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Library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2초

음향 DB 구축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 군집화 (Korean Onomatopoeia Clustering for Sound Database)

  • 김명관;신영석;김영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195-1203
    • /
    • 2008
  • 한글 문서에서 의성어는 자연적 혹은 인공적 소리를 인간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대상과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의성어 단어로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음향 도서관구축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말뭉치에서 의성어들의 출현빈도를 구하고, 실험에서 사용할 의성어 100개를 선별하였다. 의성어의 관계를 분류하기 위하여 유사도 및 거리 매트릭스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후에 주성분 분석 방법(PCA)을 사용하여 의성어 특성의 차원을 낮추었으며 의성어들의 관계를 벡터 공간에 표현하였다. 비계층적 클러스터링 방법 들을 비교하여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성어를 분류하였고 분류 결과를 통해 의성어들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었다.

  • PDF

장환형 단일가닥 DNA를 이용한 암세포 성장 억제 유전자 발굴 (Large-Circular Single-stranded Sense and Antisense DNA for Identification of Cancer-Related Genes)

  • 배윤위;문익재;서영배;도경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0-76
    • /
    • 2010
  • The single-stranded large circular (LC)-sense DNA were utilized as probes for DNA chip experiments. The microarray experiment using LC-sense DNA probes foun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A549 cells as compared to WI38VA13 cells, and microarray data were well-correlated with data acquired from quantitative real-time RT-PCR. A 5K LC-sense DNA microarray was prepared, and the repeated experiments and dye swap test showed consistent expression patterns. Subsequent functional analysis using LC-antisense library of overexpressed genes identified several genes involved in A549 cell growth.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proper feature of LC-sense molecules as probe DNA for microarray and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combination of LC-sense microarray and antisense libraries for an effective functional validation of genes.

인공환경 분포방식에 의한 공간크기 인지 변화에 대한 연구 - 대학 캠퍼스 내 공간의 실제크기와 인지크기의 차이를 중심으로 - (Distortion of Spatial Size Perception by the Pattern of Object Distribution - Focused on the Floor-area Estimation of the Spaces in the Campus by Students -)

  • 서경욱
    • KIEAE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75-80
    • /
    • 2014
  •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e the so-called 'feature accumulation theory'. It is the theory describing that people tend to feel the same space with more identifiable objects much larger than that with fewer objects. Applying this theory to our cognition of spatial size, this paper made an experiment. Students were asked that if the lecture room they are sitting becomes a module (module 1), then how large are the questioned spaces in the campus. The result was striking. Through the mental image processing, they answered that the library and the architecture building looks much smaller than they actually are, and more surprisingly the basketball field much more smaller than it really is.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by which people regard the space much larger when there are more occupiable or behavior-causing elements in the space. In the case of basketball field, since there is nothing that can be occupied, this open space is seen as a small space for the subjects. This line of cognitive perception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e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With the same size of given space, we can make it feel more rich and larger.

히스토그램 인터섹션과 오토코릴로그램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시스템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Histogram Intersection and Autocorrelogram)

  • 송석진;김효성;이희봉;남기곤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질의영상을 선택할 때 영상전체 뿐만 아니라 영상내의 다양한 물체에 대해 질의를 원하는 물체영역만을 간단히 선택, 추출하여 그와 유사한 물체를 영상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검색할 수 있는 내용기반 영상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질의영상으로부터 개선된 HSV변환을 통해 히스토그램을 구한 뒤 질의영상의 대표색상을 이용한 컬러 히스토그램 인터섹션방법으로 신속하게 1차 유사도 측정을 하여 후보영상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밴디드 컬러 오토코릴로그램을 이용한 2차 유사도 측정을 수행하여 최종 검색된 영상을 구하였는데 각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2개의 검색방법들을 결합함으로써 소환성(recall) 및 정확성(precision)을 개선하였다. 또한 영상데이터베이스내의 영상들을 특성 라이브러리내에 자통 색인화하여 이를 통해 빠른 영상검색이 가능하였다.

