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mbidium goeringii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춘란(韓國春蘭)과 다른 Cymbidium간의 교배친화성(交配親和性)에 대한 RAPD 분석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on Compatibility of Korean Native Cymbidium goeringii with Other Cymbidium Species)

  • 최지용;소인섭;박천호;곽병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61-363
    • /
    • 1998
  • 온실에서 춘란(春蘭)과 다른 공시 난과식물을 분식(盆植)하고, 인위적인 타가수분을 실시하여 교배친화성을 검정한 결과, 춘란은 자가수분은 물론 Cym. ensifolium, Cym. kanran, Cym. sinense, Cym. sinense for. albo-jucundissimum, Cym. 'Crystal Cherry Angel', Cym. 'Anmitsu Hime'와 교배친화성을 보였으나 Cym. faberi, Cym. aloifolium, Cym. 'Husky Honey', Dendrobium chrysotoxum, Phalaenopsis spp.는 교배친화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APD 분석결과, 춘란과 동일한 염색체수를 가진 Cym. faberi, Cym. aloifolium, Cym. 'Husky Honey'는 교배친화성을 보인 다른 공시 Cymbidium들보다 유전적인 근연관계가 멀었으며, 염색체수가 다른 Dendrobium chrysotoxum와 Phalaenopsis spp.는 상대적인 근연관계가 훨씬 먼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장기간 기내 배양한 춘란(Cymbidium goeringii Lindley) 및 한란(Cymbidium kanran Makino)의 변이 비교 (Variation Analysis of Long-term in vitro Cultured Cymbidium goeringii Lindley and Cymbidium kanran Makino)

  • 류재혁;이효연;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9
    • /
    • 2011
  • 기내 배양된 Cymbidium속 춘란과 한란의 근경을 대상으로 장기배양에 따른 변이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춘란은 총 151개 DNA 밴드 중 40개의 다형성 밴드가 증폭되어 다형성 비율은 26.4%였으며, 한란은 총 155개 밴드 중 56개의 다형성 밴드가 증폭되어 36.1%의 다형성 비율을 나타내었다. 단순일치 계수(simple-matching coefficient)를 사용하여 유전적 유사도 지수를 분석한 결과, 춘란의 개체간의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825~1.00 사이로 평균 0.944였다. 한란의 개체간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812~1.00 사이로 평균 0.913이었다. 군집분석결과 춘란은 유전적 유사도 지수 0.841과 0.837에서 1개의 그룹과 유집되지 않는 2개체로 나누어졌으며 한란보다 단순하게 유집되었다. 이와 같이 생장조절제가 첨가된 기내 배지에서 장기간 배양된 Cymbidium 근경은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냈으며, 유전적 유사지수도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추후 여러 가지 변이원을 이용한 자원식물개발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ymbidium goeringii 종자의 in vitro 에서의 발아에 관한 기초적 연구 (Study on Germination of Seed and Growth of Rhizome in Cymbidium goerinii in vitro)

  • 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5-241
    • /
    • 1989
  •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s orthogonaL modia and the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for seed matura-tion and growth of rhizome from Cymbidium goeringii Germination waswell in dark condition, but the growth of rhizome was better un-der dark than under light condition in MS orthoTonal . Sucrose con-centration( 3 %) gave better results than higher ones(6%), andthe use of NAA(0.1 PPm) effect significant difference of seed ge-rmination .But the growth of rhizome was best in medium Containingsucrose concentration(3%) Ippm NAA and 1 PPm BA.

