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1초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Child Health and Safety for Child Care Teachers)

  • 오가실;심미경;최은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5-14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child health and safety for teachers in child daycare centers. Method: Using a nonequivalent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41 day care staff(N=41) from 12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D-gun in Chung-Na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 program that is appropriate for preventing injuries and protecting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at child daycare centers was developed. Health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for the intervention group for 2 weeks two times. Results: After education session, the mean score of knowledge, self confidence, practice on safety and health in child car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knowledge according to education, and in the degree of practice according to age. Conclusions: The education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was effective in promoting knowledge, self confidence and practice on child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suggest that health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for child care teachers.

  • PDF

보육교사 대상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의 효과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양은영;김일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48-3657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3개 도시, 400명의 보육교사들이며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전 후의 교육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단일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로 실시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9월초부터 10월말까지 이루어졌으며,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의 내용은 영유아 건강관찰, 영유아 응급처치, 영유아 건강문제관리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은 주1회, 3시간씩 3주간 총 9시간으로 이루어졌다.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건강관찰', '영유아 응급처치', '영유아 질병관리'에 있어서의 지식점수는 교육전보다 교육후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를 위한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된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영유아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교육이 보수교육에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AR기반의 스마트케어를 위한 기능성게임 연구 : 영유아 안전교육을 중심으로 (A Research for Functional Game based on AR Smartcare : Focusing on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 정석호;고정운;허설화;경병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5-36
    • /
    • 2019
  • 유아들에게 실외놀이는 신체발달과 정서 발달, 창의성 발달 등의 전인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실외놀이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로 인해 실외놀이를 충분히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아 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기반의 안전교육 AR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였다. 개발하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현장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게임 디자인 단계에서 현직 보육교사로 이루어진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AR시스템을 적용한 기능성게임을 개발하고 교육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유치원 방과후 과정에서 미술특성화활동의 효과 검증 (The Impact of Kindergarten After School Specialized Art Program on Young Children's Art Competence)

  • 김민석;신화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1-150
    • /
    • 2015
  • 본 연구는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이 정책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유아의 내면적 정서정화와 유아의 학습과 지식체계 구축의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는 미술활동을 선정하여 미술특성화활동을 구성하고 현장에 실제적용가능 여부와 유아의 미술활동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40명의 유치원 유아(20명의 실험집단과 20명의 통제집단)를 대상으로 방과후 과정 미술특성화활동과 기존 미술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ANOVA와 반복 측정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유치원 방과후 미술특성화활동의 구성은 방과후 특성화 미술프로그램(교육과학기술부, 2010)의 활동 중 4개 요인 - 조형을 탐색하고 관찰하기, 그리기와 색을 활용하여 완성하기, 만들기와 꾸미기, 예술적 표현 존중하기 - 에 근거한 미술활동 36개를 선정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집단 별 차이분석에서 통제집단에서는 1, 2, 3차 검사의 변화 분석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 유아들의 미술발달수준은 검사 시 마다 현저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셋째, 집단 간 비교 분석에서는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4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방과후 교사의 미술교육의 인식과 방과후 교사 대상의 심층연구 및 방과후 특성화 미술활동 적용 후 학부모의 인식연구를 제안한다.

자녀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의 구조방정식 모형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the Parent Willingness on Child's Software Education)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43-4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가 자녀의 SW교육 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변인을 자녀의 SW 관심도, 부모의 SW정책 인식, SW관련 역량, 자녀의 SW 진로, 자녀에 대한 SW교육 의지로 설정하고 SW교육 경험이 있는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의 SW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은 자녀의 SW 관련 직업을 매개로 SW관련 정책과 SW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고, 자녀의 SW 관심도는 직접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초등학교 저학년 단위학습공간의 다양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우수시설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to Diversify Unit Learning Space for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 Concentrated on the Excellent Educational Facilities -)

  • 천선영;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7-230
    • /
    • 2007
  • The expansion of open education and the 7th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have brought big changes in the school facilities. In response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various plans, such as open classroom, expanded classroom size, and the installation of multi-purpose space, have been attempted. However, such plans have appeared in the form of an open classroom--a uniform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a plan for unit learning space to support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activities for low grade levels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a lot of studies on spac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children and to facilitate free-style learning, and such space is actually applied to a re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of unit learning space for low grade level elementary schools in Korea. From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a more concrete proposal will be suggested to diversify unit learning space for low grade levels.

