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measurement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8초

Vidyanusa Mathematic Learning Systems Based on Digital Game by Balanced Design Approach

  • Ramdania, Diena Rauda;Prihatmanto, Ary Setijadi;Kim, Myong Hee;Park, Man-G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03-611
    • /
    • 2016
  • Educational games offer an opportunity to engage and inspire students to take an interest in every subject material in school. The "fun" obtain when playing games become a trigger for the use of games in learning. However, there are doubts whether the players actually learn while they are having fun. Vidyanusa is an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Game being developed by Crayonpedia Education Ecosystem in Indonesia. The learning goal of Vidyanusa is to engag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learning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design the Vidyanusa game material Functions and Relations by using Balanced Design Approach. This approach has three models in succession; the Content Model outlines the purpose of the game, the Task Model maps out the mission, and the Evidence Model outlines student measurement. This paper will then discusses the quality of games produced in term of Usability factor for effective results and objective. The measurement of the game was carried out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9126-1 FDIS about Software Quality Product.

음파위상측정기의 오차 원인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Errors in Sound Wave Phase Meter)

  • 김소희;이기원
    • 센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23-328
    • /
    • 2019
  • Recently, a sound wave phase meter (SWPM) that can directly measure the pressure waveform of sound waves in free space has been reported,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xperimental equipment using this meter is in progress. One of the main advantages of using this meter is that wavelengths can be obtained directly from the crests and troughs of the measured pressure waveforms in space without expensive equipment. However, there are times when the measurement wavelength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wavelength value, and the pressure waveform differs from the actual shap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auses of such errors occurring in SWP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avelength errors occur when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sound waves and the measurement direction of SWPM do not coincide. It has also been found that an error in the pressure waveform is generated when the induction and sound wave signal outputs from the SWPM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produce a composite signal. We have shown that we can develop educational experimental equipment by suggesting ways to reduce such errors.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 고유경;이태화;임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6-294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nurses in the hospital setting an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including an application of conceptual framework, development of scale items, and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In order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as collected from 1,966 nurses who work in twenty eight hospitals nation-wide.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Result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consisted of 4 factors which included competency, attitude, willingness to improve, and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and a total of 17 items. The Four factors explained 63.45% of the total variance, and Cronbach's alpha of the scale was.92. Conclusi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hat is utilized effectivel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Furthermore, it could be used as a sloping stone to assess educational needs of nurses, develop professionalism among nurses, and improve quality of nursing care in the hospital setting.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 민상희;손애리;장사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38-352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대학교육의 학생만족도 영역에 대한 질문을 개발함으로써 학생 만족의 필수 영역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교육수요자 FGI, 교육측정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발된 56문항에 대해서 S대학교 재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 도구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영역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대학의 학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교과 과정 및 수업, 학생 지도, 교육 환경, 학생 지원, 대학생활, 학교이미지, 행정서비스 총 7개 영역과 54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mbach' α 이용한 결과, 전체문항에 대해서는 0.970, 요인별로는 0.70~0.93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GFI 0.830, CFI 0.916, TLI 0.910, RMR 0.047, RMSEA 0.047로 연구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하였다. 집중타당성 검증 결과, 개발된 문항들이 도구의 구성 영역을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는 학생만족도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iveness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electronic games in developing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in the age group 2-5 years

  • Felemban, Bashayer Muhammed;Alqudah, Derar Moham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322-332
    • /
    • 2022
  •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electronic games in developing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in the age group of (2-5) years, using the quasi-experimental approach with one group, and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1)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mple and medium intellectuals enrolled in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at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Center for Day Care in Makkah Al-Mukarramah and were deliberately selec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ers prepared and applied the visual perception scale after ensuring its validity and stability. Three electronic games were also designed and applied to the sample for (17) sessions. The result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ronic games program in developing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in the age group (2-5) years and maintaining this improvement over time. Whe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α = 0.05) between the grades of the group children in the pre and post-measurements on the visual perception skills scale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post-measurement after applying the program, in favor of the post measuremen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α = 0.05) between the grades of the group children in the two post and follow-up measurements on the visual perception skills scale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ollow-up measurement which indicates the long-term impact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s recommend the necessity of activating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various electronic games to develop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mploy them effectively in the educational proces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Epistemological Obstacles in the Learning of Area in Plane Figures)

