quality in Growing-Fattening Berkshire Pigs

  • Chu, Gyo-Moon;Kang, Suk-Nam;Yang, Jeong-Mo;Kim, Hoi-Yun;Song, Young-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3호
    • /
    • pp.199-207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by-products on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attening Berkshire pigs. The fermented diet mainly contained 40.0% mushroom by-products, 26.0% rice bran, and 20.0% formula feed and was fermented for 5 d. The basal diet for the control (C) was substituted with 10% (T1), 30% (T2), 50% (T3), and 70% (T4) fermented diet. Warner-Bratzler shear forces (WBSF)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5) in treatments than that in C. The meat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lower (P < 0.05) in treatments than that in C, whereas fat color (redness and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reatments than that in C (P < 0.05). The compositions of palmit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4 than that in C.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LD) and the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meat were not affected by diet type. In conclusion, a diet of fermented mushroom by-products increased pH and backfat color, but decreased cooking loss, WBSF, and meat color of LD in growing-fattening Berkshire pigs.

양어 사료첨가제로서의 유산균 발효 개똥쑥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fermented Artemisia annua L. as a Potential Fish Feed Additive)

  • 이아란;우개민;강수경;한성구;이봉주;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2-660
    • /
    • 2017
  • 최근 양어에서는 전염병, 환경오염, 어분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쑥에서 분리한 L. plantarum SK3494를 이용하여 전통 약초인 개똥쑥을 발효시켜 in vitro 생리활성을 측정하고 어류용 사료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개똥쑥의 발효시 유산균수는 9.38 log10 CFU/ml이며, pH는 4.1로 나타났다. 발효개똥쑥의 항산화활성은 DPPH 측정과 MAC-T 세포 내 과산화물 감소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발효개똥쑥은 어류 병원균인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ichthyoenteri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개똥쑥 발효물은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써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볏짚 발효사료 제조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효과 (The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Pretreatment on Rice Straw Fermentation for Feed)

  • 최윤희;이상복;김명숙;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26-333
    • /
    • 1994
  • 볏짚의 사료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전처리와 섬유소 및 리그닌분해력이 강한 Pleurotus florida 균주로 발효사료를 제조하고 화학성분, 결정도 및 in vitro 소화율을 조사하여 사료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P. florida에 의한 볏짚발효시 hemicellulose, cellulose 및 lignin은 각각 22.5%, 11.4%, 28.1% 감소하였고, $H_2O_2$$H_2O_2(pH\;11.5)$ 전처리 후 발효시에는 4% 이하의 저농도에서 감소가 심하였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cellulose, lignin 등이 감소하였고 아미노산함량은 무처리 볏짚에 비하여 배양 30일 후에 약 28.9% 증가하였으며 4% $H_2O_2$ 전처리 후 발효시는 35.1% 증가하였다. 볏짚 섬유소의 결정도는 $H_2O_2$ 처리 및 P. florida에 의한 발효처리로 감소하였고 $H_2O_2(pH\;11.5)$ 처리시 증가하였으며 $H_2O_2(pH\;11.5)$ 처리 후 수세시의 잔류볏짚의 결정도는 더욱 증가하였고 P. florida에 의한 볏짚배양 30일 후 in vitro 소화율은 17.1% 증가하였으며, $H_2O_2$ 전처리 후 발효시킨 볏짚은 6% 이하의 저농도에서 소화율 상승효과가 있었다.

  • PDF

발효 김치가 흰쥐의 장내 미생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Intestinal Microbiota b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Kimchi in Rats)

  • 안수진;김재영;김인성;비슈누 아디카리;유다윤;김정아;권영민;이상석;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86-995
    • /
    • 2019
  • 장내 미생물은 숙주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단에 의하여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조절된다. 김치는 식이 섬유와 젖산균(LAB)이 풍부한 발효 식품이다. 발효 김치가 장내 미생물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6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흰쥐 45마리를 대상으로 기본 사료(CON), 발효 김치(FK)와 키토산 첨가 발효 김치(CFK)를 각각 4주간 급여 하였다. 체중과 사료 섭취량을 매주 측정하였으며, 미생물 분석은 장내용물 수집 후 pyrosequencing을 통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으로 확인 하였다. FK 및 CFK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사료 효율 및 혈중 triglyceride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은 대조군에 비해 FK와 CFK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비만과 관련된 Firmicutes 미생물이 감소한 반면, 체중 감소와 관련된 Bacteroidetes 미생물이 증가하였다. 젖산균과 체중 감소 관련 박테리아 및 butyrate 생산 박테리아는 대조군에 비해 FK 및 CFK군에서 증가하였다. 발효 김치는 비만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였다.