  • PDF

소인수학급에서 학습태도에 변화를 주는 웹기반 협동수업모델의 설계 (A design of Cooperative Instruction Model based on WWW to improve learning attitude in a small-scale class)

  • 성영훈;이재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54-162
    • /
    • 2002
  • 소인수학급에서는 교육과정의 획일적인 운영으로 인하여 아동들은 점점 학습에 흥미를 잃어가고, 학습활동에도 소극적인 태도로 임하는 문제점이 있다. 협동수업에 관한 WBI 모형들이 많이 연구되고 설계되었지만, 소인수학급의 특성에 맞는 WBI 협동수업 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인수 학급간의 연계를 통해 교사가 수업에 참여하며,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WWW를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 모델인 WIEZ를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현재 WIEZ는 경남지역의 3개 학교를 대상으로 교사들이 이 시스템 내에서 수업을 설계하고 학생들이 모둠을 나누어 참여하는 형식으로 시험 운영 중에 있다.

  • PDF

보육시설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영유아건강관리 교육의 효과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in Child Care Centers)

  • 김일옥;김영혜;박종숙;김신정;오상은;장군자;양은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4-9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s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health care and to measure its effect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 experimental study following a pretest-posttest design model. The subjects were 264 parents who had children aged 0-5 years in 7 rural districts or in the city. The content of this program was child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for health and disease for and emergency care. Parent education was performed by 7 nursing professors in each area, including 2 education sessions. Data were twic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i.e. before the first session and after the second sess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AS software version 9.1. Resul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rents' score will improve after education". Our hypothesis was supported (t=7.30, p=<.0001). We found corelation in occupation and past experience of similar education. The contentment of education was higher than 90%. Conclusion: The systematic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very useful and effective, in raising the level of contentment of subjects. There is the needed for the social opportunity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to be extended and emphasised by public support.

유아 교육 콘텐츠에서 OSMU 성공사례를 통한 캐릭터 디자인 연구 (A Study on Character Design through Successful Cases of OSMU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ntents)

  • 이유섭;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51-457
    • /
    • 2019
  • 콘텐츠 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는 키즈 콘텐츠는 현재의 영유아 교육 열풍을 반영하듯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등하였다. '엔젤 산업'이라 불리며 영유아 콘텐츠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키즈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이다. 본 논문은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형태의 콘텐츠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선정하여 유아 교육용 콘텐츠에서 OSMU의 캐릭터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분석하였으며, 캐릭터 디자인에 대하여 공통적인 성공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캐릭터 디자인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으며, 추가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OSMU를 위한 캐릭터 개발에 기여하고 교육용 콘텐츠의 발전과 다양한 캐릭터 상품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소득 가구 유형별 복지서비스를 통한 생활비 절감효과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Case Study on the Effect of Living Cost Reduction Through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Based on Low-Income Household Types)

  • 김영주;유병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169-18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living cost reduction through social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and to suggest the further ways of saving living cost for low-income households. For the research purpose, low-income household type was divided into three representative groups such as senior household, household with school-aged children, and household with the disabl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case households which live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 in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During March 14~April 10, 2010, each household was interviewed to examine the details of monthly income and expenditure structure and types of welfare services receiving. Although some differences exist among cases, there was a definite living cost reduction effect through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from 12% to 150%. Household with school-aged children required diversified education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children's age. Meanwhile, households including senior and the disabled indicated the necessity of convenient transport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