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fraction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6초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BACE1 Inhibitory Compounds from Cirsium maackii Flower

  • Bhatarrai, Grishma;Seong, Su Hui;Jung, Hyun Ah;Choi, Jae Su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326-333
    • /
    • 2019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anti-AD potential of Cirsium maackii flowers. MeOH extract, CH2Cl2, EtOAc, and n-BuOH fraction of this flower notably inhibited BACE1 (IC50 = 76.47 ± 1.66, 22.98 ± 1.45, 8.65 ± 0.63, and 72.47 ± 3.04 ㎍/mL, respectively). β-amyrenone (49.70 mg) (1), lupeol acetate (1.43 g) (2), lupeol (1.22 g) (3), lupenone (23.70 mg) (4), β-sitosterol (1.01 g) (6), and β-sitosterol glucoside (13.00 mg) (7) from CH2Cl2, apigenin (100.20 mg) (8), luteolin (19.00 mg) (9), apigenin 7-O-glucuronide methyl ester (21.30 mg) (14), and tracheloside (53.70 mg) (5) from EtOAc, apigenin 5-O-glucoside (11.00 mg) (10), luteolin 5-O-glucoside (11.00 mg) (11) and apigenin 7-O-glucuronide (91.00 mg) (12) from n-BuOH, and luteolin 7-O-glucuronide (22.00 mg) (13) from H2O fraction were isolated. HPLC showed high levels of 8, 9 and 12 in MeOH extract (33.07 ± 0.07, 31. 44 ± 0.17 and 16.89 ± 0.33 mg/g, respectively), EtOAc (161.01 ± 1.78, 96.93 ± 0.34 and 73.38 ± 0.06 mg/g, respectively), and n-BuOH fraction (32.18 ± 0.33, 44.31 ± 0.32 and 105.94 ± 0.36 mg/g, respectively). Since, 3 and 9 are well-known BACE1 inhibitors, the anti-AD activity of C. maackii flower might be attributable to their presence.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inhibits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SH-SY5Y cells

  • Kim, Min Jeong;Lee, Sanghyun;Kim, Hyun Young;Cho, Eun Ju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1호
    • /
    • pp.119-131
    • /
    • 2021
  • Over-pro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exert oxidative damage on lipids, proteins, and DNA in the human body, which leads to the onse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ellular antioxidant effect of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CJM) against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and nitric oxide (NO) assays, and the molecular mechanisms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H2O2 treatment of SH-SY5Y cells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ROS and NO production compared to H2O2-untreated cells. However, CJM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decreased ROS and NO accumulation in the H2O2-treated SH-SY5Y cells compared to H2O2-treated control cells. Especially, the EtOAc fraction from CJM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effect compared with the other extracts and fractions. Therefore, we further examined the CJM mechanism against oxidative stress using the EtOAc fraction from CJM. The EtOAc fraction up-regulated the expressions of heme oxygenase-1,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and thioredoxin reductase 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JM promotes the activa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which eliminate ROS and NO, and further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ell viability.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 that CJM exhibited an antioxidant activity in H2O2-treated SH-SY5Y cells, and it could be a novel antioxidant ag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D.

괴화, 어성초, 익모초에서 효소 분해에 의한 항산화 활성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by Enzymatic Hydrolysis in Sophora japonica Linne, Houttuynia cordata Thunberg, Leonurus japonicus Houttuyn)

  • 차배천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
    • /
    • 2021
  • Objectives: The enzymatic hydrolysis is one of the processing methods that improve its effectiveness on medicinal herbs. In this research, changes in ingredients and activity by enzymatic hydrolysis were studied. Methods: For this study, a carbohydrate hydrolase such as viscozyme, which converts glycosides to aglycone, was applied to induce constituent changes in Sophora japonica Linne, Houttuynia cordata Thunberg and Leonurus japonicus Houttuyn.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l (DPPH) method, and changes in ingredient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As a result of enzymatic hydrolysis, the content of quercetin was increased from 1.26 mg/g to 29.66 mg/g in Sophora japonica Linne, from 0 mg/g to 0.66 mg/g in Houttuynia cordata Thunberg and from 0.43 mg/g to 0.71 mg/g in Leonurus japonicus Houttuyn. As a result of the antioxidant experimentation, the IC50 of Sophora japonica Linne decreased from 5 ug/ml (MeOH extract) and 9.1 ug/ml (EtOAc fraction) to 3.0 ug/ml, Houttuynia cordata Thunberg decreased from 15.6 ug/ml (MeOH extract) and 13.6 ug/ml (EtOAc fraction) to 11.2 ug/ml, and Leonurus japonicus Houttuyn decreased from 14.4 ug/ml (MeOH extract) and 12.6 ug/ml (EtOAc fraction) to 10.2 ug/ml.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glycoside rutin contained in the three medicinal herbs was changed to quercetin which is the aglycone, by the enzymatic hydrolysis using viscozyme. In terms of antioxidant activity, Sophora japonica Linne showed a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value that closes to the control group butylated hydroxyanisole. Houttuynia cordata Thunberg and Leonurus japonicus Houttuyn showed a minor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국내 유용식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Domestic Plants)

  • 이성규;이은;최무영;임태진;박희준;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0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omestic plants grown in the area of Kangwon-do province. Through the examin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15 plants for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DPPH method, the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Euphorbia humifusa Willd.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ecause of its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15 domestic plan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four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from leaves of P.densiflora, n-Hexane, EtOAc, BuOH and $H_2O$ extracts.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OAc and BuOH extracts were similar or even higher than that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Bfdants (BHA) , suggesting that major fraction for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P. densiflora was th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 PDF

