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 rats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초

한약 처방 25종에 대한 항염증 효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25 Herbal Formulas on Anti-Inflammatory Effect)

  • 이진아;하혜경;정다영;이호영;이준경;황대선;신현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1-111
    • /
    • 2010
  • Purpose: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efficacy for herbal formulas of high frequency, it was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many studies, plantderived anti-inflammatory efficaci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potential inhibitory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l formulas of high frequency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ethods: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in 25 herbal formula extracts in vitro and in vivo.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vitro model, using LPS-stimulated macrophages, RAW 264.7 cell line. The productions of nitric oxide(NO), prostaglandin(PG)$E_2$, interleukin(IL)-6 and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 were examined in RAW 264.7 cells, in the presence of the herbal formulas. RAW 264.7 cells were incubated with LPS $1\;{\mu}g/mL$ and herbal formulas for 18 hours. As an in vivo, using a rat model of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The paw volume was measured at 2 and 4 hours following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in rats. Results: 8 kinds of herbal formula inhibited NO production by LPS-stimulated in some concentration, but the effect of NO inhibition is weak. 12 kinds of herbal formula inhibited $PGE_2$ production by LPS-stimulated over the 30%. Among them Gumiganghwal-tang, Sagunja-tang, Samchulkunbi-tang, Insampaedok-san and Hwangryunhaedok-tang inhibited IL-6 production by LPS-stimulated but TNF-$\alpha$ was not inhibited. 12 kinds of herbal formula reduced the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in rats. Particularly, 3 kinds of herbal formula(Gumiganghwal-tang, Ssanghwa-tang and Soshiho-tang) were better than indomethac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umiganghwal-tang, Sangunja-tang, Samchulkunbi-tang, Insampaedok-san and Hwangryunhaedok-tang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청폐사간탕(淸肺瀉肝湯)이 $CCl_4$로 유발(誘發)된 휜쥐의 간손상(肝損傷)에 마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Chungpyesagan-tang on the Recovery of Liver Function in Rat Injured by $CCl_4$)

  • 신미란;허운영;김달래;전종원;김정열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0-141
    • /
    • 2005
  • 1.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ungpyesagan-tang on the $CCI_4-induced$ Liver Damage in Rats. 2.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devided into 5 experimental groups : Normal, $NS+CCI_4(Solid$ extract of $CCI_4$ injection group after Normal Saline feed), $CP+CCI_4(Solid$ extract of $CCI_4$ injection group after Chungpyesagantang feed), $CCI_4+NS(Nomal$ Saline feed group after $CCI_4$ injection), $CCI_4+CP(Solid$ extract of Chungpyesagantang feed group after $CCI_4$ injection). Biochemical assays for serum enzyme activities such as AST, ALT, ALP, BUN, Creatinine, Uric Acid,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and mRNA Revelation of Cytochrome p450 and activities such as LPO(Lipid Peroxidation), GSH(Glutathione), GST(Glutathione-S- Transferase),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 Peroxidase, SOD(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Hydroxyproline, and ${\beta}-Glucuronidase$ were performed. 3. Results 1) $CP+CCI_4$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lation of Cytochrome p450 than $NS+CCI_4$. 2) As to LPO Hydroxyproline, $CCI_4+C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tivity than $CCI_4+NS$. 3) As to GSH GST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CP+CCI_4$ showed higher activity than $NS+CCI_4$, $CCI_4+C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CCI_4+NS$. 4) As to Glutathione Reductase SOD, $CCI_4+C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CCI_4+NS$. 5) As to ${\beta}-Glucuronidase$, $CP+CCI_4$ showed signficantly lower activity than $NS+CCI_4$. 4. Conclusions Chungpyesagantang has the recovering effects on the $CCI_4-induced$ Liver Damage.

