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t Study

검색결과 4,806건 처리시간 0.037초

스포츠이벤트 프로세스 관리시스템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Framework of Sports Event Process Management System)

  • 김주학;조선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15-824
    • /
    • 2019
  • 스포츠이벤트의 운영 환경은 크기, 종류, 지역에 따라 다양하고, 단위업무별 업무가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복잡한 이해관계자가 매트릭스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화된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츠이벤트 관리의 개념 및 프로세스의 지침을 제공하는 '표준'을 제안한다. 표준개발을 위해 산업분야 및 활동의 품질경영을 위한 국제 표준 규격인 ISO 9001:2015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을 따라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표준의 구성은 적용범위, 인용표준, 용어와 정의, 조직의 상황, 리더십, 계획수립, 지원, 운용, 성과평가, 개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포츠이벤트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표준은 스포츠이벤트의 형태 또는 규모에 관계없이 스포츠이벤트를 유치하고, 준비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이벤트의 생애주기 단계별 프로세스 관리에 초점을 맞춘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 상호 관련성과 의존성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시스템의 내부자 위협 탐지를 위한 Event Log 타당성 및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lidity and Importance of Event Log for the Detection of Insider Threats to Control System)

  • 김종민;김동민;이동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77-85
    • /
    • 2018
  • 제어시스템은 공공 네트워크와의 통신망 융합에 따라 다양한 루트를 통해 정보유출 및 변조 등의 위협이 제어시스템에서도 그대로 나타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보안에 대한 이슈와 새로운 공격기법에 의한 침해 사례가 다변화됨에 따라서, 단순히 차단 및 확인 등의 학습을 통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보안 시스템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위협에는 대처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현재 제어시스템에서는 이처럼 외부에서 내부로의 위협에 치중하여 보안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보안 접근 권한을 가진 내부자에 의한 보안위협 탐지에 대해서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NSA에서 발표한 "Spotting the Adversary with Windows Event Log Monitoring"의 주요 Event Log 목록을 토대로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어시스템에 내부자 위협탐지를 위한 Event Log의 중요도 여부를 알 수 있었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분야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어시스템 위협분석을 위한 Event Log 상관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ent Log Correlation Analysis for Control System Threat Analysis)

  • 김종민;김민수;이동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5-40
    • /
    • 2017
  • 제어시스템은 공공 네트워크와의 통신망 융합에 따라 다양한 루트를 통해 정보유출 및 변조 등의 위협이 제어시스템에서도 그대로 나타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보안에 대한 이슈와 새로운 공격기법에 의한 침해 사례가 다변화됨에 따라서, 단순히 차단 및 확인 등의 학습을 통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보안 시스템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위협에는 대처하기 힘들어지고 있으며, 보안 접근 권한을 가진 내부자에 의한 보안위협에 대해서도 기존의 보안장비로는 대응하기가 어렵다. 내부자에 의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내부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한 Event Log를 수집하고 분석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어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한 Event Log들을 토대로 상관분석을 통해 Event Log간 요소들의 상관관계의 여부를 알 수 있었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분야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위한 비트맵 인덱스 기반 복합 이벤트 검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lex Event Detection Methods Based on Bitmap Index for Stream data Processing)

  • 박용민;오영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4호
    • /
    • pp.61-68
    • /
    • 2011
  • 이벤트 기반 서비스 기술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이에 대한 반응으로 서비스가 연동되는 기술로, 실시간 기업 환경 구축이나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 구축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이다. 실시간 기업 환경에서 요구되고 있는 기업 내 업무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하여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제공하거나,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에서 상황에 맞게 적시에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기반의 서비스 기술이 요구된다. 최근 이벤트 중심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복합 이벤트 처리(CEP : Complex Event Processing) 방식이 사용된다. 복합 이벤트 처리 방식은 여러 이벤트 소스로부터 발생한 이벤트를 대상으로 이벤트들의 영향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액션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은 어떻게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이벤트(복합 이벤트)를 검출하는가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복합 이벤트를 구성하는 모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아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해 계속적으로 연산을 수행하여 많은 연산과 많은 메모리를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스트림 데이터에서 발생한 모든 이벤트를 처리하지 않고 응용 계층에서 등록한 복합 이벤트를 구성하는 모든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합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하는 기법은 먼저 비트맵 인덱스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발생 유/무를 관리한다. 또한 복합 이벤트 질이의 마지막 이벤트를 트리거 이벤트로 정의하며, 이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통해 이벤트의 발생을 표시한 비트맵 인덱스에 복합 이벤트를 구성하는 모든 이벤트의 발생 유/무를 검사하여 모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실험을 통해 복합 이벤트를 구성하는 이벤트의 검사를 매번 수행하지 않고 모든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연산을 수행함으로 불필요한 연산을 방지하고, 처리하는 이벤트의 수를 감소시켜 연산의 효율성을 증가 시켰다.

