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and Arts

검색결과 1,475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문화 근간으로서 생활문화의 사회적 가치 연구 : 수원 고색전통농악보존회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Living Culture as the Foundation of Local Culture : Focusing on the Case of 'Gosaek Nongak Conservation Association' in Suwon)

  • 정지은;장웅조
    • 지역과문화
    • /
    • 제7권3호
    • /
    • pp.1-21
    • /
    • 2020
  • 생활에 밀착한 일상 속 문화 활동을 강조하는 생활문화는 예술과 일상의 통합과 타자와 소통하는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고 이 과정에서 개인과 사회가 가져야할 가치들을 환기시키고 회복한다. 본 연구는 이렇게 지역문화로서 생활문화의 가치가 발현되는 개별적이고 복잡한 맥락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원 지역의 '고색전통농악보존회' 생활문화 활동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예술과 일상이 어떻게 통합되며 공동체적 삶을 회복시키고 있는지 진단한다. 문헌자료와 참여관찰, 인터뷰를 통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개인, 공동체, 지역영향으로 생활문화 활동과 공적지원의 사회적 영향을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문화 공적 지원으로 늘어난 활동경험은 공동체의 예술적 발전과 인적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더불어 개인은 예술적 본성을 찾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주는 문화예술의 주체이자 실천가로 거듭나고 있었다. 또한 지역주민도 함께 참여하는 생활문화 활동의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지역사회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Loyalty Toward Cultural Arts Events in Korea: A Logit Model Approach

  • Young Hee Park;Hyeon-Cheol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2호
    • /
    • pp.94-102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loyalty to cultural arts events using data from the Survey Report on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y in 2022 and 2023. The dependent variable is a binary variable representing the intention to revisit in the future, which serves as a proxy for loyalty. Given that the dependent variable is binary, the logit model specification is employed to estimate the average marginal effects.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audience satisfaction exerts the strongest influence on loyalty in both years. It can be observed that participation in cultural arts events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ing loyalty. This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se activit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s in order to facilitate greater participation in a wider range of cultural arts activities.

세발나물 분말 첨가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oodles added with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 장혜선;김민선;김민지;이지숙;김예분;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0-60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from halophyte plants added to noodles at ratios of 0%, 0.5%, 1.0%, 1.5%, and 2.0% in order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as a substitute for salt. For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with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pH increased (p<0.05) and salinity decreased (p<0.01) with higher adde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content. Water absorption ratio decreased (p<0.01) while turbidity decreased (p<0.001) with greater addi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However, volume expansion ratio increased with greater addi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romaticity, L value and a value decreased (p<0.001) while b value increased (p<0.001) with greater addi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For texture, hardness (p<0.001), gumminess (p<0.001), and cohesiveness (p<0.01) increased with greater amount of adde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color, the score was 5.55 points when 1.5%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was added, which was the best preference (p<0.001); for flavor, preference was best (5.64 points) when 2.0%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was added; for taste, preference was best (5.36 points) (p<0.001) when 2.0%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was added; for overall preference (overall quality) the score was 5.55 points when 1.0%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was added, which was the best preference (p<0.001). For antioxidant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p<0.001) with the amount of adde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preference was the highest and quality was excellent overall when 1.0% Spergularia marina L. Griseb powder was added. Thus, addition of 1.0% Spergularia marina L. Griseb instead of salt would be desirable.

맞춤형 정보공개 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요구 분석 및 지능화 방안: 문화예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User Needs Analysis and Intelligence Plans for Customized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Focus on Public Institutions of Culture and Arts)

