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ersion interaction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6초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unctionalized with PS via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In-Cheol;Park, Min;Kim, Jun-Kyung;Lee, Hyun-Jung;Lee, Moo-S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6호
    • /
    • pp.498-505
    • /
    • 2007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n-situ functionalization with polymer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via emulsion polymerization. Polystyrene-functionalized MWNTs were prepar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styrene monomer, non-ionic surfactant and a cationic coupling agent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 chloride (MATMAC)). This process produced an interesting morphology in which the MWNTs, consisting of bead-string shapes or MWNTs embedded in the beads, when polymer beads were sufficiently large, produced nanohybrid material. This morphology was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tionic coupling agent and the nanotube surface which induced polymerization within the hemimicellar or hemicylindrical structures of surfactant micelles on the surface of the nanotubes. In a solution containing MATMAC alone without surfactant, carbon nanotubes (CNTs) were not well-dispersed, and in a solution containing only surfactant without MATMAC, polymeric beads were synthesized in isolation from CNTs and continued to exist separately. The incorporation of MATMAC and surfactant together enabled large amounts of CNTs (> 0.05 wt%) to be well-dispersed in water and very effectively encapsulated by polymer chains. This method could be applied to other well-dispersed CNT solutions containing amphiphilic molecules, regardless of the type (i.e.,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In this way, the solubility and dispersion of nanotubes could be increased in a solvent or polymer matrix. By enhancing the interfacial adhesion, this method might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d dispersion of nanotubes in a polymer matrix and thus the creation of superior polymer nanocomposites.

Production of Hydrogen and Carbon Nanotubes from Catalytic Decomposition of Methane over Ni:Cu/Alumina Modified Supported Catalysts

  • Hussain, Tajammul;Mazhar, Mohammed;Iqbal, Sarwat;Gul, Sheraz;Hussain, Muzammil;Larachi, Faica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7호
    • /
    • pp.1119-1126
    • /
    • 2007
  • Hydrogen gas and carbon nanotubes along with nanocarbon were produced from commercial natural gas using fixed bed catalyst reactor system. The maximum amount of carbon (491 g/g of catalyst) formation was achieved on 25% Ni, 3% Cu supported catalyst without formation of CO/CO2. Pure carbon nanotubes with length of 308 nm having balloon and horn type shapes were also formed at 673 K. Three sets of catalyst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Ni in the first set, Cu concentration in the second set and doping with K in the third set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tabilization of the catalyst and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and hydrogen by copper and potassium doping. Particle siz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catalyst particles are in the range of 20-35 nm. All the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using powder XRD, SEM/EDX, TPR, CHN, BET and CO-chemisorption. These studies indicate that surface geometry is modified electronically with the formation of different Ni, Cu and K phase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surface reactivity of the catalyst and in turn the Carbon nanotubes/H2 production. The addition of Cu and K enhances the catalyst dispersion with the increase in Ni loadings and maximum dispersion is achieved on 25% Ni: 3% Cu/Al catalyst. Clearly, the effect of particle size coupled with specific surface geometry on the production of hydrogen gas and carbon nanotubes prevails. Addition of K increases the catalyst stability with decrease in carbon formation, due to its interaction with Cu and Ni, masking Ni and Ni:Cu active sites.

Dependence of Barredness of Late-Type Galaxies on Galaxy Properties and Environment

  • 이광호;박창범;이명균;최윤영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75.2-75.2
    • /
    • 2010
  • We investigate the dependence of occurrence of bar in galaxies on galaxy properties and environmen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idered include the large-scale background density and distance to the nearest neighbor galaxy. We use a volume-limited sample of 33,296 galaxies brighter than $M_r$=-19.5+5logh at $0.02{\leqq}z{\leqq}0.05489$, drawn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Data Release 7. We classify the galaxies into early and late types, and identify bars by visual inspection. We find that the fraction of barred galaxies ($f_{bar}$) is 18.2% on average in the case of late-type galaxies, and depends on both u-r color and central velocity dispersion $(\sigma);f_{bar}$ is a monotonically increasing function of u-r color, and has a maximum value at intermediate velocity dispersion (${\sigma}{\simeq}170km\;s^{-1}$). This trend suggests that bars are dominantly hosted by systems having intermediate-mass with no recent interaction or merger history. We also find that $f_{bar}$ does not directly depend on the large-scale background density as its dependence disappears when other physical parameters are fixed. We discover the bar fraction decreases as the separation to the nearest neighbor galaxy becomes smaller than 0.1 times the virial radius of the neighbor regardless of neighbor's morphology.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difficult for bars to be maintained during strong tidal interactions, and that the source for this phenomenon is gravitational and not hydrodynamical.

