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검색결과 5,959건 처리시간 0.04초

알래스카 명란의 DPPH, OH, NO의 항산화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2,2-diphenyl-1 Picrylhydroazyl, Hydroxyl Radicals, and Nitric Oxide in Alaska Pollock Roe, with or without Natural Fermented Seasoned)

  • 황지영;장종수;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8-435
    • /
    • 2019
  • 알래스카 산 대구(Gadus chalcogrammus)는 대구과(family Gadidae)의 해산어종이다. 알래스카 명란 원료, 고추장 명란, 발효 명란을 증류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2, 2- diphenyl - 1- picrylhydroazyl (DPPH),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산화질소(NO)의 항산화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철 이온 환원력(FRAP)을 조사하였다. ABTS+ 소거능은 Brand-Williams 등의 방법에 따랐다. 고추장 명란의 증류수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71.9%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소거능은 73.7%였다. 발효 명란의 증류수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78.0%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 소거능은 78.4%였다. 명란 원료의 증류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IC_{50}$)은 각각 11.65 ug/ml과 11.47 ug/ml이었다. 명란 원료, 고추장 명란, 발효 명란의 에탄올 추출물의 OH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70.9%, 79.0, and 80.6%였다. 명란 원료의 증류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NO의 최소 저해 농도 값은 11.45 ug/ml과 11.41 ug/ml였다. 본 연구 결과, 고추장 명란과 발효명란은 원료 명란 보다 높은 DPPH, OH, NO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고추장 명란과 발효 명란은 자연 라디칼 소거능이 있어 식품으로써 항산화 보충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신선초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분리 및 이들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Angelica keiskei Show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 조현우;박종철
    • 생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6-149
    • /
    • 2008
  • From the leaves of Angelica keiskei (Umbelliferae), luteolin, protocatechuic acid, guaijaverin, hyperoside and cynaroside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Luteolin and protocatechuic acid showed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비빔밥) 및 그 재료들의 DPPH 수소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 구성자;조연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주식문화
    • /
    • pp.83-83
    • /
    • 2003
  • Electron donating ability by DPPH and nitrite scavenge were measured in ethanol extracts from raw, simple cooked and seasoned materials of Bibimbab(mixed rice), Korean traditional one-dish meal. Ethanol extracts of raw frugrantedible wild aster show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ies(80.28%) by DPPH. When its seasoned materials were compared with raw and simple cooked materials, it show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ies by DPPH.(중략)

  • PDF

HPLC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방법의 결합에 의한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Measurement of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 from Medicinal Plants Using an On-line HPLC-DPPH Assay)

  • 임도연;표병식;김선민;이경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4-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리 및 분석에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C18 column과 UV 검출기가 장착된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와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되는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방법을 결합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최적화와 유용성 확인을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적용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유용성은 갈근, 건강, 유근피, 모과, 황기 등 5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대조군으로서 ascorbic acid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HPLC-DPPH 동시 측정에 앞서 추출액 중 고형분 함량을 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추출 수율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근, 모과, 유근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7.77%, 4.71%, 4.19%로서 다른 열수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측정법은 실제 활성 성분의 분리 및 분석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 및 시약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기자 추출물의 최적 항산화 추출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for optimum antioxidant extraction condition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extract)

  • 김학윤;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1-46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_1$, 0~80%) 및 추출 시간($X_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mu}g/100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145{\mu}g/100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mu}g/100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 김은진;최주연;유미리;김미영;이상현;이복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7-3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약으로써 이용되었거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식물을 문헌고찰을 통해 40여종(자생식물 26종과 생약식물 14종)을 선발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자생식물인 비수리의 폴리페놀(228.90 mg/g extract)과 플라보노이드 함량(90.15 mg/g extract)이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75.69%)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감나무와 관중의 폴리페놀 함량(감나무 112.98 mg/g extract, 관중 121.46 mg/g extract)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감나무 46.10 mg/g extract, 관중 58.69 mg/g extract)은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DPPH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2.87%와 79.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약식물에서는 삼백초의 총 폴리페놀함량이 194.60 mg/g extract, 애엽이 203.93 mg/g extract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삼백초 66.27%, 애엽 66.22%)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삼백초와 애엽을 제외한 12종류의 생약식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50% 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 다양한 자생식물과 약용식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기능성 탐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연구되지 않은 무수히 많은 식물 소재들이 많아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그 동안 대중화 되어있지 않았던 식물 소재들의 기능성 소재로의 가능성이 새롭게 조명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된 의약품, 미용제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자생식물과 생약식물 중 총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뛰어나게 나타난 몇몇 식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뿌리, 줄기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DDPH Radical 소거 작용 및 항혈전 효과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thrombogenic by the Extract of Sancho (Zanthoxylum Schinilolium))