  • PDF

담즙산 분비과정에 관여하는 흰쥐 간세포내 소기관에 관한 세포화학적 연구 (A Cytochemical Study on the Vacuolar Apparatus Participating in the Transport of Bile Acids in the Rat Hepatocytes (Cytochemical Study on the Vacuolar Apparatus for Bile Acid Transport))

  • 신영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71-18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dehydrocholic acid를 투여한 흰쥐 간세포의 vacuolar apparatus를 세포화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박절편에서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는 소낭상으로 팽대된 부분이 열지어 있었으며 어떤것은 돌출되어 있었다. 이러한 소낭 모양의 돌출부는 용해소체 표면에서도 관찰되었다. 소포들은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와 용해소채 및 담세관 주위에서 볼 수 있었으며 소포가 담세관에 융합되어 있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들은 dehydrocholic acid 투여 후 20분이 경과된 흰쥐에서 현저하였다. 정상군이나 실험군에서 거의 모든 Golgi 장치의 형성면은 담세관을 향하고 있었다. 박절편에서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와 소낭 모양의 돌출부 및 소포는 가시물질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Osmium은 이들구조에서 심하게 침착되어 있었다. 용해소체와 그 주위에 있는 소포에서는 acid phosphatase 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담세관 주위에 있는 소포에서는 osmium의 침착이나 acid phosphatase 활성이 경하게 나타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증거들로 미루어 소포는 Golgi 장치의 형성면과 용해소체에서 유래되며 이들소포가 담세관에 융합됨으로서 담즙산이 분비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포가 담세관에 접근해 감에 따라 소포의 효소활성은 저하되는 것 같이 보인다.

  • PDF

칼슘 배합 비율에 따른 초석잠의 scopolamine 치매유도 흰쥐에 대한 기억손상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Stachys sieboldii MIQ.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Calcium on Memory Impairment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 최다정;안희영;김영완;김태훈;김만도;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12-818
    • /
    • 2016
  • 본 연구는 칼슘 배합 비율에 따른 초석잠이 scopolamine 치매유도 흰쥐의 기억손상 개선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칼슘 배합 비율별(S, 1CS, 5CS군)로 군을 나누어 Y자 미로와 수중미로를 통한 행동실험을 실시한 결과, Y자 미로 실험에서 5CS군이 N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치를 보이며 공간 인지기능을 개선시켰고, 수중미로 실험 또한 CS군의 escape latency가 감소하여 N군과 유사한 수치를 보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세틸콜린 함량과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CS군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뇌 조직 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을 증가시켜 뇌 신경세포 활성화 효과를 통해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해마를 병리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앞선 결과와 유사하게 손상 정도가 심하여 많은 수의 응축된 신경세포가 관찰된 C군에 비하여 CS군은 응축된 신경세포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신경세포 손상을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칼슘 배합 비율에 따른 초석잠은 scopolamine 치매유도 흰쥐모델에서 기억력, 학습능력 및 인지능력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김치가 흰쥐의 장내 미생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Intestinal Microbiota b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Kimchi in Rats)

  • 안수진;김재영;김인성;비슈누 아디카리;유다윤;김정아;권영민;이상석;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86-995
    • /
    • 2019
  • 장내 미생물은 숙주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단에 의하여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조절된다. 김치는 식이 섬유와 젖산균(LAB)이 풍부한 발효 식품이다. 발효 김치가 장내 미생물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6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흰쥐 45마리를 대상으로 기본 사료(CON), 발효 김치(FK)와 키토산 첨가 발효 김치(CFK)를 각각 4주간 급여 하였다. 체중과 사료 섭취량을 매주 측정하였으며, 미생물 분석은 장내용물 수집 후 pyrosequencing을 통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으로 확인 하였다. FK 및 CFK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사료 효율 및 혈중 triglyceride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은 대조군에 비해 FK와 CFK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비만과 관련된 Firmicutes 미생물이 감소한 반면, 체중 감소와 관련된 Bacteroidetes 미생물이 증가하였다. 젖산균과 체중 감소 관련 박테리아 및 butyrate 생산 박테리아는 대조군에 비해 FK 및 CFK군에서 증가하였다. 발효 김치는 비만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였다.