Brukholderia sp. MP-1 에서의 페놀화합물의 분리와 항균활성의 측정 (Isolation and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Low Molecular Phenolic Compounds from Burkholderia sp. MP-1)

  • 마오 쏘피에;김영덕;이승제;김용웅;김인선;심재한;박노동;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95-203
    • /
    • 2006
  • 길항미생물 MP-1은 여러 종의 곰팡이와 효모 및 음식물을 부패시키는 세균 (그람양성 및 음성) 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MP-1의 16S rRNA gene 염기서열은 기존에 밝혀진 Brukholderia sp.의 염기서열과 99-100% 유사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의 항균물질은 에틸아세테이트 (EtOA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으며 EtOAc에 용해된 산성 분획은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컬럼크로마토 그래피 및 HPLC를 사용하여서 정제를 실시 하였다. 최종적으로 Gas chromatographic-mass 스펙트럼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4 종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phenylacetic acid, hydrocinnamic acid, 4-hydroxyphenylacetic acid 및 4-hydroxyphenylacetate methyl ester로 확인 되었다. 각각의 항균 활성물질들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250{\sim}2500ug\;ml^{-1}$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 mm paper disc 에서의 1mg (건물중) 산성 분획의 항균활성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표준혼합용액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 강창수;이민주;박철범;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7-814
    • /
    • 2012
  • 약용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삼백초의 잎과 줄기로부터 유기 용매의 극성에 따른 순차적 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효과와 연관하여 피부의 탄력 및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삼백초 추출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_{50}$은 EtOAc 분획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27.22 ${\mu}g/ml$보다 12.84 ${\mu}g/ml$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_2O_2$에 의해 유도된 HDF 세포사멸($IC_{50}$)에 대하여 삼백초 추출 50 ${\mu}/ml$의 EtOAc 분획에서 89.39%의 가장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n-BuOH 분획에서도 67.98%의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한편 삼백초 추출 분획물은 피부 탄력과 관련있는 fibulin-5 mRNA의 발현율을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에 대한 CAM assay 결과,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은 향후 항산화 활성 및 해독과 관련된 혈관형성 억제의 약재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기작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제주도 자생 노루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억제 효과 (Antioxidant Effects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Pimpinella komarovii Extracts in Jeju Island)

  • 강민철;이주엽;이정아;한종헌;김봉석;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77-82
    • /
    • 2008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자생식물인 노루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으며, 마우스 유래의 melan-a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및 tyrosinas 억제활성을 통하여 유용자원으로서 미백 및 기능성 화장료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노루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 (DPPH 소거활성 $IC_{50}$ 값, $231.8{\mu}g/m{\ell}$ ; superoxide 소거 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_{50}$ 값, 각각 $23.6{\mu}g/m{\ell},\;587.8{\mu}g/m{\ell}$)을 나타내었으며, 순차적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멜라닌 생성 세포인 melan-a 세포에서 노루참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tyrosinase와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노루참나물의 헥산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NO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루참나물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청갓과 청갓김치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Fractions Extracted from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and Their Kimchi)

  • Kim, Jae-I;Park, Jae-Sue;Kim, Woo-Seong;Woo, Kang-Lyung;Jeon, Jung-Tae;Min, Byung-Tae;Cheigh, Hong-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6-290
    • /
    • 2004
  • 동결건조한 청갓과 담금당일 청갓김치, 1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청갓 김치로부터 극성이 다른 용매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고 methanol(MeOH), hexane(C$_{6}$ $H_{14}$), dichlorometane(C $H_2$Cl$_2$), ethyl acetate(EtOAc), butanol(BuOH), water($H_2O$)의 각각의 용매분획별(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에 의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효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청갓과 담금당일 청갓 김치에서 EtOAc와 n-BuOH에서 얻은 분획층이 다른 분획층보다 항상화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 5일간 발효시킨 청갓 김치에서는 C $H_2$Cl$_2$와 EtOAc분획층이 다른 분획층에 비하여 radical scavenger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의 차이는 다양한 재료에 의한 발효공정에 기인된다고 판단된다.

올벚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 및 유효성분 규명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of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ino) Ohwi Leaves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nstituents)

  • 홍혜진;고하나;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7-129
    • /
    • 2019
  • 올벚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에 대하여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독성 없이 76.3%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염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진행한 결과, EtOAc 분획물이 $PGE_2$, $IL-1{\beta}$ 및 IL-6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EtOAc분획물에서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으며 5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ursolic acid (1), prunasin (2), methyl p-coumarate (3), kaempferol (4), astragalin (5). 분리된 compound 1 - 5는 모두 올벚나무 잎에서 처음 분리된 물질이다. 분리된 화합물을 대상으로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compound 4와 5가 NO 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올벚나무 잎은 항염 효과를 갖는 천연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열매로부터 지질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pids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김수연;이대영;서경화;노영덕;김계원;최대성;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103-107
    • /
    • 2012
  •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열매 10.0 kg을 실온에서 70% Et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 분획, n-butyl alcohol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및 octadecyl silica gel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EI/MS, 및 GC/MS 등을 통하여 화합물 1(stigmasterol), 화합물 2(linoleic acid), 화합물 3(${\beta}$-sitosterol), 화합물 4(stigmast-5-en-$3{\beta}$,$7{\beta}$-diol)의 구조를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