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65-74
    • /
    • 2020
  • 이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음악 수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교육용 웹 사이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웹 사이트에 포함된 음악 교육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차 분석은 웹 사이트의 서비스에 관하여, 2차 분석은 디지털 콘텐츠의 유형과 음악 교육 내용에 관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음악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웹 사이트는 에듀넷 티-클리어, 티-셀파, 아이스크림, 인디스쿨이었으며, 각각 웹 사이트의 서비스와 디지털 콘텐츠 유형 및 내용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음악 수업 지원을 위한 주요 기능, 최신 교육과정 내용의 반영 정도, 자료의 체계성, 객관성과 현장성, 타 교과와의 연계성 등이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 음악 수업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음악 수업에서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적시에 활용하는 교사 전문성의 발휘가 필요하며, 둘째, 음악 교육의 본질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음악과 수업 방안 연구 (Teaching Methods of Inclusive Music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Based on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 원초롱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79-102
    • /
    • 2021
  •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음악과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통합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백워드 설계 템플릿 2.0 버전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의 음악과 단원을 개발하였고,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학습 경험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맞춤형 수업의 요소를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목표와 본질적 질문을 제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루브릭과 다른 증거 자료를 제시하였다. 학생의 준비도, 흥미, 학습 유형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WHERETO 모형을 활용하여 7차시의 학습을 계획하였다. 또한 교실의 요소를 유연하게 사용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든 학생의 이해를 강조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하는 맞춤형 수업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하여 통합교육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실현을 위한 음악교육 설계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Social-emotional Learning-Based Music Program Development for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김은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83-10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초등학교 통합학급에 배치된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증진하기 위해 사회정서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음악활동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음악활동을 선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지적장애 아동이 포함된 초등 5-6학년 학급을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실행 가능한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지도안 형식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전문가 집단에게 2회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 정서적 역량 증진을 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음악활동 프로그램의 모형 및 구성과 다양한 활동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통합교육현장에서 음악활동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개발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통합학급 아동들의 사회적, 정서적 역량 증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장애-비장애 아동 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한 초등학교 음악과 통합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for Inclusive Mus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by Linking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 원초롱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69-92
    • /
    • 2022
  •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맞춤형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 및 교육적 요구 분석,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 분석,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세분화된 평가준거 성취기준 설정,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의 음악과 교과서 분석, 음악과 단원의 교육활동 재구성, 맞춤형 음악과 수업 실시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관련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s)

  • 김영주;김정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84
    • /
    • 200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composing a systemic education contents for health by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shown in the guidebook for teachers and the schoolbook for students of all grades in the current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and data were totally 162 copies which were 90 copies of national schoolbook for 1~6 grades and 72 copies of guidebook for teachers used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The standards of selection for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including in each schoolbook were divided into 11 themes using the health care model suggested by Kim, Hwa Joong(1995) in the guidebook for health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hours of health education suggested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were 274 hours and it was 6.2% of the total class of 4,442 hours. Secondly, the contents about health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to 9 subjects of The right livelihood, The wise livelihood, The cheerful livelihood, Korean, Morals, Society,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course etc. Physical education had the most contents about health education and there was nothing in Mathematics, Music and Arts. Thirdly, contents about health of regional society and environmental health were the most of 53 hours(19.3%), and contents about understanding of health were the least of 4 hours(1.4%). Fourthly, contents included equally in every grades were those about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health of home and society, health of regional society and environmental health.

음악 교육 철학적 접근을 통한 제주 음악 교육 방향 고찰 (A Study on Jeju Music Education Direction through Philosophies of Music Education)

  • 고혜영;황경수;양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97-60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음악 교육 관련 철학적 이론들을 정리하고 선진사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도출한 함의 점을 가지고 제주 음악 교육 방향설정을 위한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음악 교육 관련 철학적 이론으로는 실러, 슈타이너, 듀이, 부르디외, 리머, 엘리엇의 주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일, 베네수엘라, 핀란드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에서 교훈 점을 찾아보고 이를 중심으로 한 분석의 틀로 전문가 10인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제주 지역사회의 음악 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해 4가지의 맥락으로 정책제언을 하였다. 음악 교육에 대한 사회인식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시민들의 관용의지 확장유도, 평가보다는 격려와 지지의 표현 확산,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으로의 인식 전환, 초중고 공교육 부문의 음악 교육을 위한 제언에서는 사교육 의존도를 최소화하는 정책 수립, 모든 과목 학습 과정에서 음악사례 응용, 1인1악기 연주 프로그램 운영, 초등학교에 음악과목 전담 강사 채용을 제언하였으며, 평생교육 부문의 음악 교육을 위한 제언에서는 예술부문 평생교육을 위한 교육비의 국가 부담, 마을단위별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연주단체 신설과 운영을, 제도적 측면에서의 정책으로는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 내에 문화예술 분야 중 음악교육 전문직 채용,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내에 문화예술분야 음악부문 정책 자문의원 채용을 제언하였다.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with AI Literacy

  • Jihye Kim;Sun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81-288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AI 리터러시 영역별 목표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음악, 체육과의 목표 연구, 통합예술교육의 목표와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개의 주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학생에게 수업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AI 리터러시 사전/사후 검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수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3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AI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의 학습 평가, 학습 몰입, 학습 만족 연구 (A Research of Learning Assess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Utilizing Rhythm Action Game based on the Smart Device)

  • 곽소정;길태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3-1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음악게임을 활용한 음악 감상 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초등학교 4학년 남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 게임을 활용한 수업이 음악 감상을 한 수업보다 학습평가와 학습몰입도에 있어서 높게 나타났고, 특히 만족도에서는 확연히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도와 학습만족도는 학습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를 학교 정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콘텐츠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정신지체장애인의 음악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MMCP 이론을 활용한 웹기반 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Enhancing Music Cognition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Using MMCP Theory)

  • 권미경;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3-149
    • /
    • 2010
  • 최근 정신지체아들을 위한 음악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그들의 인지적 정의적 결함으로 인해 종래의 일반적인 음악수업 방식만으로는 음악 인지를 발달시키는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MCP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이론에 근거한 정신지체아의 음악인지능력 (음악 동일성, 음악 유목화, 음악 서열화)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를 설계하였다. MMCP 이론은 음악의 본질을 이해시키며 특징음악 (18~19C의 음악) 만을 취급하는 음악이 아닌 모든 민족의 음악문화를 이해하고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음악교육이다. 본 시스템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첫째, 정신지체장애인의 음악적 인지 발달 뿐 아니라 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고양시킬 수 있다. 둘째,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개별화 음악교육이 가능하다. 셋째, 능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음악교육이 가능하다.

  • PDF

예술적 표현의 가치와 인성교육 및 치료의 효과와 적용 (The value of artistic expression and the effect application of human education and therapy)

  • 정길영
    • 교육철학
    • /
    • 제49호
    • /
    • pp.235-27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for solving proble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hese days, our students have so many negative problems in school and society, for example, school violence, group teasing, group outcasts, arrogate teacher's authority, school collapse, dehumanization get soused excessive and such like. We must support to make humanization through a normal art education and art class. Art, music, physical and literature education is a good methods for human education and mental therapy. The best art education is enlightening the children's imagination and curiosity. To enlighten. in art class at the school, teachers must think about enlightening the children's imagination and curiosity. Aesthetic experience includes creative activities and appreciative activities for human formation. The school must expend effort to increase the art class in each week, because students can change positively in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