십전대보탕가미방(十全大補湯加味方)의 창상(創傷) 치유(治癒) 효과(效果) (The Effects of Sibjeondaebotanggamibang on the Treating of Wound)

  • 정훈;이현재;김빛나라;이치호;이은정;허동석;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69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bjeondaebotanggamibang (SJT) on the wound-induced rats. Methods It was observed the effects of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by using of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cells. For the observing on SJT anti-oxidation, it needed to mesure the total amount of polyphenol, DPPH scavenging ability, ABTS scavenging ability and the value of ROS production. In order to observe on the anti-inflammation of SJT, it was mesured the value of No and Cytokine (TNF-${\alpha}$, IL-$1{\beta}$, IL-6). It needed to make a scar (around $2{\times}2cm^2$) on the top of the fascia in the back of the rats and then th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6).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at all, whereas SJ group was orally medicated SJT, Terra group was per-cutaneously applied Terramycin, and SJ+Terra group was both orally medicated SJT and percutaneously applied Terramycin per day for three weeks. The size of wound was measured with Digimatic Caliper and the blood samples (WBC, neutrophil, monocyte, lymphocyte) were analyzed using Minos-ST, which were collected by cardiac puncture. The effect on 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 IL-$1{\beta}$, IL-6), immunological cells in synovial fluid was measured. To measure the wound factor expressed by wounded skin sample, we extracted RNA and to investigate MMP-1,2,9 we used RT-PCR. For performing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we paralyzed the rats by ether, and extracted wounded skin tissues, which were measured by H & E, and monitored on the optical microscope. Results 1.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of SJT was increased concentration-dependantly, and ROS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 $100{\mu}g/ml$). 2.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SJT treated cells ($100{\mu}g/ml$), both TNF-${\alpha}$ and IL-6 in SJT treated cells (1, 10, $100{\mu}g/ml$), and IL-$1{\beta}$ in SJT treated cells (1, $100{\mu}g/ml$). 1. The size of wound was significantly decreasing in SJ group, Terra group, SJ+Terra group. 2. WB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SJ and SJ+Terra group, monocyte in SJ+Terra group. Neutrophil was also reduced in SJ, SJ+Terra group but meaningless. 3. TNF-${\alpha}$ and IL-6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J group, Terra group, SJ+Terra group, and IL-$1{\beta}$ in SJ+Terra group. 4. mRNA expression in MMP-1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SJ group. 5. Collegan production and chronic inflamm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J group, Terra group, SJ+Terra groups. Re-epithelization on the skin in Terra group, SJ+Terra groups was decreased.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in vitro experiment, Sibjeondaebotanggamibang (SJT) has the effects o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By in vivo experiment, SJT has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Moreover, the progress of recovery was found visually, heamatologically, genet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In conclusion, it could be thought that SJT has effect on the treating of wound.

흰 쥐에서 복합 유산균과 다시마가 항비만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Lactic Acid Bacteria and Sea Tangle on Anti-obesity and Gut Microflora in Rats)

  • 유다윤;김정아;김인성;이철영;김성찬;이상석;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21-14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과 다시마가 항비만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8주령의 수컷 흰쥐를 1 cage 당 3 마리씩 4반복하여 처리군 당 12마리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구 기초사료에 고지방사료 처리구는 10% lard를 첨가하고, 여기에 5% 유산균($5{\times}10^8cfu$,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johnsonii,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lactis) 첨가구, 5% 유산균과 10% 다시마를 혼합 첨가한 처리구로 구분하였다. 고지방사료 처리군에 비해 유산균 처리군과 다시마와 유산균 혼합 처리군은 체중과 일당 증체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장내미생물을 pyrosequncing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고지방사료 처리군에 비해 유산균 처리군과 다시마와 유산균 혼합 처리군은 Firmicutes 비율이 감소하고, Bacteroidetes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Firmicutes/Bacteroidetes (F/B) 비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이 두 처리군은 Firmicutes 문에 속하는 비만 관련 미생물 Roseburia, Mollicute, Erysipelotrichi, Oscillibacter가 감소하였고, 반면에 Bacteroidetes 문에 속하는 항비만 관련 미생물 Prevotella, Alistipes, Bacteroides는 증가하였다. 분변 내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 은 다시마와 유산균을 섭취한 처리군에서 butyr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시마와 유산균의 혼합 처리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며 장내 미생물 변화를 유도하고 장내 대사 물질인 butyric acid의 함량을 높이는 것을 시사한다.