  • PDF

표면 기능화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체의 분산 및 열전도도 특성 (The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on the Disperisibilities and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Epoxy Composites)

  • 김지원;임현구;김주헌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266-271
    • /
    • 2011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의 우수한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의 열전도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WCNT와 에폭시 수지 복합체를 제작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SWCNT에 카보닐기와 아민기를 도입하여 분산도 향상을 유도하였으며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bisphenol F (DGEBF) 두 종류의 에폭시 레진에 각각의 SWCNT를 첨가하여 제작한 복합체들은 파단면 분석을 통하여 분산 특성을 관찰하였다. 각 복합체의 분산도는 표면 처리를 거치면서 생성된 극성분자와 에폭시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SWCNT를 첨가한 것이 순수한 SWCNT 복합체와 비교하여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SWCNT/에폭시 복합체의 열전도도는 DGEBA와 DGEBF 두 종류의 에폭시에서 산처리한 SWCNT 복합체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란 구조가 실리카 복합소재 내 구조발달 상호계수(αC)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ane Structure on Composite Interaction Parameter (αC)) of Silica Filled Rubber Compounds)

  • 김성민;김광제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411-416
    • /
    • 2014
  • 극성을 띠고있어 응집되는 성향이 카본블랙에 비해 강한 실리카의 분산도는 고무 복합소재의 물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Wolff는 입자간 상호계수(${\alpha}_F$)를 도입하여 충전제간의 구조발달을 최초로 표현하였다. 하지만, 양기능성 실란의 도입에 따라 형성되는 3차원 구조발달은 표현할 수 없었다. 후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Wolff의 표현은 복합소재 내 ${\alpha}_F$를 포함하는 구조발달 상호계수 ${\alpha}_C$로 확장되어 표현되었지만, 실험적으로 이 표현을 증명한 연구는 없었다. 이 논문은 구조발달 상호계수인 ${\alpha}_C$${\alpha}_F$(실리카-실리카간 구조발달 상호계수), ${\alpha}_{FP}$(실리카-실란-고무간 구조발달 상호계수), ${\alpha}_P$(고무-고무간 구조발달 상호계수)로 고려하여 단기능성 및 양기능성 실란으로 처리된 실리카가 함유된 복합소재를 실험에 의해 최초로 표현하였다. 구조가 다른 실란들(PTES, OTES, TESPD, TESPT)을 이용하여 구조발달 상호계수 ${\alpha}_C$를 구성하는 ${\alpha}_F$, ${\alpha}_{FP}$, ${\alpha}_P$의 수치들을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TESPT가 첨가된 복합소재의 ${\alpha}_C$의 값은 1.64이며, 이를 구성하고 있는 ${\alpha}_F$, ${\alpha}_{FP}$, ${\alpha}_P$는 각각 0.99, 0.31, 0.34로 나타났다.

침입종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의 기주식물 선호도, 기생부위 및 위해가능성 (Host plant preference, parasitic site and risk possibility of Cuscuta pentagona Engelm, invasive plant in Korea)

  • 정영호;이재근;이수인;이승연;장래하;이승혁;조규태;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7-296
    • /
    • 2017
  • 이 연구는 완전 기생성 침입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의 기주선호도와 기생부위를 야외현장과 기생유도 실험 통하여 확인하여 이들 식물의 기주다양성을 알아보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미국실새삼의 기생은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와 같은 목본성 식물종(12.1%)의 목질화가 되지 않은 소지나 잎에서도 관찰되었다.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종은 국화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많았고, 과내 차지하는 기주식물종의 비율은 사초과, 마디풀과 그리고 콩과 등의 것에서 높았다. 기생 유도 실험을 통해 미국실새삼은 1종을 제외한 모든 식물에 기생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이 침입식물의 분포의 제한 요인은 분산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주식물의 감염된 부위는 줄기와 잎 두 곳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드물게 잎이나 줄기에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로 12개 과의 기숙식물 45종(12개 과의 초본식물 33종과 목본식물 12종)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중에는 조와 같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야생식물 6종에도 기생하였고,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미국실새삼의 기생으로 식물체가 고사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미국실새삼이 잠재적으로 야생식물에게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궤도간 상호작용의 PMO 이론 (제6보). 트리메틸렌 디라디칼의 헤테로 원자 유사체내에서의 시그마 방향족성 궤도간 상호작용 (PMO Theory of Orbital Interaction (Part 6). Sigma-Aromatic Orbital Interactions in Heteroatom Analogues of Trimethylene Diradical)