  • PDF

춘란(Cymbidiym goeringii REICHB. fil)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Sterol 화합물의 분리 (Isolation of Sterols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Cymbidium goeringii REICHB. fil)

  • 이진희;김동현;방면호;양혜정;방성훈;정인식;권병목;김성훈;김대근;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63-266
    • /
    • 2005
  • 춘란을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3종의 sterol을 분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2D-NMR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beta}-sitosterol$, daucosterol, ergosterol peroxide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춘란에서 이번에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Prochloraz와 Tebuconazole의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춘란(Cymbidium goeringii) 구경썩음병 방제효과 (Effects of Prochloraz and Tebuconazole on Control of Fusarium Bulb and Root Rot of Oriental Orchid, Cymbidium goeringii)

  • 지형진;이선미;조원대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72-78
    • /
    • 2003
  • 프로라츠, 터부코나졸, 베노밀, 만코지, 지오판, 아족시스트로빈, 후루아지남 등 8종의 농약이 Fusarium oxysporum 에 의한 춘란(Cymbidium goeringgii) 구경썩음병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들 중 프로라츠와 터부코나졸이 병원균의 성장억제효과와 병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들 농약은 유효성분 10ppm에서 병원균의 균사 생장 95~100% 억제하였으며, 100ppm 에서 포자발아율을 75~100% 억제하였다. 한국춘란(무명소심)과 중국춘란(녹운)에 대한 프로라츠와 터부코나졸의 구경썩음병 방제효과는 거의 없거나 50% 이하로 낮았으며 발병 후 치료효과는 0~20%이하로 매우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프로라츠와 터부코나졸을 병 발생 전에 예방적으로 적용하면 춘란구경썩음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도서지역 춘란집단의 종조성과 군락구조 (Community Structure and Floristic Composition of Cymbidium goeringii Group in Korean Islets)

  • 송홍선;박용진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0-116
    • /
    • 2010
  •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종조성표의 불연속성인 분류법과 연속성인 배열법을 적용하여 한반도 도서지역 춘란 집단의 식물종조성 및 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자생지 33개소는 평균 해발고도 65.9m이었고, 방향은 동남 사면이었으며, 경사는 평균 7.9%이었다. 조사구 $4m^2$ 면적의 춘란 피도는 4.5%이었다. 춘란과 동반 출현하는 식물은 총 102분류군이었다. 그 중 목본은 68분류군(66.7%)이었고, 초본은 34분류군(33.3%)이었으며, 상록식물은 36분류군(35.3%), 낙엽식물은 66분류군(64.7%)이었다. 춘란과 동반 출현하는 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사스레피나무(48.5%)이었으며, 다음으로 곰솔(45.5%), 청미래덩굴(36.4%), 그늘사초(33.3%), 송악(33.3%), 후박나무(30.0%), 때죽나무(30.3%), 소나무(27.3%) 순이었다. 춘란집단의 식물군락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춘란과 결합력이 강한 식물군락은 곰솔군락이었다. 춘란집단 식물군락의 유사성과 결합양상은 곰솔군락과 구실잣밤나무 군락이 가까웠고,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락과 가까웠다.

한국에 자생하는 5종의 지생란에서 분리한 난균근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Five Species of Terrestrial Orchids in Korea)

  • 염재영;한한결;정재민;조용찬;이병천;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2-135
    • /
    • 2012
  • 제주도와 완도에서 채집한 총 5종의 자생란의 뿌리에서 미동정 1종을 포함한 총 4종의 균을 순수분리하였으며, 추출한 DNA를 ITS지역을 증폭하여 분자적 동정하였다. 이중 3종이 Tulasnella속이었으며, 1종은 Sebacina vermifera로 일반적인 난균근균이었다. 제주도와 완도에서 모두 채집한 보춘화(Cymbidium goeringii)의 경우 제주도에서 채집한 뿌리에서는 Sebacina vermifera가, 완도에서 채집한 뿌리에서는 Tulasnella calospora가 분리되어 같은 종의난과 식물에서도 서식지에 따라 공생하는 난균근균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ays to Germination and Effect of Growth Regulator on Rhizome Growth in Cymbidium goeringii Hybrid