  • 박은률;백석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05-322
    • /
    • 2010
  •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의 유형은 크게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길이와 넓이 개념 사이의 혼동,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에서 정의하는 방법상의 혼동 때문이며, 둘째,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학생들에게 단위정사각형이 넓이의 기본단위로 인식이 잘 안되기 때문이며, 2 차원적 평면의 개념이 불완전하게 정착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넓이에 대한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 현상의 교정적 지도 방안은 두 속성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고, 측정의 개념으로 넓이를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정렬(array)'의 개념으로 넓이공식을 유도하고, 통합적으로 공식을 적용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 현상의 지도방안은 각 단계를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넓이를 구하고자하는 도형의 소재 및 형태를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넓이에 대한 연속량적 개념을 인식하도록 교수학적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 PDF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mage of Scientists and Perception on the Science-Related Career)

  • 송영욱;최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3-763
    • /
    • 2018
  •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과학자 이미지는 과학학습이나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과학자의 이미지는 주로 그리기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기 분석법은 그리는 것에 제한이 있어 주로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이 갖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이나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분석법을 통해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측정 도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중등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사범대학교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2, 3학년 남학생 79명, 여학생 55명 총 134명이다. 연구결과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는 '능력', '평가', '활동', '정서'의 4개 요소,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자의 '평가', '능력', '활동' 요소에 대한 이미지는 높은 반면에 '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해서는 '힘들다', '전문적이다', '똑똑해야한다', '복잡하다'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들은 '힘들고 어렵다'라고 인식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도전적이고 복잡하다'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 및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가치 연구의 동향 분석: 수학적 가치와 수학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value research : Focused on mathematical values and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 방정숙;김승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609-625
    • /
    • 2019
  • 최근 국제 수학교육에서 가치(values)를 다루는 프로젝트나 연구물이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소개된 것이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Bishop(1996)의 '수학적 가치'와 '수학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통하여 최종 6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프로젝트, 분석 대상, 연구 방법을 기준으로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성과 에이즈에 관한 보건교육 방법별 효과 측정 (Measurement of Effects of Health Educational Methods on Sex and AIDS)

  • 권관우;이경무;김훈수;김정순;정경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1-124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n Sex and AIDS/HIV among young people in Korea. The number of people with HIV amounts to 1,224 as of Sep. 2000, and is increasing continuously,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0). In setting up the policy of health education on Sex and AIDS, the criteria should be the effectiveness. By two-stage cluster sampling, 4,713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19,093 students from 44 middle and high schools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aken the education with three different methods( 〈lecture with slides show〉, 〈lecture without any material〉 and 〈lecture through broadcasting system〉) by the same lecturer with the same contents for about 50 minutes. To compare the effects of education by methods, the tests on the AIDS knowledge, AIDS attitude on AIDS and Sexuality attitudes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implemented three times, that is, ‘before’, ‘right after’ and ‘2 weeks later’ of the education. As to the degrees of change of AIDS knowledge, AIDS attitudes, Sexuality attitudes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education, 〈lecture with slides show〉 was the most effective, 〈lecture without any material〉 was the second and 〈lecture through broadcasting system〉 was the least effective, respectively. In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lecture with slides show〉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and 〈lecture through broadcasting system〉 was the second and 〈lecture without any material〉 was least effective.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lecture with slides show〉 is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al methods on Sex and AIDS than 〈lecture without any material〉 or 〈lecture through broadcasting system〉.

  • PDF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Gender Differenc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고정화;도종훈;송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79-200
    • /
    • 2008
  •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결과 나타난 수학과 성취도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성별에 따라 수학성취도 결과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전체 검사점수(척도점수)의 성차와 문항 정답률의 성차를 통해 연도별, 학교급별, 내용 영역별 특징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남녀 학생 간 성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 문항내용의 심층 분석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성별 성취도 차이의 원인을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