  • PDF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문서범주화에 대한 이론 및 기법 (An Automatic Text Categorization Theories and Techniques for Text Management)

  • 고영중;서정연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2호
    • /
    • pp.19-32
    • /
    • 2002
  • 최근 디지털 도서관이 등장하고 인터넷이 폭 넓게 보급되어 온라인 상에서 얻을 수 있는 텍스트 정보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효율적인 정보 관리 및 검색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 문서 범주화란 문서의 내용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범주에 문서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작업으로써 효율적인 정보 관리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방대한 양의 수작업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서 분류를 위해서는 문서들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자질들을 정하고, 이러한 자질들을 통해 분류할 문서를 색인 과정을 통해 표현한다. 또한, 문서 분류기를 통해 문서를 목적에 맞게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문서 범주화를 수행하기 위한 각 단계를 소개하고 각 수행 단계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법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자동차 부품 품질검사를 위한 비전시스템 개발과 머신러닝 모델 비교 (Development of vision system for quality inspection of automotive parts and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odels)

  • 박영민;정동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09-415
    • /
    • 2022
  • 컴퓨터 비전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영상을 획득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특징 값, 벡터, 영역 등을 알고리즘과 라이브러리 함수를 응용하여 검출한다. 검출된 데이터는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계산되고 분석한다. 컴퓨터 비전은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부품을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품질을 측정하는 분야에 많이 활용된다. 컴퓨터 비전을 산업분야에서 머신비전이라는 용어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제품의 품질을 판정하거나 결과를 예측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의 품질을 판정하기 위한 비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된 데이터에 5개의 머신러닝 분류 모델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ManiFL : 얕은 학습 기반의 더 나은 자연어처리 도구 (ManiFL : A Better Natural-Language-Processing Tool Based On Shallow-Learning)

  • 신준철;김완수;이주상;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11-315
    • /
    • 2021
  • 근래의 자연어처리 분야에서는 잘 만들어진 도구(Library)를 이용하여 생산성 높은 개발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 중에 대다수는 깊은 학습(Deep-Learning, 딥러닝) 기반인데, 이런 모델들은 학습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비싸고, 사용(Run-Time) 속도도 느리다. 이뿐만 아니라 라벨(Label)의 가짓수가 굉장히 많거나, 라벨의 구성이 단어마다 달라질 수 있는 의미분별(동형이의어, 다의어 번호 태깅) 분야에서 딥러닝은 굉장히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들은 오히려 기존의 얕은 학습(Shallow-Learning)기반 모델에서는 없던 것들이지만, 최근의 연구경향에서 딥러닝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멀티스레딩 같은 고급 기능들을 지원하는 얕은 학습 기반 언어모델이 새로이 개발되지 않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과 태깅 모두에서 멀티스레딩을 지원하고, 딥러닝에서 연구된 드롭아웃 기법이 구현된 자연어처리 도구인 혼합 자질 가변 표지기 ManiFL(Manifold Feature Labelling : ManiFL)을 소개한다. 본 논문은 실험을 통해서 ManiFL로 다의어태깅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딥러닝과 CRFsuite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개체명 인식에서도 비교할만한 성능이 나옴을 보였다.

  • PDF

DDC와 KDC의 문학분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literature class in DDC and KDC)

