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ets of Solids Presen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전개도 제시에 관한 국제 비교

  • Received : 2018.04.12
  • Accepted : 2018.05.18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This is a traditional education content that has been consistently handl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ince the first curriculum in Korea. It has been mainly used to find out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igure or to save the surface area.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spatial ability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nets of solids can be a very suitable learning material for dealing with the spatial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nets of solids wer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 and based on the analysis,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nets of solids covered in textbooks of Japan, Singapore, Finland and Hong Kong.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ed the enhancement of activities to find the right nets, the presentation of solid figure from various angles, and the nets of solids with patterns for improvement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전개도는 우리나라 제 1차 교육과정부터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꾸준히 다루어져 온 전통적인 교육내용이며, 주로 입체도형의 성질을 알아보거나 겉넓이를 구하기 위해 지도되어 왔다. 하지만 공간 감각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전개도는 공간 감각을 다루기 위한 매우 적절한 학습 소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개도가 어떻게 지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전개도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화의 향상 측면에서 올바른 전개도를 찾는 활동의 강화, 다양한 각도에서 본 입체도형의 모습 제시, 무늬가 들어간 입체도형의 전개도 활용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2. 교육부 (1992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3. 교육부 (1992b). 산수 5-2. 서울: 국정 교과서 주식회사.
  4. 교육부 (199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8].
  5. 교육부 (1997b). 수학 5-2. 서울: 국정 교과서 주식회사.
  6.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7. 교육부 (2015b). 수학 5-1. 서울: (주) 천재교육.
  8. 교육부 (2015c). 수학 지도서 5-1. 서울: (주) 천재교육.
  9. 교육인적자원부 (200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02].
  10. 교육인적자원부 (2007b). 수학 6-가. 서울: (주) 천재교육.
  11.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 (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6-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김지애 (2012). 공학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인지전략 학습이 전개도 접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교부 (1955). 산수과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 44호.
  14. 문교부 (1969).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 251호 [별책1].
  15. 문교부 (1979).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 424호 [별책1].
  16. 문교부 (1981).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 442호 [별책2].
  17. 문교부 (1983). 산수 5-2. 서울: 국정 교과서 주식회사
  18. 문교부 (1987).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 87-9호.
  19.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PISA 2012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2013-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유경선 (2012). 공간능력과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형학습 과제의 효과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주미 (2018).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 향상과 전이 및 유지를 위한 심적 회전 활동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미진, 이광호(2015). 시선 추적기를 통해 본, 4학년 학생들의 방정식에 대한 관계적 사고 형성 -웹기반 저울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7(3), 391-405.
  23. 이은지 (2017). 전개도 접기 과제의 해결전략 연구: 안구 운동 분석을 활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창홍 (2017). 직육면체의 모든 전개도 탐구에 관한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적용. 교육논총, 37(2), 233-257.
  25. 정영옥 (2017).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에 관한 논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61-194.
  26. 정영우, 김부윤 (2014). 전개도에 관한 교수학적 고찰. 학교수학, 16(2), 285-301.
  27. 조영선, 정영옥 (2012).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 -4,5,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359-388.
  28. 최경숙, 백석윤 (2004). 공간 감각 관련 지도내용 계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8(1), 63-87.
  29. 홍갑주, 이호석 (2015). 초등학교 교과서 겨냥도와 전개도의 고찰 - 역대 교육과정과 외국교과서의 검토를 바탕으로. 학교수학, 17(4), 531-553.
  30. 藤井斉亮.飯高茂 외 40명. (2013a). 新しい算數 4下. 東京: 東京書籍.
  31. 藤井斉亮.飯高茂 외 40명. (2013b). 新しい算數 5下. 東京: 東京書籍.
  32. Ben-Chaim, D., Lappan, G., & Houang, R. T. (1988).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1), 51-71. https://doi.org/10.3102/00028312025001051
  33. Bishop, A. J. (1983). Space and geometry. In R. Lesh, & M. Landau (Eds.), Concepts and processes (pp. 176-203). New York: Academic Press.