  • 장미진;우미희;김영호;전도연;이순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5호
    • /
    • pp.386-394
    • /
    • 2005
  • Effects of root, stem and leaf extract of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on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the hepatic microsome of ra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s (APTT) were examined in vitro. The highest inhibition of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was observed by ethyl acetate fraction than that of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the root and stem extracts. The high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as determined in the leaf, the root and the stem in ord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n-butanol fraction and it was similar to the root and the steam extract. It was similar to the inhibition of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2.500mg/mL of ethyl acetate fraction and it was 4.4 fold high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as an antioxidant standar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pendent on the extract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0.125-5.000 mg/mL. The throm-boplastin times were higher than that of n-butanol fraction and it was similar to the root and the steam extracts. The leaf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thrombogenic effect followed by the stem and then the root extract.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s were ependent on the extract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0.100-2.000 mg/mL. Consequently, the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thrombogenic of Z. schinifolium was observed due to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methylene chloride,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leaf extract. (Korean J Nutrition 38(5): 386 - 394, 2005)

추출조건에 따른 진달래 화분의 이화학적 특성 (Extraction Conditions for Rhododendron mucronulatum Pollen)

  • 박난영;정용진;우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3-77
    • /
    • 2007
  • 진달래 화분의 다양한 이용성과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추출조건별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페놀성 화합물과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물보다 80%에탄올이 우수하였으며, 용매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은 용매비가 20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온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은 $45^{\circ}C$에서 347.60 mg%로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은 $25^{\circ}C$에서 67.93%로 높게 나타났다. 추출시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물은 6시간동안 추출한 추출물이 312.63 mg%로 가장 높았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시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바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 횟수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단위당 추출물과 전자공여능은 2회 추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달래 화분의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과 DPPH에 의한 전자공여 활성은 용매비 20배, 추출온도 $25{\sim}45^{\circ}C$, 추출횟수 2회, 추출시간 6시간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로부터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o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 서영완;이희정;김유아;안종웅;이범종;문성기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57-6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선도 물질을 찾기 위한 일환으로 20종의 염생식물의 추출물에 대해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해당화 (Rosa rugosa), 개망초 (Erigeron annus), 냇씀바귀(Ixeris tamagawaensis), 띠 (Imperata cylindrica), 범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의 MeOH 추출물에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해당화(Rosa rugosa), 개망초 (Erigeron annus), 칠면초 (Suaeda japonica), 냇씀바귀 (Ixeris tamagawaensis), 띠 (Imperata cylindrica),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함초(Salicornia herbacea), 해국 (Aster spathulifolius), 범행초 (Tetragonia tetragonoides)의 MeOH 추출물과 CH$_2$Cl$_2$ 추출물에서 각각 peroxynitrite의 소거효과가 관찰되었다. 그 중에서도 해당화 MeOH 추출물의 DPPH 래디칼 소거효과는 100 $\mu\textrm{g}$/$m\ell$ (f.c.) 농도에서 87.51%로 나타났고, peroxynitrite 소거효과는 5 $\mu\textrm{g}$/$m\ell$ 농도에서 표품의 ONOO를 첨가했을 때 97.03%와 SIN-1을 첨가했을 때 98.48%로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화의 peroxynitrite의 효과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penicillamine보다도 우수하며, L-ascorbic acid와 비슷한 효과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홍삼 절편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 of sliced ginseng depending on different drying methods)

  • 박종진;박대희;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1-3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건조 조건에 따른 홍삼 절편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TPC, TFC, DPPH의 경우 65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건조온도를 65도로 고정한 후 0-90분 간 원적외선 건조를 진행했을 때, 60분에 약 10%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TPC는 60-90분, TFC는 60분, DPPH는 75분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홍삼 절편에 원적외선, 열풍, 감압, 동결건조를 60분 간 처리한 후 비교했을 때, TPC와 TFC는 감압 및 원적외선 건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DPPH의 경우 열풍건조를 했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건조 방법에 따른 홍삼 절편의 색도를 비교하였을 때, L, a, b 값은 원적외선, 열풍, 감압 건조 시 감소하였고, 동결 건조 시에는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