빅 데이터 분석정보 공유를 위한 다차원 이벤트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효과 연구 (A Study on Synchronization Effect of A Multi-dimensional Event Database for Big Data Information Sharing)

  • 이춘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43-251
    • /
    • 2017
  •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위해서는 빅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와 유연하게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빅 데이터 분석 정보를 내부 정보시스템과 연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연구는 다차원 이벤트 온톨리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빅 데이터 분석 정보를 이벤트 모형을 사용하여 온톨리지로 표현하고,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또한 OWL-DL 온톨리지로 변환하여 표현하였다. 다차원 이벤트 온톨리지에서 빅 데이터 분석정보들은 차원 계층구조를 통하여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개체들에게 공유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벤트의 하향공유, 상향 공유 및 복합 이벤트 공유로 구분한다. 이들 정보공유 유형별로 빅 데이터 분석 정보의 공유 및 활용 방안들을 제시하였으며, Protege를 사용하여 시험적으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외부의 빅 데이터 분석 정보를 내부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는 방안을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esting Relationship between Treatment and Survival Time with an Intermediate Event

  • Lee, Sung-Im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5호
    • /
    • pp.727-735
    • /
    • 2008
  • Consider a clinical trial in which the main end-point is survival. Suppose after the start of the study an intermediate event occurs which may be influenced by a covariate(or treatment). In many clinical studies the occurrence of an intermediate event may change the survival distribution. This investigation develops two-stage model which, in the first stage, models the effect of covariate on the intermediate event and models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ival time and covariate as well as the intermediate event. In this paper, the two-stage model is presented in order to model intermediate event and a test based on this model is also provided. A numerical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evaluate its overall significance level.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과 유아의 정서성, 정서지식, 사건지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Emotionality, Emotional Knowledge, and Event Knowledge of Preschool Children)

  • 성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9-68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choolers' emotionality, emotional knowledge, event knowledg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sex and ag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Subjects were 116 preschoolers (73 boys and 43 girls; 68 four- and 48 five-year-olds). Results showed that girls were higher in negative emotionality (sadness) than boys. Also, 5-year-old children were higher in emotional knowledge, event knowledge, and forceful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n 4-year-olds. Furthermore, children's event knowled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relevant problem solving strategies, while children's event knowledg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forceful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ese findings provide a preliminary evidence that children's event knowledge may predict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Computer-Aided Decision Analysis for Improvement of System Reliability

  • Ohm, Tai-Won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91-102
    • /
    • 2000
  • Nowadays, every kind of system is changed so complex and enormous, it is necessary to assure system reliability, product liability and safety. Fault tree analysis(FTA) is a reliability/safety design analysis technique which starts from consideration of system failure effect, referred to as “top event”, and proceeds by determining how these can be caused by single or combined lower level failures or events. So in fault tree analysi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combination of events which affect system failure. Minimal cut sets(MCS) and minimal path sets(MPS) are used in this process. FTA-I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which calculates MCS and MPS in terms of Gw-Basic computer language considering Fussell's algorithm. FTA-II computer program which analyzes importance and function cost of VE consists. of five programs as follows : (l) Structural importance of basic event, (2) Structural probability importance of basic event, (3) Structural criticality importance of basic event, (4) Cost-Failure importance of basic event, (5) VE function cost analysis for importance of basic event. In this study, a method of initiation such as failure, function and cost in FTA is suggested, and especially the priority rank which is calculated by computer-aided decision analysis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decision making determining the most important basic event under various conditions. Also the priority rank can be available for the case which selects system component in FMEA analysis.

  • PDF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부모의 정신의학적 문제 (Psychiatric Problems in the Stud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Their Parents)

  • 장혁진;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4호
    • /
    • pp.224-229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hool violence on the mental health of student victims and their parents. Methods : A total of 56 (aged 7-18) student victims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3. They completed a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relationship,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Beck Depression Inventory,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and Parental Bonding Instrument to evaluate psychiatric complications and to understand the emotional bonding between them. Results : The stud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ar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p<.001). The student's high CDI sco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igh level of impact of event (p<.001). In addition, higher level of the student's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understandability of family showed association with lower level of impact of event (p<.01,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sychiatric sequelae of school violence is seriously affected by family support and par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Therefore, more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for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사건'개념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유대인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 Storytelling of Museum's exhibition by applying concept of 'Event' - Focusing on Holocaust Museum -)

  • 이세영;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8-66
    • /
    • 2012
  • In the modern era, perceived as the century of culture, the pure meaning of information in various medium is becoming extinct and the distinction between media and reality being faded away. Such phenomenon is called "simulracre". Gilles Deleuze defines "simulracre" as an event that passes by momentarily. To the modern people, the museum should be sublimated into a space that reflects not only the various surroundings but also education and should be a space that can provide diverse experiences. For museum exhibit communication, storytelling is a method that can meet the need of audience and take one step forward in educational and emotion aspect. Considering such relationship, "event" can be an evidence to build a space by establishing relations with subject and determine the meaning of space. First, characteristics of event and requisite and the theoretical view of storytelling will be examin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event storytelling by selecting Holocaust Museum which attempted a new approach that has dealt with what is important to the Jews: 'holoca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event", not remaining as an abstract term, is being present in Holocaust Museum with a new spatial perspective, and to provide the public with a different set of thinking and exper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