  34. Bourgeois, R. D. (1986). Third graders' ability to associate foldout shapes with polyhed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7(3), 222-230. https://doi.org/10.2307/749303
  35. Carter, P., & Russell, K. (2008). Test and Assess Your IQ. London; Philadelphia: Kogan Page Ltd.
  36. Cohen, N. (2003). Curved solids nets. In N. Pateman, B. J. Dougherty, & J. Zillox (Eds.), Proceedings of the 27th PME International Conference, 2, 229-236.
  37. Collars, C., Koay, P. L., Lee, N. H., Ong, B. L., & Tan, C. S. (2014). Shaping maths coursebook 6A,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8. Ekstrom, R. B., French, J. W., Harman, H. H., & Dermen, D. (1976). Manual for kit of factor-referenced cognitive tests.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39. Fennema, E., & Romberg, T. A. (Eds.) (1999). Mathematics Classrooms that Promote Understanding. Mahwah, NJ: Erlbaum. 이광호, 이현숙, 이경미, 윤혜영, 정미혜, 하수현(역) (2011). 이해를 촉진하는 수학교실. 서울: 경문사.
  40. Hegarty, M., & Wallar, D. (2004). A dissociation between mental rotation and perspective-taking spatial abilities. Intelligence 32, 175-191. https://doi.org/10.1016/j.intell.2003.12.001
  41. Kozhevnikov, M., & Hegarty, M. (2001). A dissociation between object manipulation spatial ability and spatial orientation ability. Memory & Cognition, 29(5), 745-756. https://doi.org/10.3758/BF03200477
  42. Kurtulus, A., & Uygan, C. (2010). The effects of Google Sketchup based geometry activities and projects on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of student mathematics teacher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 384-389, https://doi.org/10.1016/j.sbspro.2010.12.169
  43. Lohman, D. F. (1979).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lysis of the correlational literature. Aptitude Research Project of School of Education. Stanford University.
  44.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heurological influence.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8. https://doi.org/10.1037/0033-2909.86.5.889
  45. Meneghetti, C., Borella, E., & Pazzaglia, F. (2016). Mental rotation training: Transfer and maintenance effects on spatial abilities. Psychological Research, 80, 113-127. https://doi.org/10.1007/s00426-014-0644-7
  4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tiacs.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역)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47. Olkun, S. (2003). Making Connections: Improving spatial 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48. Pan Lloyds Publishers (2012a).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5B. Tsuen Wan, N. T.: Pan Lloyds Publishers.
  49. Pan Lloyds Publishers (2012b).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6A. Tsuen Wan, N. T.: Pan Lloyds Publishers.
  50. Pellegrino, J. W., & Kail, R. (1982). Process analyses of spatial aptitude.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 1, 311-365.
  51. Pittalis, M., Christou, C. (2013). Coding and decoding representations of 3D shape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2. 673-689. https://doi.org/10.1016/j.jmathb.2013.08.004
  52.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a). LASKUTAITO in English 4A. WSOY pro., Ltd. 양재욱,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4-1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3.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b). LASKUTAITO in English 4B. WSOY pro., Ltd. 양재욱,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4-2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4.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c). LASKUTAITO in English 5A. WSOY pro., Ltd. 문보람,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5-1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5. Risto, L.,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d). LASKUTAITO in English 6A. WSOY pro., Ltd. 오수현, 도영(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6-1 Korean edition. 서울: 솔빛길출판사.
  56. Tartre, L. A. (1990). Spatial orientation skill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3), 216-229. https://doi.org/10.2307/749375
  57. Wright, V. (2016). Visualisation and analytic strategies for anticipating the folding of nets. Paper Presented at the opening up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roceedings of the 39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Adelaide.
  58. Wright, V., & Smith, K. (2017). Children's schemes for anticipating the validity of nets for solid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9(3), 369-394. https://doi.org/10.1007/s13394-017-0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