  • 이익춘;김호순;최재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8-103
    • /
    • 1985
  • 트리메틸렌 디라디칼의 헤테로원자 유사체에 관한 두 비결합 궤도함수간의 궤도 상호 작용을 MINDO/3 및 STO-3G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트리메틸렌 디라디칼에서 알려진 것 처럼 상당한 시그마 방향족성 안정성이 있는 구조는 준위 순서가 뒤바뀌어 $n_-$$n_+$보다 낮게 나타났다. 고립전자쌍 궤도(LPO)는 vicinal 트란스 $n^{-{\sigma}^*$ 상호작용과 수소결합으로 인한 전하분산에 의해서 안정화 됨을 알았다. 다른 헤테로 원자계인 N과 O에서 O의 LPO기여 $n_O$는 항상 낮은 준위(${\varepsilon}_l$)에 크게 나타나며 N의 LPO기여 $n_N$은 높은 준위(${\varepsilon}_h$)에 크게 나타난다. 즉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n_{\pm}$(lower) = $n_O{\pm}{\lambda}_Nn_N.\;n_{\pm}(higher)\;=\;n_N{\pm}{\lambda}_On_O$. 여기서 ${\lambda}_i$< 1.0

  • PDF

유체 모델을 이용한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와 전자기파 간의 시간 의존적 상호 작용 분석 (Time Dependent Interaction between Electromagnetic Wave an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Using Fluid Model)

  • 김유나;오일영;정인균;홍용준;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857-863
    • /
    • 2014
  • 전자기파와 플라즈마의 상호 작용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플라즈마 주파수와 충돌 주파수이며, 이 둘은 각각 전자 밀도와 전자 온도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이 두 값은 플라즈마 발생기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의존적인 변수이다. 기존의 전파 흡수 특성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적 모형의 부재로 인하여 플라즈마의 시간적/공간적 변화를 간략화하거나, 상수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유체 모델을 도입하여 얻어진 시간 의존적 변수 값을 전자기파감쇠량 계산에 이용함으로써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해석 대상인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는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하여 1차원 분석만으로 플라즈마 분포의 시간적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 주기 내에서 전자 밀도와 전자 온도를 추출하여 마이크로파 입사 시 시간적 흡수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자 밀도와 전자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감쇠량을 계산하여 감쇠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A study on environmental dependence with AGN activity with the SDSS galaxies

  • Kim, Minbae;Choi, Yun-Young;Kim, Sungsoo S.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52.2-52.2
    • /
    • 2013
  • We expl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role of small-scale environment and large-scale environment in triggering nuclear activity of the local galaxies using a volume-limited sample with $M_r$ < -19.5 and 0.02 < z < 0.0685 selected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Data Release 7. The active galactic nuclei (AGN) host sample is composed of Type II AGNs identified with flux ratios of narrow emission lines with S/N > 6 and the central velocity dispersion of the sample galaxies is limited to have a narrow range between 130 < ${\sigma}$ < 200($km\;s^{-1}$), corresponding to 7.4 < $log(M_{BH}/M_{\odot})$ < 8.1 in order to fix the mass of the supermassive black hole at the center of its host galaxy. In this study, we find that the AGN fraction ($f_{AGN}$) of late-type galaxies are larger than of early-type galaxies and that for target galaxy with late-type nearest neighbor, $f_{AGN}$ starts to increase as the target galaxy approaches the virial radius of the nearest neighbor (about a few hundred kpc scale). The latter result may support the idea that the hydrodynamic interaction with the nearest neighbor as well as tidal interaction and merge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iggering the nuclear activity of galaxy. We also find that early-type cluster galaxies show decline of AGN activity compared to ones in lower density regions, whereas the direction of dependence of AGN activity for late-type galaxies is opposite.

  • PDF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꽃 모양 산화아연(FZnO) 복합필름의 제조 및 물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and Flower-like Zinc Oxide (FZnO) Composite Films)

  • 김인수;이호준;김도완;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5-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합성법을 이용하여 항균성과 자외선 차단성이 있는 삼차원 꽃 모양의 구조를 가진 FZnO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FZnO 분말은 E. coli와 S. aureus에 대해 99.9%와 97.8%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제조한 LDPE/FZnO 복합필름에 대한 FTIR 분석과 SEM 분석결과 LDPE/FZnO 복합필름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졌지만, LDPE 매트릭스와 FZnO 분말과의 상호작용은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ZnO 함량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차단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ZnO함량이 증가할수록 E. coli와 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복합필름 내 물성 극대화 및 포장소재로 적용을 위해서는 FZnO 분말과 고분자와의 혼화성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