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Awareness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초

재난에 따른 농촌주민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한 재난대책 방안 (A study on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rural residents)

  • Seo, Eunyoung;Kim, Yeounjung;Lee, Young-Kune;Park, Mir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7-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난을 경험한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재난 후 개인의 변화와 재해인식, 심리적 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농촌주민의 재난대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 집중호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충청남도 청주시에 거주하는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재해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고찰 및 제언을 통해 농촌주민의 재난 후 성장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중학생들의 학교안전교육 실태와 안전분야 지식 및 실천 :「재난안전, 응급처치, 교통안전, 생활안전」 (School safety education status and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safe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aid, disaster safety, traffic safety, and daily life safety」)

  • 이효철;장푸름이;김정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9-14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18 middle school students in J province.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5 questions on the statu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s well as the four school safety education domains of first aid, disaster safety, traffic safety, and daily lif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s. Results: Awareness regarding the top seven standards for school safety and interest in school safety education were both relatively low. Among all the different kinds of safety accidents, those related to school violence(33.8%) and life safety(24.9%) were experienced the most in school. A more pleasant school life and better peer relationships led to interest in school safety(p=.000)(p=.000), awareness regarding the top seven standards for school safety(p=.022)(p=.009), adoption of coping measures(p=.000)(p=.000), and practice(p=.000)(p=.000) in case of safety accidents(p=.000)(p=.000). Conclusion: To increase awareness regarding the seven standards for school safety education and raise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experts and actively utilize them and to prepare systematic and continuous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s.

기숙사생의 안전의식 조사를 통한 재해예방 대책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through Safety Awareness Survey for the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 이명구;최신희;김주미;최윤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2호
    • /
    • pp.37-44
    • /
    • 2016
  • 대학 기숙사생들의 안전의식 수준을 평가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생들 150명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실시의 내용, 효과, 요구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개인별 안전의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험요소의 파악, 위험한 행동, 재난 대응 요령 등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효과는 높았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고요인에 대한 인지도는 높으나 구체적인 대응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재난발생 시 대응방법에 대한 안전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거주 외국인의 재난 시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oreigners in the Country for the Occurrence of Disasters)

  • Koo, Wonhoi;Park, Jinchan;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79-2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대상으로 재난의 경험 여부, 재난발생 시 위험성 및 문제점, 재난대응활동을 위한 서비스의 요구도 등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발생 시 언어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고의 어려움, 신고의 방법을 모른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외국어 가능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재난안전서비스가 필요한 곳에 지속적으로 제공해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어적인 문제와 신고방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보건교사의 자연재난 관리에 대한 심각성인식과 관리핵심수행능력 (Awareness of Severity of Natural Disasters and Nursing Core Competencies in School Health Teachers)

  • 최은희;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4-35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chool health teachers'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natural disasters and nursing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disaster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sked 119 school health teachers to complete structured questionnaires sent by email and mobile phones from Feb to Aug,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predictor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health teachers' core competency was the experience with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Its explanatory power was 14.3%.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a strong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isaster-related education targeting school health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disaster management ability.

Rethinking Disaster Prevention Design: Educating the Public Using Narrative-Based Simulation

  • Kang, Sunwoo;Han, Myeong Ah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2
    • /
    • 2016
  • The vast majority of the disaster prevention design research in Korea has focused on the macro-level interventions such as examining the existing systems and approaches, instituting revised policies, systematically establishing intervention programs,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However, little has focused on systematically challenging individuals' awareness using micro-level intervention. The present paper introduces approaches to micro-level intervention by infusing narrative-based simulation, and further suggests the implications on balancing the approaches of both micro-level and macro-level interventions.

  • PDF

외국인근로자와 유학생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 International Students)

  • 박선아;이재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7-9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ich factors affect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were nationality, status of stay(visa types), place of work, educational background, and Korean proficiency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relevant with only the types of resid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in nationality, status of stay(visa types), region of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place of work, and Korean proficien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types of residence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fety awaren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ionality, status of stay(visa types), place of work, and Korean proficiency in the case of foreign workers. It was analyzed that nationality and status of stay had a negative (-) effect, and the place of work and Korean proficiency had a positive (+) effect.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only the types of residence had a negative (-) effect on safety awareness.

빅데이터 속성이 재난대응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ssessment of Impact of Big Data Attributes to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Process)

  • 민금영;정덕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43
    • /
    • 2013
  • 본 연구는 빅데이터의 구성요소(Volume, Variety, Velocity, Complexity)가 가지는 속성을 정의하여 상황인식에 관한 재난대응 활동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빅데이터가 가지는 속성과 상황인식 간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시각화가 상황인식을 통한 의사결정간의 인과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안전행정부, 소방방재청, 시도 및 시군구 재난관리과를 대상으로 설문 332부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2부를 제외함으로써 32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빅데이터가 가지는 속성 중 누적성, 확장성, 유연성, 실시간성, 분석성, 융합성은 재난관리 담당자의 상황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다양성과 비정형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재난관리 담당자의 상황인식은 재난대응 활동의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시각화는 상황인식과 재난대응 활동의 의사결정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을 통한 산사태 및 사방댐 인식 분석 (A Study on Public Awareness of Landslide and Check Dam Using the Big Data Platform 'Hyean')

  • 박소희;강민정;유송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687-698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을 사용하여 2015년에서 2020년 사이의 산사태와 사방댐에 대한 언론 및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고 방재 분야에서 '혜안'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의 키워드 검색을 사용하여 2015~2020년의 '산사태'와 '사방댐'에 대한 검색 총량 및 시기에 따른 매체별 검색어 출현 횟수, 그리고 긍·부정 추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산사태에 비해 사방댐에 대한 인식이 현저하게 부족하며, 사방댐에 대한 언론보도와 트위터 및 블로그에서 나타나는 대중의 인식 수준 사이에 현저한 괴리가 나타난다. 산사태의 실제 발생 시기에 따라 극명하게 관심이 나타나는 '산사태'와 달리 '사방댐'에 대한 자료는 산사태의 실제 발생 시기와 시기적 연관성이 낮다. 사방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유추되지만 '혜안'으로는 재난 방지책에 대한 정확한 통계적 긍·부정 인식 확인이 어렵다. 결론: 전문가들이 사방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비해 산사태에 대한 효과적인 방지책으로서의 사방댐에 대한 대중인식은 매우 저조하므로 사방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추후 다양한 SNS 플랫폼에 대해 추가적인 빅데이터 조사와 함께 방재사업의 직접적 영향권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현장 설문조사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혜안'을 사용한 방재 분야의 효과적인 인식 파악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지자체/정부적 정책 수립에는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교육기관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Investigation for Establishing the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at Educational Institutions)

  • Park, Soyeon;Koo, Wonhoi;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05-412
    • /
    • 2017
  • 세월호 사고 이후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학교안전사고 예방과 유사시 사고 대처능력 및 재난관리에 대한 의식 제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교육기관의 자체적인 재난관리대책을 강화해야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재난관리 관련 기관의 지원 및 협조에 대한 중요성도 야기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 및 교육청에서 자체적인 역량으로 재난안전사고를 예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기 때문에 지역사회 재난관리 관련 기관의 지원을 통해 재난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기관과 유관기관의 현황 및 협력 체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실질적인 재난 관련 업무 담당자들의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 및 협력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기관과 지역사회 관련기관의 안전협력체계 구축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