  • Kang, Tae-Jin;Yang, Deok-Chun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44-148
    • /
    • 2003
  • Germination efficiency, such as days to germination and conditions for the hybrid seeds, was tested after hybrid seeds were sown on the medium. Seeds were germinated from 67 to 126 days after seeding in all cross combinations, and germination condition was different among hybrid combinations. There was big difference on days to germination based on the different media, that is, days to germination in the hyponex medium was shorter than that in the Knudson C medium. Mutants such as MMS and NaN$_3$ were used to cause mutation. Germination occurred with 0.1 % NaN$_3$ and MMS. However, even though germination occurred in other treatments (0.01 % and 0.2% of NaN$_3$ and MMS), brownish phenomenon was intense, or did not proceed and got worse after 4-5 months of seeding. In addition, it was performed to choose appropriate medium for the growth of Cymbidium rhizome whose media adaptability is more different than other orchids. Different concentration of NAA and Kinetin was used. As a result, C. goeringii hybrid showed difference for the concentration of NAA and Kinetin combination.

  • PDF

춘란(Cymbidium goeringii) 품종에 대한 Simple Sequence Repeats (SSR) DNA 마커의 복합 유전자형 결정과 적용 (Determination and Application of Combined Genotype of Simple Sequence Repeats (SSR) DNA Marker for Cultivars of Cymbidium goeringii)

  • 이대건;고재철;정기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78-285
    • /
    • 2012
  • 춘란(Cymbidium goeringii)은 동북아시아에서 난류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중요한 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8개의 simple sequence repeats(SSR) 마커(CG409, CG415, CG709, CG722,CG787, CG1023, CG1210, and CG1281)를 동시증폭할 수 있는 multiplex PCR 시스템을 개발하여, 춘란의 40품종에 대한 유전자형을 분석하하는데 활용하였다. 품종은 모든 품종은 서로 다른 복합 유전자형을 가졌으며, 개체간 평균 복합식별력은 $7.14{\times}10^{-1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관찰 이형접합도(Ho = 0.466)는 한국 내 야생집단과 유사한 값(동해안: 0.438, 서해안: 0.583)을 보였는데, 이 사실은 각 품종이 원래 야생에서 채집되어 품종으로 등록된 후 영양번식을 통해 번식을 하면서 유전적 본질이 변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아울러 확립한 8개의 SSR 마커의 복합 유전자형을 이용하여 SSR DNA ID를 2차원 바코드로 표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복합 유전자형을 사용하여 개발된 개체별 고유 DNA ID의 개체 식별력은 통계적으로 99.999999% 이상이 되므로 높은 정확도로 개체간 구분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SR DNA ID와 2차원 바코드는 춘란 품종간 식별, 유지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APD를 이용한 춘란 수집종 20 품종의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Collected Cymbidium goeringii Based on RAPD)

  • 김태복;이진재;송영주;최창학;정동춘;유영진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25-230
    • /
    • 2011
  • 본 연구는 춘란 품종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밝혀 교배육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춘란 수집종 20 품종에 대하여 형태적 특징 19가지를 조사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20개 수집품종들은 크게 2군으로 분류되었으며, I군에는 7개의 수집 품종이 속하였고, II군에는 13개의 수집 품종이 속하였다. I군에는 잎에 무늬가 없는 품종들로 구성되어졌으며, II군에는 무늬가 있는 품종들로 구성되어졌다. 10 종의 10 mer primer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통해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RAPD결과 총 89개의 band를 얻었으며 그 중 monomorphic band는 3개, polymorphic band 86개였다. 수집품종간의 전체적인 유사도는 0.521~0.862의 범위로 나타났다. 유전적 유연관계 또한 2군으로 분류되었으며, X군에는 16개의 수집품종이 속하였고, Y군에는 4개의 수집품종이 속하였다. 외형적특징을 이용한 분류와 RAPD를 이용하여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류한 결과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지만 유전적 유연관계를 통하여 분류된 Y군의 품종들은 모두 외형적 특징을 이용한 분류의 II군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RAPD에 의한 유연관계분석에서 유사도가 낮은 품종간에 교배조합을 구성한다면 보다 높은 효율의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