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과 뉴질랜드, 싱가포르에서의 분수지도에 관한 고찰 (On Teaching Frac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New Zealand and Singapore)

  • 최창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235-255
    • /
    • 2017
  • This study focuses on the teaching of fraction related to curriculum, introducing time of fraction, the meaning of fractions in textbook, material of teaching of fraction concept, teaching model of introducing time of fraction concept, special cases of teaching fraction and common points of representation of fraction among Korea, New Zealand and Singapore. For this study, Korea's mathematics textbooks(3-1, 3-2, 4-1, 5-1, 6-1) and New National Curriculum Mathematics(3, 4, 5. 6. 7)of New Zealand and New Syllabus Primary Mathematics(2B, 3B, 4A, 4B, 5A, 6A)of Singapore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As a results we will suggest a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urriculum, teaching frac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extbook through a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New Zealand and Singapore.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권미선;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385-4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내용을 단위, 단위 사이의 관계, 표준 단위의 필요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위와 관련하여 제5차 수학 교과서부터 2009 개정 수학 교과서까지 교과서에 제시된 단위의 표현, 단위의 표기, 단위의 종류, 단위의 기본량의 제시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국제단위계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물의 무게를 통해 1kg을 정의하는 방식이 국제단위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교과서에서는 대체적으로 단위 사이의 관계를 글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는 발문과 그림을 통해 그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준 단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임의 단위의 불편함을 통해 표준 단위의 보편성, 편리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나 발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서 들이와 무게의 단위 제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문제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cdot}$적용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cdot}$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 Posing Program o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ttitude and Interest)

  • 송민정;박종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8
    • /
    • 2005
  • 학생들은 학교 수학교육을 통해 획득한 방법으로 여러 수학 문제를 풀고 있지만 문제 해결에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한 학습이 강조되고 있지만 수와 연산 영역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5-가 단계에 적합한 수학 문제 만들기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후, 수학 학업 성취도와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학 학습에 대한 학업 성취도와 태도 및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초등수학과 교수.학습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 남충모;김종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47-51
    • /
    • 2011
  • 정보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는 것이며, 그 기반에는 Computational Thinking(CT)이 있다. 현 초등교육에서는 독립된 정보교과가 없기 때문에, 초등수학과 교수 학습장면분석을 통해 CT의 하위요소 적용 사례를 찾아본다면 CT 활용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CT의 하위사고틀의 관계를 밝히고 문제 해결을 위한 초등수학과 교수 학습의 장면 분석을 통해 CT의 활용을 고찰해 보았다.

  • PDF

초등 5학년 수학영재 학생이 만든 수학문제에 관한 조사.분석 (A Study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thematical Problems Posed by the Mathematically Gifted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임문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701-721
    • /
    • 2013
  • 이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에게 이제까지 학습한 수학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수학 문제를 자유롭게 창의적이고 어려운 수학 문제를 많이 만들어 보게 하였다. 연구의 의도는 5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은 어느 정도 수준의 수학 문제를 만드는지와 다양하고 확산적인 사고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학생들이 만든 수학 문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영역에 걸쳐 다수의 수학 문제를 세련되게 만들었고, 적극적으로 문제 만들기에 임하였다. 이 결과, 학생들은 문제를 만드는 중에 다양하고 확산적 사고 활동이 작용되어 창조성 육성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2009 개정 초등 수학교육과정에서, 수학학습을 통해 창조성을 기르는 것을 큰 목표로 하고 있는바, 다양하고 확산적 사고를 길러주기 위해서는 수학 문제 만들기 학습 지도를 실제 수업에서 항시 실천하는 것이 요망된다.

  • PDF

뉴질랜드 초등학교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ortfolio Assessment in New Zealand Elementary School -Centered on Elementary Mathematics-)

  • 최창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63-80
    • /
    • 2008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의 측면에서 지금까지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기법 중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하여 외국, 특히 뉴질랜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인 포트폴리오의 샘플 및 사례를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제시함으로서 독자들에게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포트 폴리오와의 비교분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몇 가지 시사점을 주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시사점은 뉴질랜드 초등학교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다양한 관점에서 그리고 실생활 전반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었으며 교과서적이고 인위적인 문제가 아닌 실생활의 상황 혹은 맥락을 그대로 여과 없이 다루고 있다는데 그 특정이었으며 언제나 교육과정의 각 영역을 골고루 다루면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상대적으로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전개도 제시에 관한 국제 비교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ets of Solids Presen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서화진;이광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9-220
    • /
    • 2018
  • 전개도는 우리나라 제 1차 교육과정부터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꾸준히 다루어져 온 전통적인 교육내용이며, 주로 입체도형의 성질을 알아보거나 겉넓이를 구하기 위해 지도되어 왔다. 하지만 공간 감각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전개도는 공간 감각을 다루기 위한 매우 적절한 학습 소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개도가 어떻게 지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전개도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화의 향상 측면에서 올바른 전개도를 찾는 활동의 강화, 다양한 각도에서 본 입체도형의 모습 제시, 무늬가 들어간 입체도형의 전개도 활용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School Administrators'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and Comparison to Teachers' Perspectiv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29-347
    • /
    • 2016
  • 본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와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관리자 32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등위식, 척도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결과, 자유기술식 설문에서는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하는 수업,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이 좋은 수학 수업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등위식 설문에서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중영역 중 교육과정 구성이 좋은 수학 수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척도식 설문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수학과 기본 개념 사이의 연계성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은 매우 좋은 수학 수업으로, 계산을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물리적 환경이 잘 조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은 상대적으로 덜 좋은 수학 수업이라는 인식이 드러났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하였다. 하지만 각 요소별로 실시한 t 검정 결과 총 48개 중 20개의 요소에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과 초등 교사와의 인식 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 하수현;방정숙;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1호
    • /
    • pp.67-8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opics, methods, subjects, and mathematical contents of such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2004-2009) were analyzed. A total of 383 papers from 8 professional journals were analyzed with the 4 criteria. First, the frequent research topics included instructional design and methods, learners' perspectives and abilities, and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order. Seco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wice as many as quantitative one. Whereas a survey was the most frequen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ntent analysis and case study were for qualitative methods. Third, research subjects included mainly typical students, specifically fifth and sixth graders. Papers dealing with lower graders or low-achiever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re rare. Lastly, whereas the research on geometry as well as number and operations was active, that of measurement as well as probability and statistics was no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평가문항 개발의 적용과 효과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 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수학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문항이 검토 과정에서 어떻게 수정되는지 그리고 문항을 적용한 결과를 해석하면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문항의 변화 양상은 주로 출제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사용, 수학적 오류의 수정, 보기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었는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좋은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