  • 최정원;나정호;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9-97
    • /
    • 2021
  • 정보공개제도는 투명한 정부라는 민주적 대의와 국민의 알 권리 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국민들의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 문화예술의 중요성 역시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많은 문화예술기관에서는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정보와 관심도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예술 활동 참여 확대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 대한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지능적으로 정보공개 서비스에 반영하는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개의 국내 문화예술 공공기관을 대표 사례로 선정, 1년여의 기간 동안 실제 이용자들이 접수한 정보공개청구 목록과 검색어를 수집 및 교차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관심도와 정보요구 양상을 파악한다. 나아가 정보공개 업무의 자동화 및 지능화를 위한 필요사항을 정리하고 이용자 요구 중심 정보서비스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메이커문화를 대상으로 한 공공정책 연구 - '메이커시티 세운'을 중심으로 - (Public Policy Research on Maker Cultre: the case of Makercity Sewoon)

  • 오경미;박소현
    • 예술경영연구
    • /
    • 제56호
    • /
    • pp.243-274
    • /
    • 2020
  • 국내의 메이커문화는 2012년 '메이커페어 서울'의 개최를 계기로 본격 시작된 후 대중들에게 큰 관심을 받으며 트렌드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역시 이 흐름에 주목하여 메이커문화를 공공정책의 대상으로 포섭하기 시작하는데, 정책적 영역에서 메이커문화는 창조산업, 창조도시, 4차산업혁명 등의 정책 담론을 아우르는 창조경제의 범주 안에서 추진되었다. 창조경제는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적 영역에서 만들어진 공공정책 담론이다. 창조산업과 창조경제에서 창조성과 문화예술은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다루어지지만 오직 경제 창출로 이어졌을 때만 그것의 가치에 대한 궁극적인 인정이 이루어지므로 창조성과 문화예술은 대상화되고 소외된다. 본 연구는 메이커문화 역시 창조경제의 범주 안에서 추진되었기에 창조성과 문화예술처럼 대상화되고 소외되고 있다고 보았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메이커시티세운' 사례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서울시의 세운상가 일대를 둘러싼 도시개발 계획은 해당 일대의 기술 생태계를 파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메이커문화를 장려하고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한다는 그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메이커시티 세운이 창조경제, 창조도시라는 담론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담론의 한계로 비판받아왔던 문화예술의 소외와 노동 소외의 문제가 동일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사실까지 밝힐 수 있었다.

진화하는 사운드 아트 (2부): 탈경계적 현대예술의 발전에 대한 궁리(窮理) (The Evolving Sound Art (Part 2): A Deliberation about Advancement of Contemporary Genre-Disruptive Art Practices)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69-176
    • /
    • 2020
  • 사운드 아트 분야의 성장과 확장이 활발해질수록 우리는 다양한 예술적 작품들과 활동들을 현명하게 향유하고 적합하게 감상하기 위해 예술사회학적(sociology of the arts) 그리고 인지과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현 시대에서 창작되는 새로운 예술의 가치평가는 오늘날의 복잡한 환경, 예술 생산, 그리고 소비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바탕으로 평가와 비평을 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평론이 신예술의 중흥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음악계과 미술계의 관점을 넘어서 사회학적으로 사운드 아트를 분석하고 비평하여야 하는 이유, 그리고 그동안 국내 사운드 아트 실천의 유일한 활동 무대였던 다원예술분야의 지원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간략히 짚어서 앞으로 이러한 탈경계적(borderless)이거나 실험적인(experimental) 예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현행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맥락에 관한 탐색 연구 :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 적용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School Arts & Culture Education Policy : Application of Cooper's Four Dimension Model)

  • 최현락;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7-67
    • /
    • 2018
  • 본 연구는 Cooper, Fusarelli와 Randall(2004)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으로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등을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규범적 차원에서는 국가성장 이데올로기 및 과도한 관료적 합리성 추구의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사수권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혁을 통한 실질적 형식과 내용의 확보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한 구성원 간의 명확한 역할 구분이,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확고한 교육학적 기준에 근거한 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요청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의 기초학술연구 진흥, 교육당사자의 의견수용, 교원의 문화경험기회 확대, 통합적 문화예술교육 연수체제 구축, 교원양성체제 정비, 예술강사의 교육전문성 강화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예술교육 매체로서 메타버스 사례 연구 - SK텔레콤 ifland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averse as an Arts Educational Medium - Focusing on ifland of the SKT Metaverse Platform)