Aspergillus Oryzae를 이용(利用)한 밀기울단백질(蛋白質)의 질적(質的) 향상(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Improving Protein Quality of Wheat Bran by Fermentation with Aspergillus Oryzae)

  • 계승희;김상순;지규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34-241
    • /
    • 1985
  • 사료(飼料) 단백질(蛋白質)의 질(質)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생물(微生物)을 배양(培養)하여 제조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질적(質的)인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밀기울에 Aspergillus oryzae를 배양(培養)한 발효(醱酵)밀기울을 제조하여 그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과 동시에 쥐 사료(飼料)에 첨가한 후 사육하여 성장률(成長率)과 사료효율을 측정하였으며, NPU, PER 및 NPR과 같은 단백질(蛋白質)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이용성(利用成)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발효(醱酵)밀기울의 제조과정 중에 밀기울건물(乾物)의 절대량이 15% 감소되었다. 2) 발효(醱酵)밀기울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원료인 밀기울에 비해 조(粗)단백질, 조(粗)섬유, 조(粗)회분 및 조(粗)지방은 증가하였고 가용성무실소물(可溶性無室素物)은 감소하였으며 amino-nitrogen과 riboflavin의 함량은 각각 3.6배와 12배씩 현저히 증가되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발효(醱酵)밀기울에서 18.6% 증가 하였다. 3) 쥐의 사료(飼料) 섭취량(攝取量)과 체중(體重) 증가량(增加量)에서는 각 군간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료효율은 모든 FWB군이 50% WB군보다 좋았으나 통계적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4) 대체적으로 모든 FWB군은 50% WB군보다 PER, NPR 및 NPU수치가 높은 경향(傾向)이었는데 그 중(中) 50% FWB군의 NPU 수치는 100% Casein 군과는 거의 유사하고 50% WB군에 비해서는 유의(有意)하게 더 높았다(P< 0.05).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coccus lactis W-44에 의한 감귤발효물의 양식 넙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Fermented by Lactococcus lactis W-44 Isolated from Kimchi on Growth of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민수;문상욱;이영돈;김세재;김영진;이준원;이정희;이정숙;김보연;안종석;안순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4-129
    • /
    • 2007
  • 젖산균을 접종하여 감귤 분쇄액을 발효시켜 얻은 감귤발효물의 어류양식 사료 첨가제로의 가능성을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양식에서 검토하였다. 김치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젖산균 W-44를 분리한 후 16S rDNA 염기서열 분식을 통하여 Lactococcus lactis W-44로 동정하였다. L. lactis W-44를 이용하여 감귤 분쇄액 발효를 수행한 결과, 생리활성이 우수한 무배당체 flavonoids인 naringenin, hesperitin의 함량이 각각 약 10과 6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L. lactis W-44를 이용하여 발효된 감귤발효액을 양식넙치의 사료첨가제로 투여한 결과, 감귤발효액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구의 평균 전장 및 체중 증가율과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0.2% (v/v)의 감귤발효액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넙치의 성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젖산균의 감귤발효산물을 넙치 양식에서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nhanced Production of Phaeodactylum tricornutum (Marine Diatoms) Cultured on a New Medium with Swine Wastewater Fermented by Soil Bacteria

  • Kim, Mi-Kyung;Chang, Mo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2호
    • /
    • pp.1947-1953
    • /
    • 2006
  •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f methods for recycling animal wastewater to provide new bioresources. In the present work, a marine algal culture medium, designated KEP II, was prepared by adding swine waste (3% v/v) fermented by soil bacteria to a dilution of f/2 culture medium (CT). When Phaeodactylum tricornutum was grown in batch culture in KEP II, the cells lasted long at the exponential phase producing the specific growth rate and biomass; the production of total amino acids and secondary metabolites rose up to 5-fold. It also substantially enhanced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hoto system (PS) II of P. tricornutum, greatly increased the level of thylakoid membranes containing PS, and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pyrenoids, including enzymes for $CO_2$ fixation in chloroplasts. KEP II should improve the cost efficiency of industrial mass batch cultures and the value of microalgae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fresh aquaculture feed as well as production of anticancer and antioxidant agents. Specifically, a low-cost medium for growing the diatoms of aquaculture feed will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Grading of Fermented and Dried Cocoa Beans Using Fungal Contamination, Ergosterol Index and Ochratoxin a Production

  • Aroyeun, S.O.;Adegoke, G.O.;Varga, J.;Teren, J.
    • Myco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15-217
    • /
    • 2009
  • Sixty four samples of cocoa beans replicated in quadruplicates were collected from five warehouses from southwest Nigeria and examined for fungal loads, ergosterol and eohratoxin A The levels of all the variables obtained were further used as indices for cocoa grading into food quality, FoQ (erg < 5 mg/kg; OTA < $1{\mu}g$/kg), feed quality, FeQ (erg = $5{\sim}10\;mg$/kg; OTA in the range of $1.1{\sim}3.11{\mu}g$/kg), Screen for mycotoxin, SFM (erg = $10{\sim}20\;mg$/kg; OTA from $3.12{\mu}g$/kg and above) with fuel quality, FuQ having erg > 20 mg/kg and OTA > $6.12{\mu}g$/kg. Using these ergosterol indices, 18.75% of the cocoa beans examined was classified with the FoQ, 18.75% with the FuQ while 31.25% was classified with both the FeQ and the SFM, respectively. In conclusion, ergosterol can be used as a rapid index to grade fermented, dried cocoa beans meant for ex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