  • 심의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39-69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Belles-letters) class in DDC 19 and literature class in KDC 3.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ection of philosophy and theory of literature in DDC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s including subsection of theory of criticism but KDC didn't subdivide this section. 2. In DDC, the subsections of 'rhetoric in specific languages' and 'rhetoric of specific kinds of composition' in rhetoric section was established and can subdivide according to each languages and subjects. These considerations can be useful as compared with KDC. 3. In DDC, collections or criticism of several literatures in specific forms can be more subdivide according to specific aspects or features dealing with in the collections or criticism by a n.0, pplying Table 3-A when specified more than the literary form. 4. Reviewing a notational rank to be assigned in literatures of specific languages, Latin literature and Classical Greek literature to be ranked in division in DDC was established as subsection in KDC to treat them as literatures of minor languages. 5. The DDC can sometimes a n.0, pply, in literatures of all languages, the notations of Table 3 to be subdivided again as specific kinds of literary forms, but KDC subdivided literary forms as specific kinds of each forms in only Korean, Chinese, Japanese literature. 6. In DDC, even literatures of minor languages are provided with 'the period table for the specific literature' under each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in schedules and these period tables can be a n.0, pplied a n.0, ppropriately, but period numbers in KDC was established in only Korean, Chinese, Japanese literature. 7. The optional use of letter prefixes or special numbers such as 828.99 to distinguish literatures of countries other than the "mother country" which makes the use of period tables feasible, but the KDC can only use to distinguish without the function of dividing a period such as DDC. 8. According to a n.0, pplying Table 3 and 3-A also in literatures of specific languages(810-890), a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a specific literary form in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and a literature or literary form of specific period, in case of a n.0, pplying 'form divisions 08-09', can subdivide again by a specific aspect or feature dealing with in the works when specified. 9. For grasping the rate of subdividing, after selecting several sample-titles in literary field, they classified by DDC and KDC and gave a definite score in accordance with analytic small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e of subdividing in literature class of KDC is proved as less 22.8% than DDC. than DDC.

  • PDF

Copy-Paste 영상 위조의 하이브리드 검출 알고리즘 (Hybrid Detection Algorithm of Copy-Paste Image Forgery)

  • 최용수;;이달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89-395
    • /
    • 2015
  • 디지털이미지는 인터넷환경에서 수많은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디지털 도서관, Stock Image, 개인 사진, 중요정보 등 수많은 응용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이미지는 파일로 되어있어 조작이 매우 쉽다는 치명적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이미지 위조는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의 쉬운 접근성과 높은 기능성 덕분에 심각한 문제들로 부상되고 있다. 복사-이동 위조는 영상의 일부를 복사하고 동일 영상 내의 다른 위치에 붙여넣기 하는 동작은 포함하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위조이다. 복사-붙여넣기 위조를 검출하는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대부분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적, 비시각적 특성에 기반한 위조를 검출하는 방법들이 비교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위의 두 가지 방법이 서로 보환할 수 있는 장점과 단점이 있음을 보였다. 그러므로 시각적, 비시각적 특징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위조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각각의 기술의 단독 사용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더욱이, 복사-복재 영역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위조 검출 기법에 대해 많은 정보들을 제공한다.

초분광 원격탐사의 특성, 처리기법 및 활용 현용 (Current Status of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Principle, Data Process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 김선화;마정림;국민정;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1-369
    • /
    • 2005
  • 이 연구는 새로운 광학원격탐사자료로 대두되고 있는 초분광영상의 기본적 특성과 용어에 관한 정의를 검토하고, 지금까지 초분광영상과 관련된 주요 처리기법 및 활용분야를 광범위하게 검토하여 국내에서 초분광영상 기술의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자료와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항공기 및 위성탑재 센서와 지상용 카메라 등 현존하는 초분광센서의 종류 및 특성을 제시하였다 초분광영상과 관련된 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격탐사와 관련된 주요 국제학술지와 초분광영상 관련 학술발표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선정하여 센서별, 영상처리기법별, 주요 활용분야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현재 항공기 및 위성 탑재 초분광영상 센서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지금까지 초분광영상과 관련된 연구의 주된 부분은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개발된 AVIRIS영상자료를 토대로 하고 있다. 기존의 다중분광영상에 보다 많은 분광밴드를 가진 초분광영상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영상처리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대기보정, 분광혼합분석, 특징추출 등이 초분광영상처리와 관련된 중요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보편적인 초분광영상 처리기술로 자리 잡기까지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초분광영상이 가지고 있는 분광특성 정보를 최대한 이용하기에 적합한 암석 및 광물탐사가 초기의 주된 활용분야였으나, 식물의 물리화학적 정보 추출, 수질, 군용목표물 탐지 등 초분광영상의 활용은 기존의 다중분광영상의 한계를 극복하는 측면에서 확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