  • 조이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91-396
    • /
    • 2021
  •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D 대학교 실용음악, 뮤지컬, 케이팝, 전통연희, 연극, 엔터테인먼트경영 전공 등 예술전공자 학생으로 구성된 50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교육 실험연구를 진행했으며,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에스케이텔레콤(SKT)의 이프랜드(ifland)를 사용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메타버스 프랫폼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와 가능성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 방식에 대한 만족도 기준은 전공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MZ 세대 예술전공자가 바라본 메타버스 플랫폼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은 학문에 대한 전문성보다 유희성이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교육 매체로서 메타버스 플랫폼이 사용되기 위한 학생의 희망 사항은 인터렉티브한 속도감이 모바일을 통한 촬영(녹음), 스캔, 전송 기술 개발, 그리고 와이파이망 확보 순이었다. 메타버스를 타고 K-교육이 부상할 때다. 본 연구로 인하여 가상세계뿐만 아니라 동시대 예술교육 매체 개발과 문화기술 연구에서 예술이 더이상 후발주자가 아닌 주도적인 개척자이자 주체자로서 교육과 산업을 연결하는 파도를 일으키는 시선이 되기를 조심스럽게 바라본다.

한국 식생활 문화의 변증법적 관계 - 한국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 (A Dialectical Perspective of Korean Food Culture Through Korean Literature)

  • 김영수;조윤준;문성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9-338
    • /
    • 2013
  • Korean culinary culture is traditionally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foods ingested.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dialectically reinterpret Korean culinary culture through its relationship to Korean literature. In our study we consider culinary culture prior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s and economic growth related to food as "dietary lifestyle of the innocent world" and time since then as "the dietary lifestyle of the experience world". The former represents a simple means of survival without food processing (the "slow food" world), while the latter represents the "fast food" or processed food culture as a modern concept. People living in the age of economic growth and overflowing individualism have lacked an organic life and an opportunity to commune with nature. As a result, they have returned to values of the past, seeking the "slow food" culture to benefit their individual health. A series of return processes, however, were transformed into "the dietary life style of the higher innocence," called "a well-being dietary life style" involving a new healthy conception passing through the dietary life style of the experience wor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etary lifestyles of the "innocent" world and the "experience" world based on dialectic concepts. Individual concepts of "thesis" and "antithesis" are applied,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concept of "synthesis" for the way both symbolic worlds changed to "the dietary lifestyle of the higher innocence" and forme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to each other.

고려시대 팔관회에 나타난 연희복식 (The Performing Arts' Costume Shown in Palgwanhoe Ceremony(八關會) in Goryeo Period)

  • 임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481-490
    • /
    • 2017
  • This study considered the performing arts culture with a focus on Palgwanhoe Ceremony and various stunt-songs and dance (Baekhee-Gamoo) from the Goryeo period as well 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costume for Baekhee-Gamoo shown in Palgwanhoe Ceremony. The Baekhee-Gamoo shown in the Palgwanhoe Ceremony included acrobatics, traditions from comic dramas, puppet shows, mask plays, and four musical troupe flowers of youth in the Silla Dynasty, who excelled in beauty, bravery and the military arts (Sasun-Akboo). These were performed on a wagon ship with dragon, phoenix, and elephant animal masks (Yong-Bong-Sang-Mageosun).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costume for each performing ar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ostume of the time was used for performing arts' costume. There were no special costumes for performing arts and it was just transformed or added for the efficiency of acrobatics. Second, the reality was improved by focusing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costume suitable for characters and background of events in the performing arts to clearly deliver the purpose of the ceremony and quickly arouse audience's curiosity towards the performing arts' costume for the tradition of comic dramas and puppet shos in the Palgwanhoe Ceremony. Third, magical powers and symbolism were expressed through masks and performing arts' costumes. Palgwanhoe Ceremony aimed for magical powers that could protect weak human beings from threats and repel everything unfair while also symbolically showing the deified being through the performing arts' costume.