알코올성 위염 동물 모델에서 작두콩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anavalia gladiata on Gastric Inflamm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in Rats)

  • 김옥경;남다은;유양희;전우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90-69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두콩 추출물의 투여가 알코올 처리로 유발된 위염 동물모델에서 위 점막 손상, 위액분비, 염증성 인자 발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후 위장 보호 효과의 기능성을 입증시켜 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에서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시킨 그룹에 비하여 위 점막 손상과 출혈이 감소하였음을 관찰하였으며 위 손상면적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위액분비량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알코올성 위염으로 인하여 증가한 위액분비량을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조직의 병리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효과를 관찰한 결과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한 군에서 위 점막조직의 손상과 표면 상피세포의 손실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 250 및 500 mg/kg 투여한 군들에서는 알코올성 위염 그룹과 비교하여 손상이 깊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ARS 양으로 산화적 손상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 500 mg/kg을 투여한 그룹에서 알코올성 위염으로 인하여 증가된 산화적 손상을 대조물질 lansoprazole 30 mg/kg 투여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정도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염증 관련인자인 COX-2와 NF-${\kappa}B$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시킨 시험대조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COX-2와 NF-${\kappa}B$의 발현이 확연히 증가한 반면 대조물질 lansoprazole 30 mg/kg 투여한 그룹에서는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시험대조군에 비해 미비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효과는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 관찰, 산화적 손상 억제, 염증억제효과 등으로 확인한 결과, 알코올성 위염을 억제시켰으며 이는 저용량 보다는 고용량을 섭취하였을 때 그 보호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크릴 분말 및 NaF 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변동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erum Lipid Components and Blood Glucose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in Rats)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강동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8-946
    • /
    • 2017
  • Krill (Euphausia superba)과 NaF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NaF 10 mg을 경구 투여한 BF군, 10%(KF10군), 20%(KF20군), 30%(KF30군)의 krill meal을 첨가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군으로 군당 6마리씩 5가지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체중은 식이의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대조군인 BD군에 비해 NaF를 경구 투여한 BF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는 간에서 BD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고환에서의 무게는 KF10군을 제외한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 폐, 뇌, 신장, 췌장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BD군보다 BF군에서 높았지만,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 농도는 BD군보다 BF군에서 낮았으며 krill meal 함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otal protein은 각 군에서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bumin 농도와 albumin/globulin ratio는 BD군과 BF군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krill meal 섭취 군에서 감소되었다. Globulin 농도는 KF10군, KF20군, KF30군, BD군, BF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krill meal 식이는 NaF 경구 투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Endothelin-1-유도 근수축에 관여하는 부활효소의 활성과 물리치료의 상관성 (The Activity of Protein Kinases on the Endothelin-1-induced Muscle Contraction and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Therapy)

  • 김미선;김일현;황병용;김중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3호
    • /
    • pp.53-59
    • /
    • 2008
  • Purpose: The non-receptor-type protein tyrosine kinase Syk (636 amino acids, 72 kDa) is ubiquitously expressed in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has been widely studied as a regulator and effector of B cell receptor signaling that occurs in processes such as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However, the mechanism relating Syk an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38MAPK) by endothelin-1 (ET-1, 21 amino acids) stimulation in muscle cells, especially in the volume-dependent hypertensive state, remains unclear.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yk and p38MAPK for isometric contraction and enzymatic activity by ET-1 from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and aldosterone-analogue deoxycorticosterone acetate (DOCA) hypertensive state rats (ADHR). Result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HR than in a control group of animals. ET-1 induced isometric contraction and phosphorylation of p38MAPK, which was increased in muscle strips from ADHR. Increased vasoconstriction and phosphorylation of p38MAPK induced by treatment with 30 nM ET-1 were inhibited by the use of 10${\mu}M$ SB203580, an inhibitor of p38MAPK from ADHR. Furthermore, ET-1 induced isometric contraction and phosphorylation of Syk and p38MAPK, which were increased in the aortic smooth muscle cells. Increased tension and phosphorylation of Syk and p38MAPK induced by ET-1 were inhibited by SB203580 from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k activity affects ET-1-induced contraction through p38MAPK in smooth muscle cells and that the same pathway directly or indirectly is associated with volume dependent hypertensi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cardiovascular disease-specialized physical thera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